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al sta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Meteorological basis for wind loads calculation in Croatia

  • Bajic, Alica;Peros, Bernardin
    • Wind and Structures
    • /
    • 제8권6호
    • /
    • pp.389-406
    • /
    • 2005
  • The results of reference wind speed calculation in Croatia as a base for the revision of the Croatian standards for wind loads upon structures are presented. Wind speed averaged over 10 minutes, at 10 m height, in a flat, open terrain, with a 50-year mean return period is given for 27 meteorological stations in Croatia. It is shown that the greatest part of Croatia is covered with expected reference wind speeds up to 25 m/s. Exceptions are stations with specific anemometer location open to the bura wind which is accelerated due to the channelling effects of local orography and the nearby mountain passes where the expected reference wind speed ranges between 38 m/s and 55 m/s. The methodology for unifying all available information from wind measurements regardless of the averaging period is discussed by analysing wind speed variability at the meteorological station in Hvar.

Determination of Equivalent Roughness for Estimating Flow Resistance in Stabled Gravel-Bed River: II. Review of Model Applicability

  • Park, Sang-Woo;Lee, Sin-Jae;Jang, Suk-Hw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211-1220
    • /
    • 2008
  •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equivalent roughness using an estimation model, which considered grain distribution on the bed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grains. We also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imated equivalent roughness at the Goksung and Gurey station in the Seomjin River.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is model, we presented the water level-discharge relation curve applying the equivalent roughness to the flow model and compared and reviewed it to observed data. Also,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observed data by estimating the Manning coefficient n, the Chezy coefficient C, and the Darcy-Weisbach friction coefficient f by the equivalent roughness.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RMSE showed within 5% error range in comparison with observed value. Therefore the estimated equivalent roughness values by the model could be proved appropriat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 Hong, Woo-Yong;Park, Min-Ji;Park, Jong-Yoon;Kim, Se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04-20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ch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n explain the soil moisture simulated from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continuous hydrological model. For the application, ChungjuDam watershed (6,661.3 $km^2$) was adopted which covers land uses of 82.2 % forest, 10.3 % paddy field, and 1.8 % upland crop respectively. For the preparation of spatial soil moisture distribution,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at two locations (watershed outlet and Yeongwol water level gauging station) of the watershed using daily streamflow data of 7 years (2000-2006). The average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ies for the verification at two locations were 0.83 and 0.91 respectively. The 16 days spatial correlation between MODIS NDVI and SWAT soil moisture were evaluated especially during the NDVI increasing periods for forest areas.

  • PDF

제주 한천유역의 실제 증발산량 평가 (Assess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in the Hancheon Watershed, Jeju Island)

  • 김남원;이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3-542
    • /
    • 2013
  • In this study, estimation methods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the concept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ng the diverse estimation methods, SWAT-K application is chosen for hydrological modeling. For Jeju island we have characterized annual and monthly evapotranspiration using SWAT-K. In the results, simulat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reached to the 91% of small pan evaporation.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lapse rate($-6^{\circ}C/km$) depending on the altitude of Halla mountain, evapotranspiration rate decreased by 7.5% compared to the status when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Jeju weather station were applied to the watershed. As the average of annual rainfall increas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increa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was, however, decreased.

2007년 섬강 시험 유역의 운영 (Operation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7)

  • 이민호;최흥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99-702
    • /
    • 2008
  • In this study, it has observed the precipitation and stage data at each point every ten minutes for gaining the sustainable, reliable and high-quality hydrological data through operating the experimental watershed in mountainous areas such as Gyecheon located in the upstream of Seom river that is the tributary of Nam-Han river. And it has regularly surveyed the runoff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data using the uncertainty analysis at the gaging station. 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tage-discharge curve(rating curve) a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circulation of water through surveying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level of groundwater in watershed.

  • PDF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감조하천 수위자료의 유출성분 추출 (Extraction of Runoff Component from Stage in Tidal River Using Wavelet Transform)

  • 오창열;이진원;정성원;박성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0호
    • /
    • pp.793-800
    • /
    • 2007
  • 본 연구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로부터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유연한 분해능을 갖는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여 강우에 의한 유출성분과 조석에 의한 조위성분을 추출하였다.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은 가장 큰 에너지 값은 87.77%를 나타내었으며, 상세성분 중 반일주조형의 주기성(약 12시간)을 갖는 D3의 에너지 값은 10.70%로 나타났다. 또한 D3의 왜도 및 첨도 값은 여수 조위자료와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하동2 지점의 수위자료에 대하여 최종 분해된 최종파형 분해단계의 근사성분(A6)과 D6, D5 상세성분은 유출성분이며, 상세성분 D4, D3, D2는 조석의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조위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 신라우물의 지하수 수문학적 연구 (Groundwater Hydrological Study of Silla Well in Gyeongju)

  • 배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5
    • /
    • 2016
  • In this paper, a groundwater hydrological study of the Gyeongju well during the Silla period i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ufficiently the Gyeongju well supplied water demand at the time.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geology and soil condition in Gyeongju remain similar to the Silla period. Also, the land use and land coverage during the Silla period is estimated based on the current land condition in Gyeongju. Precipitation during the Silla period is analyzed using precipitation data from 1984 to 2014 provided by Gyeonju weather station. Precipitation analysis is applied based on 3 different scenarios; precipitation intensity during the Silla period was Case (1) the same as, Case (2) 30% more, and Case (3) 30% less than the precipitation intensity of the last decade (2005~2014). Furthermore, to observe the use of the well in Gyeongju during droughts, the following condition(Case (4)) is also considered; ten year drought during the Silla period was the same as the ten year drought from 1984 to 2014.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is analyzed using NRCS-C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in Gyeongju during Silla era was for Case (1) $62,825,272m^3/year$, Case (2) $93,606,567m^3/year$, Case (3) $32,277,298m^3/year$, and Case (4)$32,870,896m^3/year$. Also, it has been shown that $45,260,000m^3$ of groundwater were required to supply to all households in Gyeongju during Silla era. Therefore, if the precipitation intensity during Silla era was similar with the last decade, the groundwater would provide enough supply to all households in Gyeongju. However, in the case that the precipitation intensity during Silla era was 30% less than the last decade or a ten year drought happened, it is predicted that the water use in Gyeongju would have been limited.

대아지 숭상을 위한 수문학적 가능성 평가 (Hydrological Feasibility for Heightening Dae-ah Reservoir)

  • 노재경;이재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225-235
    • /
    • 2008
  • 만경강 수계의 봉동 지점에서 자연사회환경개선의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류에 위치한 대아저수지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수문학적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동상-대아 직렬 연계에 의해 대아저수지로부터의 용수공급을 분석한 결과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1207.4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95.8%,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153.1%,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236.1%,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200.6%였다. 둘째, 대아-경천 병렬 연계를 고려한 봉동 지점의 유량을 분석한 결과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28.95m^3/s$, 평수량 $2.00m^3/s$, 저수량 $0.95m^3/s$, 갈수량 $0.82m^3/s$로 분석되었으며, 고시유량 $1.32m^3/s$보다 $0.50m^3/s$ 적게 나타났다. 셋째, 대아저수지를 10m 높인 경우 대아저수지로부터의 용수공급을 분석한 결과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1220.7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96.8%,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154.6%,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163.0%,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137.0%였다. 넷째, 대아저수지를 10m 높인 경우 대아-경천 병렬 연계를 고려한 봉동 지점의 유량을 분석한 결과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28.09m^3/s$, 평수량 $1.79m^3/s$, 저수량 $0.89m^3/s$, 갈수량 $0.82m^3/s$로 분석되어 유량증가 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대아저수지 용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용수공급의 증가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봉동지점의 고시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대아 저수지의 숭상의 수문학적 타당성은 전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참조 수문관측소 구성 조건에 따른 LSTM 모형 홍수위예측 정확도 검토 사례 연구 (Case study on flood water level prediction accuracy of LSTM model according to condition of reference hydrological station combination)

  • 이승호;김수영;정재원;윤광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81-992
    • /
    • 2023
  • 최근 전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가 집중되고 강우강도가 강해짐에 따라 홍수피해의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 과거에 관측되지 않았던 규모의 비가 내리기도 하고, 기록되지 않았던 장기간의 장마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해들은 아세안 국가에도 집중되고 있으며,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의 빈번한 발생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찌따룸강 상류 유역에 위치한 반둥 지역은 분지 형태의 지형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홍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2017년에 찌따룸강 상류(Upper Citarum River) 유역에 대하여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되었고, 현재 운영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찌따룸강 상류 (Upper Citarum River) 지역은 홍수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의 위험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홍수예경보의 실시를 통해 피해를 경감시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찌따룸강 상류의 Dayeuh Kolot 지점을 목표관측소로 하고, 강우관측소 4개소와 수위관측소 1개소의 10분 단위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하천홍수위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6개 관측소의 2017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의 10분 단위 수문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선행예보시간 0.5, 1, 2, 3, 4, 5, 6시간에 대해서 학습, 검증,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지능알고리즘으로는 LSTM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선행예보시간에 대해 모형적합도 및 오차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자료 구축조건에 따른 예측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참조관측소가 적은 경우에도 모든 관측소를 활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예측정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인공지능 기반 모형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담수호 홍수관리를 위한 상류 유입량 실시간 예측 (Real-time Upstream Inflow Forecasting for Flood Management of Estuary Dam)

  • 강민구;박승우;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2호
    • /
    • pp.1061-10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영산호의 상류에 위치한 나주유역의 홍수시 유출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Grey홍수 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나주유역의 유출량은 나주수위관측소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이곳은 영산호의 유입홍수량을 예측과 홍수관리를 위한 주관측소이다. 모형의 지배방정식은 Grey시스템 이론에 근거하여 구성되었으며, 모형의 매개변수는 Grey 시스템매개변수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차수는 실측자료와 모의결과를 비교하여 다른 차수 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5차로 하였다. 모형의 보정시 예측결과와 실측치간의 RMSE는 $3.1\~290.5m^{3}/sec$를 나타냈으며, $R^{2}$$0.909\~0.999$를 나타냈다. 모형의 검정시 예측결과와 실측치간의 RMSE는 $20.6\~147.4m^{3}/sec$를 나타냈으며, $R^{2}는\;0.940\~0.998$를 나타냈다. 매개변수가 추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담수호의 유입량을 하천수위 상태에 따라 예측한 결과, 하천수위가 상승할 경우와 하강할 경우의 예측 홍수량은 예측시간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하천수위가 첨두에 가까운 시기의 홍수량은 예측시간에 관계없이 실측자료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Grey 홍수유출모형을 홍수시 담수호 유입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