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raphic facto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해양관측데이터 관리를 위한 결정요소 도출 (Deriving the Determining Factor for the Management of Oceanographic Data)

  • 김선태;이태영;김용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3호
    • /
    • pp.97-115
    • /
    • 2012
  • 해양관측데이터의 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결정요소를 두 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1) 해양관측데이터가 생성되는 관측의 유형들과 해양과학의 기본적 구분인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생물, 해양지질 분야에서 생산된 대표적인 유형의 샘플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해양관측데이터 서비스(KODC, NFRDI, KHOA)를 조사하여 검색에 사용되는 검색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개 영역(일반, 관측선, 위성, 관측기기, 관측소, 공간정보, 프로젝트, 관측데이터, 자료처리)에서 42개 결정요소를 도출하였다.

A framework of Multi Linear Regression based on Fuzzy Theory and Situation Awareness and its application to Beach Risk Assessment

  • Shin, Gun-Yoon;Hong, Sung-Sam;Kim, Dong-Wook;Hwang, Cheol-Hun;Han, Myung-Mook;Kim, Hwayoung;Kim, Young ja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7호
    • /
    • pp.3039-3056
    • /
    • 2020
  • Beaches have many risk factors that cause various accidents, such as drifting and drowning, these accidents have many risk factors. To analyze them, in this paper, we identify beach risk factors, and define the criteria and correlation for each risk factor. Then, we generate new risk factors based on Fuzzy theory, and define Situation Awareness for each time. Finally, we propose a beach risk assessment and prediction model based on linear regression using the calculated risk result and pre-defined risk factors. We use national public data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e prediction accuracy of beach risk to be 0.90%, and the prediction accuracy of drifting and drowning accidents to be 0.89% and 0.86%, respectively. Also, through factor correlation analysis and risk factor assessment,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factors on beach risk can be confirmed.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our proposed model can assess and predict beach risks.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풍속 자료의 실시간 운용을 위한 기준 고도 변환 과정 (Converting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ind Speed Observations to Reference Height Data for Real-Time Operational Use)

  • 변도성;김효원;이주영;이은일;박경애;우혜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153-178
    • /
    • 2018
  • 운용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풍속자료는 10 m 기준 고도에서 측정 또는 생산된 자료이다. 이 연구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42.3 m 고도의 옥상 등대에서 측정 중인 풍속을 기준 고도의 풍속으로 변환시켜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이어도 기지에서 관측한 풍속을 대표적인 네 종류의 풍속 변환식 - 멱법칙식, 두 종류의 중립벽 로그법칙식(항력계수형, 거칠기 높이형), 대기 안정도 효과를 고려한 벽 로그법칙모델(안정도 고려 거칠기 높이형) -에 적용하였다. 관측 바람을 평가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안정도 고려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법칙모델의 결과와 나머지 풍속 변환식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법칙식과 '안정도 고려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법칙모델 간 편향과 평균 제곱근 편차는 각각 $-0.001m\;s^{-1}$$0.122m\;s^{-1}$로 가장 낮아 실시간 현업 운용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이 두 변환식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어도 해역에서 조석에 의한 풍속 관측 고도 변화가 풍속 변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들 변환식에 대한 조석 효과 고려 전후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 편향과 평균 제곱근 편차는 각각 <$0.0001m\;s^{-1}$와 <$0.012m\;s^{-1}$로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대기 표면 거칠기 높이를 사용하는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법칙식과 '안정도 고려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 법칙모델을 이용하여 간편 풍속 변환식의 필수 입력값인 표면 거칠기 높이 값의 적절성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풍속 변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거칠기 높이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공위성 산란계(ASCAT) 풍속자료와 네 종류의 중립 연직 풍속 변환식들의 결과를 비교하여 이들 중 '안정도 고려 거칠기 높이형' 벽 로그법칙모델에서 안정도 항을 뺀 풍속 변환 모델의 정확도가 더 낫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들 종래 $25m\;s^{-1}$ 이하 풍속에 최적화된 풍속 변환식들로부터 바람 항력계수를 산정 분석하여 강풍(${\geq}33m\;s^{-1}$) 환경에서도 적합한 풍속 변환식으로 개선 필요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Validation of OpenDrift-Based Drifter Trajectory Prediction Technique for Maritime Search and Rescue

  • Ji-Chang Kim;Dae, Hun, Yu;Jung-eun Sim;Young-Tae Son;Ki-Young Bang;Sungwon Shi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45-157
    • /
    • 2023
  • Due to a recent increase in maritime activities in South Korea, the frequency of maritime distress is escalating and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lives and proper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drift trajectory prediction technique to help mitigate the damages caused by maritime distress incidents. In this study, OpenDrift was verified using satellite drifter data from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OpenDrift is a Monte-Carlo-based Lagrangian trajectory modeling framework that allows for considering leeway,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movement of floating marine objec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drift trajectory prediction when considering leeway using four evaluation methods (normalized cumulative Lagrangian separation, root mean squared error, mean absolute error, and Euclidean distance). However, leeway improved the performance in an analysis of location prediction conformance for maritim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leeway in drift trajectory prediction for effective maritim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The results could help with future research on drift trajectory prediction of various floating objects, including marine debris, satellite drifters, and sea ice.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유지보수 활동을 위한 중기 파고 예보 개선 (Improvement of Wave Height Mid-term Forecast for Maintenance Activities in Southwest Offshore Wind Farm)

  • 김지영;이호엽;서인선;박다정;강금석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14권3호
    • /
    • pp.25-33
    • /
    • 2023
  •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increasing offshore activities such as offshore wind farm maintenance and fishing, IMPACT, a mid-term marine weather forecasting system, was established by predicting marine weather up to 7 days in advance. Forecast data from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which provides the most reliable marine meteorological service in Korea, was used, but wind speed and wave height forecast errors increased as the leading forecast period increased, so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the model results was needed. The Model Output Statistics (MOS) method, a post-correction method using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was applie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wave heigh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ecasting the risk of marine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wave height prediction results by the model before correction for 6 to 7 days ahead showed an RMSE of 0.692 m and R of 0.591, and there wa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high waves. After correction with the MOS technique, RMSE was 0.554 m and R was 0.732, confirming that accur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의 집단유전학적 방법에 의한 계군분석 (A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Korean Waters)

  • 강용주;김영혜;홍용기;박중연;박기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20-331
    • /
    • 1996
  •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우리 나라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에 대해 유전자 조성을 관찰하고 군간 비교로 계군을 분석한 것이다. 각기 채집 장소가 다른 9개 지역 집단에 있어서 17개 효소를 사용하여 전기영동법으로 유전적 변이와 분화를 분석하였다. 명확하게 유전자형이 추정된 9개 효소에 대해, 11개의 유전자좌를 표지로 하여, 각기 채집 장소가 다른 9개 지역 집단의 대립유전자빈도와 유전도 변이성의 범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유전자좌당 평균 대립유전자수는 $1.64\~2.18$개 이었다. 집단의 변이량을 나타내는 다형율 $(P+P^{\ast})$$0.273\~0.546$이었다. 평균 이형접합체율 $(H_e)$$0.038\~0.085$이었다. 그리고 Nei의 유전적 거리는 $0.00019\~0.000814$로 넓음을 알 수 있었다. 각기 채집 장소가 다른 9개 지역집단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알아 본 결과,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에는 각각의 계군으로 구명되었고, 하계군과 추계군에는 해류나 지리적인 해양환경에 의해 독립된 하나의 지역개체군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안활동장소 위험도 평가를 위한 동적요소 예측 모듈 구축 (Establishment of a Dynamic Factor Prediction Module for Risk Assessment in Coastal Activity Sites)

  • 유영재;전동수;박원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95-101
    • /
    • 2023
  • 최근 지속적인 연안개발로 여가활동 장소 확대 및 접근성 증가를 가져왔으나, 그에 따른 안전사고도 증가 하였다. 이러한 사고 요인은 인위적인 유형과 자연적인 유형으로 분류되며, 후자는 파도, 조석, 해무 및 바람 등 동적 요소로 구성된다.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기관들은 이미 동적 요소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해상도가 낮아 국지적 위험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오픈시스템의 동적 정보를 활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수치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국지적인 연안활동 장소의 동적요소를 예측하는 자동화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모듈 구축 중 핵심인 수치예측 파랑 결과값과 파고 관측값을 비교검토 하였다.

국내 주요항 조석표상 조석 차이에 관한 연구 - 영국과 한국 조화상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ide Differences in the Tide Tables of Major Ports in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UK and Korean Harmony Constants -)

  • 전재호;문성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27-833
    • /
    • 2019
  • 선박이 항구를 안전하게 입·출항 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많지만, 특히, 선박의 좌초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구의 조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조화상수를 찾고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타 수로국의 조석표상 조화상수 분석 및 정확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 군산, 여수, 부산, 울산 및 속초, 총 6곳의 항구를 대상으로, 실측정보를 기준으로 영국조석표와 한국의 조석표를 비교하였으며, 조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위하여 조화상수를 사용하여 조고, 조시, 조석형태수를 계산한 후 영국과 한국의 정보를 비교하였다. 실측정보와 조석표의 차이 분석 결과 대상 항구 모두 실제 조고와 조시가 차이가 있었으며, 그 원인은 영국과 한국의 조화상수, 조석 기준값, 조석 형태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영국 조석표에 우리나라 표준항을 추가해야 하며, 조석표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조화상수가 지속적으로 최신정보로 업데이트 되어야 하고, 영국 조석표 보다는 각 국가에서 제작하는 조석표가 더 정확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6월중 가막만의 수온, 염분 및 투명도 분포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ransparency in Kamak Bay on June)

  • 이규형;최규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5
    • /
    • 1985
  • 어장환경관리의 기본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4년 6월중에 가막만에서 실시한 해양관측자료를 가지고 상기만의 밀물과 썰물시 해황분포를 알아보고 그 특성이 지형적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됨을 살폈다. 가막만은 두개의 만구와 돌출한 도서 및 지세 등 그 지형적 여건에 의해 4개의 특징적 수괴가 나타난다. 내만수는 내륙의 영향이 강한 정체성을, 여수항수는 섬진강 영향이 큰 저염의 외해성을, 만외수는 해저난류 또는 와류발생으로 수직균질한 외해성을, 중간수는 만외수와 내만수의 중간성격이다. 밀물때 양만구로 유입한 해수는 대략 소경도와 항대를 연결하는 선에서 만난다. 군내리근에서는 지형성 와류 혹은 해저난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밀물때는 해수의 침강이, 썰물때는 저층수의 특성치가 보여지며 그 크기는 약 3 km 까지 뻗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