• 제목/요약/키워드: hydrophilic polyurethan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광화학반응으로 polyallyamine막이 표면에 고정화된 리팜피신-함유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유리되는 리팜피신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rifampicin released from the rifampicin-containing-polyurethane immobilized on the surface with the polyallyamine membrane using photochemical reaction)

  • 전성민;이규백;김현정;김말남;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34
    • /
    • 1997
  • A new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foreign body-associated infections by controlled release of antibiotic was developed. The polyurethane (PU) matrix containing rifampicin was immobilized with hydrophilic photoreactive polyallylamine (PPA) containing azidophenyl groups. The rifampicin release characteristics and the long-lasting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new material was compared with rifampicin-containing PU matrix without PPA membrane. The release rate of antibiotic from rifampicin-containing PU with PPA membran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thickness of PPA membrane was increased. The PPA-immobilized rifampicin-containing PU discs immersed in the PBS for 47 days had an effici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S. aureus and S. epidermidis.

  • PDF

Hybridiz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Aqueous-based Polyurethanes

  • Chen, Kan-Nan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129-129
    • /
    • 2006
  • Conventional solvent-based polyurethane (PU) is well established for wide applications, such as textile treatments, surface coating, adhesive and so on. Due to the demands of safety,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olvent-based PU is restricted and has been phasing out and aqueous-based PU is becoming the world market trend, which is an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 The chemical resistanc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queous-based PU are still not competible with solvent-based PU. Because of aqueous-based PU is a linear thermoplastic polymer with lower average molecular weight. Their improvements are normally performed by a post-curing reaction or a polymer hybridization to enhance the polymer cross-linking density. Hybridization of PU with aqueous-based epoxy resin or acrylate emulsion and then cured by a curing agent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properties and reducing the cost of aqueous-based PU.Furthermore, a special function is added to aqueous-based PU increasing the application value, for examples, flame retardation, polymeric dyes, hydrophilic and etc.

  • PDF

유.무기성 악취저감을 위한 최적의 미생물 포괄고정담체 제조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ptimal Bio-encapsulated Media for Organic/Inorganic Odor Reduction)

  • 김선진;김태형;이윤희;장현섭;송지현;황선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5
    • /
    • 2012
  • A bio-encapsuled media was developed to apply on reducing odors produced from organic waste treatment process. The microorganism, candida tropicalis, was encapsulated in sponge media consisted of polyurethane material. Sodium alginate as a natural polymer which does not affect to hydrophilic microbes and PEGDA(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as a artificial polymer were used for the encapsuled media. The media was evaluated with TMEDA (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 0.02~0.1%) as a catalyst at different temperature 25 and $35^{\circ}C$. The best performance was achieved with 0.02% of TMEDA at $25^{\circ}C$. The microbes' activity in the media was examined by Live/Dead cell method.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rosslinkable Waterborne Polyurethanes Containing Aminoplast -Effect of Curing Condition-

  • Kwon Ji-Yun;Rahman Mohammad Mizanur;Kim Han-Do
    • Fibers and Polymers
    • /
    • 제7권2호
    • /
    • pp.95-104
    • /
    • 2006
  •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swelling, thermal/mechanical and adhesion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WBPU), a series of the crosslinkable WBPUs containing hydrophilic ionic component, dimethylol propionic acid (20 mole%), were prepared by in-situ polymerization using a cross-linker hexakis (methoxymethyl) melamine (HMMM). Effects of the HMMM content (2, 4, and 6 wt%) and curing temperature on these properties of the crosslinked WBPUs samples were investigated. All properti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HMMM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curing temperature of the WBPU films and adhesives was near $120^{\circ}C$, which was not dependent on the HMMM content.

평면 소자형 락테이트 바이오센서 (Planar microchip-based lactate biosensor)

  • 하정한;허황;강태영;이용석;윤순호;신정원;남학현;차근식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82-489
    • /
    • 2006
  • Pediococcus에서 추출된 lactate oxidase(LOD)를 poly(vinyl alcohol)(PVA)에 고정화하여 2전극계로 구성된 lactate 바이오센서를 제조하였다. Lactate는 LOD 효소와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H_2O_2$를 전기화학적으로 금(Au)위에 형성시킨 Pt-black 층에서 산화시켜 정량 할 수 있었다. Pt-black으로 만들어진 센서는 과산화수소에 대해서 낮은 전위(+300 mV vs. Ag/AgCl)에서 큰 산화전류를 보여주었으며, ascorbic acid, acetaminophen, uric acid 등과 같이 산화되기 쉬운 산화 종들의 영향을 감소시켜주었다. 외부보호막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다. 센서는 in vitro 방식으로 흐름계와 비흐름계 모두에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0.05 M NaCl을 포함하는 0.05 M 인산염 완충용액(pH 7.6)에서 성능을 시험하였으며, 0.1 mM에서 9.0 mM의 lactate 농도구간에서 직선적 감응성을 나타내었다. 최적화된 센서는 $4^{\circ}C$ 완충용액에 보관하였으며, 25일 이상 감응도(sensitivity)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폴리아크릴산이 그라프트된 다공성 폴리우레탄막을 통한 약물의 방출조절 (Controlled Drug Delivery through Poly(acrylic acid-g-urethane) Porous Membrane)

  • 김진홍;이영무;정창남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96-30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pH 및 용매조성의 변화에 따라 투과도가 변화하는 고분자막을 제조하고자 다공성 폴리우레탄 대칭막을 상전이법에 의해서 제조하고 다공성 대칭막의 표면에 친수성 고분자를 그라프트시켰다. 다공성 대칭막은 응고조로 DMSO/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eric ammonium nitrate (CAN)를 이용하여 다공성 대칭막 표면에 폴리아크릴아미드를 그라프트시키고, 가수분해하여 폴리아크릴산이 그라프트된 다공성 대칭막을 얻었다. 친수성 고분자가 그라프트된 고분자막을 통한 pH 및 용매조성의 변화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를 비타민 $B_2$인 리보플라빈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pH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는 폴리아크릴산이 그라프트된 경우 pH가 감소함에 따라 투과도는 증가하였으며 또한 용매조성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는 비용매에 대한 용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 PDF

고분자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의 개발 동향 (Trend on Development of Polymeric Organosilicone Surfactants)

  • 랑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46-567
    • /
    • 2015
  •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유기실리콘 그룹에 하나 또는 그이상의 친수성 극성그룹이 결합되어 있다. 반면에 탄화수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그룹은 탄화수소이다,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낮은 계면장력, 윤활성, 퍼짐성, 발수성, 열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을 시작으로 건설재료, 화장품, 페인트잉크, 농약 등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폭 넓은 화학구조를 가진 실리콘 계면활성제들이 필요하다. 본 총설에서는 소수성 폴리실록산 중추로서의 폴리디메틸실록산과 반응성 폴리실록산의 성질과 합성방법, 반응성 폴리실록산을 친수성 그룹과 결합시키는 규소수소화반응 같은 주요 반응방법, 그리고 폴리에테르, 이온성, 카보하드레이트 타입 같은 주요 고분자 실록산 계면활성제들의 합성방법을 논의한다.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의 모폴로지 형성과 그 응용 (Morphology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IPN) Materials)

  • 김성철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05
  • 상호 침투하는 고분자 가교구조(IPN)는 가교 고분자의 블렌드라고 볼 수 있다. IPN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IPN 합성 중 모폴로지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으로 반응속도와 상 분리 속도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모폴로지의 조절이 가능하고 따라서 나노미터 크기의 분산상도 얻을 수 있고 상호연속 상(co-continuous phase)도 얻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IPN 구조에 존재하는 가교구조 사이의 물리적 얽힘때문에 한번 형성된 모폴로지는 주위 환경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친수성 폴리우레탄과 소수성 폴리스티렌의 결합을 IPN 형태로 하면 표면에 친수성과 소수성 도메인이 공존하게 되고 이러한 표면이 우수한 혈액 적합성을 보인다. IPN 합성시 반응온도, 반응압력, 가교밀도 등을 변화시켜 소수성 폴리스티렌 도메인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혈액 적합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에폭시 변성 실리카 나노입자/폴리우레탄-우레아 나노복합체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Epoxy Silane-modified Silica/Polyurethane-urea Nanocomposite Films)

  • 주진;김현석;김진태;유혜진;이재륭;정인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371-378
    • /
    • 2012
  • 3-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GPTMS)으로 친수성의 실리카 나노입자(SNPs)를 소수화하였으며, 소수화된 SNPs를 폴리우레탄-우레아(PUU) 에멀젼과 혼합하여 SNPs/PUU 나노복합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 제조 후 PUU 매트릭스 내 SNPs의 함량, SNPs 표면의 소수화 정도, 에폭시 그룹과의 열경화 반응 여부가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NP 표면에 도입된 GPTMS의 최대 함량은 $1.99{\times}10^{-6}\;mol/m^2$로 SNP 표면적 기준으로 약 53% 수준이었다. GPTMS에 의한 소수화로 PUU 매트릭스 내 SNPs의 분산성이 향상되었으며, SNPs 함량이 5 wt.%에서 20 wt.%로 증가함에 따라 SNPs/PUU 나노복합체 필름의 유연성은 감소하였으나, 열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특히 Young's modulus와 tensile modulus는 에폭시의 열경화 반응 후에 크게 증가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설폰산이 결합되어 혈액적합성이 개선된 개질 폴리우레탄 (Enhanced Blood Compatibility of PEO-Grafted and Sulfonated Polyurethanes)

  • 한동근;정서영;안광덕;김영하;김은영;조한익;민병구;최진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
    • /
    • 1989
  • Polyurethane surface was chemically modified to have different hydrophilic polyethyleneoxide(PEO)/hydrophobic dodecanediol(DDO) groups and negatively charged sulfonate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 to the antithrombogenicity. The hydrophilicity of the surfa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EO grafting or sulfonation. Lowering in-vitro platelet adhesion led to a prologation in the ex-vivo occlusion time. Especially, the sulfonated PU-PEO surface showed most enhanced blood compatibility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s of PEO and $SO_3$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