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al curv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굴포천 임시방수로 굴착구간 주변의 지하수 수위 변동 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Groundwater Level Variation Types Near the Excavated Area of the Temporary Gulpocheon Discharge Channel)

  • 김창훈;이수곤;한정상;김남주;전병추
    • 지질공학
    • /
    • 제24권4호
    • /
    • pp.631-641
    • /
    • 2014
  • 지하 대수층에 가해진 수문학적 충격에서 나타난 지하수위 변화를 관측하고 분석하여 굴포천 임시방수로구간의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지하수위란 그 지점을 지나가는 등포텐셜 값으로 지하수 압력이 그 위치에서 대기압과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문학적 충격에 대응해서 변화하게 되는데 관측지점으로부터 지하수면까지의 깊이를 반복적으로 측정함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김포-김포 국가지하수관측소의 1일 지하수 유출수문곡선의 지하수위 변화식과 변동폭을 평가요소로 하여 18개소의 관측시스템의 지하수 변동 특성을 영향형, 관측요망형, 비영향형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영향형은 전체의 50%로 수문학적 충격에 의해 수위변화가 민감하게 반영되며 임시방수로로부터 거리가우선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관측요망형은 27.8%로 2개의 평가요소 중 1개가 기준에 미달한 경우이다. 비영향형은 22.2%로 지하수위 변화가 강우사상에 대해서만 반응함으로써 두 가지의 평가요소를 초과한 것들이다.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독립성 검정 기반의 적정 임계수준 결정 (Determining proper threshold levels for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based on independent tests)

  • 김태웅;박지연;신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3호
    • /
    • pp.193-200
    • /
    • 2020
  • 수문학적 가뭄은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과 같은 가용 수자원의 부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가뭄에 대한 체감이 기상학적 가뭄에 비하여 크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홍수기에 집중되는 강우 특성으로, 비홍수기에는 댐과 저수지의 저류량에 크게 의존하여 수자원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가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수문학적 가뭄은 정상보다 낮은 유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수문학적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주로 임계수준방법(threshold level method)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임계수준방법은 작은 미소가뭄으로 인한 독립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12개 지점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성 검정을 실시한 후, 우리나라의 수문학적 가뭄 특성 분석을 위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였다. 일별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50 ~ 99 백분위수를 적용하여 가뭄사상을 추출하였다. 적정 임계수준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독립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포아송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여주시 지점과 평택시 지점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점들은 87~99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것을 나타났으며, 일반 파레토 분포의 독립성 검정결과, 80~90 백분위수 사이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평균 초과도표에서는 80 ~90 백분위수 구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로 적정 임계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권역에 해당하는 지역들의 공통범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강권역에서는 70~76 백분위수, 낙동강권역은 87~91 백분위수, 금강권역에서는 86~98 백분위수, 영산 및 섬진강권역에서 85~87 백분위수 구간이 적정한 임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문모형(HMS)과 GIS자료를 이용한 오원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Runoff Discharge in the Ohown river Basin Using the GIS Data and Hydrology Model)

  • 김운중;정남선;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10권3호
    • /
    • pp.263-27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GlS와 수문모형(HIS)을 이용하여 오원천 유역에서 강우와 유출량의 관계를 산정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유역인자와 지형인자는 GIS를 이용하여 DEM으로부터 추출하였으며, 그 외의 자료들은 1:50,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수문모형에서 이용되는 변수인 유역면적(A), 유로연장, SCS CN 값 등은 대상유역에서 GIS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변수들을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유출량의 관계를 모의하는데 이용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유출량과 관측 유량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 그리고 모의된 매개변수를 토대로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유출량 관계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수문모형은 강우-유출량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모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Master Recession Curve Model

  • Lee, Jae-Hyoung;Oh, Nam-Sun;Lee, Hee-Ju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3호
    • /
    • pp.61-71
    • /
    • 2001
  • A regional master recession curve model to predict groundwater discharges in a given basin was presented. Considering a stream-aquifer system,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baseflow equations were compared and a practical groundwater discharge equation was derived, The groundwater discharge equation was expanded and transformed to the discharge equation at the basin exit. For practical use, the equation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watershed area, the mean slope of basin and the recession constant. To verify the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Ssang-chi basin where long-term and temporal hydrological data at the upper basin were collected. Our results show that a master recession curve of unmeasured area can be predicted.

  • PDF

GSIS를 이용한 수문모형 입력매개변수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hydrologic-Model input parameter using GSIS)

  • 이근상;채효석;박정남;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22
    • /
    • 2000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에 대한 정확한 지형특성 및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문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이 수작업이나 간단한 연산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SIS를 활용하여 유역에 대한 지형특성 및 수문관련 매개변수를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서 자료처리 시간의 절감 및 수문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한 매개변수를 HEC-HMS 수문모형의 입력매개변수로 활용함으로서 GSIS와 수문모형과의 연계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역별 지형특성 및 수문관련 매개변수추출 과정은, 먼저 DEM자료로부터 유역 및 하천을 추출하였고, 토지피복도과 토양도를 중첩하여 유출곡선번호(CN)을 추출하였다. 또한 유역과 하천에 격자 연산을 수행하여 최장수로 길이 및 경사와 같은 지형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지형 매개변수와 평균 곡선번호와의 연산과정을 통해 Muskingum K와 소유역 지체시간과 같은 수문관련 매개변수를 추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화학적 수문곡선 분리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최상류 유역 기저유출량 산정 (Base Flow Estimation in Uppermost Nakdong River Watersheds Using Chemical Hydrological Curve Separation Technique)

  • 김령은;이옥정;최정현;원정은;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89-499
    • /
    • 2020
  • Effective science-based management of the basin water resource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such as the baseflow discharge. In this study, the base flow was estimated in the two watersheds with the least artificial factors among the Nakdong River watersheds, as determined using the chemical hydrograph separation technique. The 16-year (2004-2019) discontinuous observed stream flow and electrical conductivity data in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monitoring network were extended to continuous daily data using the TANK model and the 7-parameter log-linear model combined with the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The annual base flows at the upper Namgang Dam basin and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were both analyzed to be about 56% of the total annual flow. The monthly base flow ratio showed a high monthly deviation, as i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0.9 in the dry season and about 0.46 in the rainy season. This is in line with the prevailing common sense notion that in winter, most of the stream flow is base f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y season winter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chemical-based hydrological separation technique involving TANK and the 7-parameter log-linear models used in this study can help quantify the base flow required for systematic watershe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entinel-1 SAR 영상의 수체 탐지 기법을 활용한 저수지 관측 기반 수문학적 가뭄 지수 평가 (Evaluation of Reservoir Monitoring-based Hydrological Drought Index Using Sentinel-1 SAR Waterbody Detection Technique)

  • 김완엽;정재환;최민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3-166
    • /
    • 2022
  • 저수량은 가용한 수자원의 양을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인자중의 하나이다. 또한 가뭄의 영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가뭄 평가를 위한 연구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광학영상으로 저수면적을 관측하고, 또 이를 활용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RADI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인공위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광학영상은 관측주기가 뛰어나 많은 양의 자료를 획득할 수 있으나, 구름 등 기상과 대기환경에 의한 영향에 취약하여 실제 활용에서는 다소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이나, 관측시간대와 상관없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SAR 영상을 활용한 가뭄지수 산정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Sentinel-1 위성의 SAR 영상을 활용하여 충북 진천군에 위치한 백곡, 초평저수지의 저수면적을 탐지하여, RADI를 산정하여 지역규모 가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RADI는 실측 저수량을 기반으로 한 RSDI와 비교, 검증하였다. RADI는 RSDI와 상관계수 r=0.87, ROC의 밑면적 AUC=0.97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SAR 기반 RADI의 지역규모 수문학적 가뭄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추후 가용 SAR 영상의 종류가 늘어나고, 재방문주기가 단축될 것이므로 가뭄 모니터링에 대한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ArcGIS ModelBuilder를 이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 산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alculating Model for Hydrological eographic Parameters Using ArcGIS ModelBuilder)

  • 문창건;이정식;신사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9-2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ArcGIS ModelBuilder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GIS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도군의 18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WMS와 HEC-GeoHMS에 의해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계산하고, 새로운 GIS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지형인자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역경사, 하상경사 및 유출곡선지수(CN)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평균상대오차는 10%를 상회하였으며, 새로운 GIS Model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더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산정할 수 있다.

감수곡선을 이용한 산림소유역 유출특성의 시계열 변화 평가 (Analysis of Secular Changes i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a Baseflow Recession Curve)

  • 이익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83-391
    • /
    • 2014
  • 본 연구는 주지하수 감수곡선을 이용하여 산림소유역의 유출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9년간 관측한 강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곡선 감수부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림소유역에서는 직접유출 감수계수가 기저유출의 감수계수 값보다 작았다. 또한 산림소유역에서의 직접유출량은 대유역에 비해 상당히 적은 양을 보였으며, 기저유출량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시험유역에서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회귀식과 감수계수는 각각 $y=0.7528e^{-0.022x}$($R^2=0.8938$, 범위는 0.3 mm~0.8 mm), K = 0.978로 산출되었다. 주지하수 감수곡선과 연유출량과는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출량이 많으면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유출량이 줄어들면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 울기가 완만해지는 경향이 나타나, 점차 기저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시험유역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산림의 홍수조절기능 및 수원함양기능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만곡형상에 따른 수리특성분석 (The Analysis of Hydrological Property with Curved-channel Type)

  • 안승섭;이상일;박동일;김위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309-1317
    • /
    • 2011
  • This study selected 6 river reach, which have various curved-channel, included in an object of study as making the Nakdong River, which is a real nature river, as a point of an object of study by using SMS RMA-2 model, a 2D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applied project flood and analyzed and examined characteristic of hydrological property and super-elevation, which includes characteristic of the velocity of a moving fluid. As a result, in a river reach, whose width is wide, angle of curved-channel has impact on the velocity of a moving fluid of inside of curved-channel and in a river reach, whose width is narrow, the radius of curvature and width of the river have impact on the velocity of a moving fluid of inside of curved-channel. Also it found out that the ratio of reduction in water-level of inside of curved-channel is more bigger than ratio of increasing in water-level of outside of curved-channel when project flood is increasing and angle of curve is increasing.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expectation of danger and preliminary data in planning real river or a business, that creates a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