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sband's cooper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Effect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Employment)

  • 이은희;이은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229명의 결혼이민자 여성들이며,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그리고 취업여부에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여성들의 취업 여부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운데서는 남편의 학력과 국적취득여부가 그리고 개인체계요인 가운데서는 한국어실력과 직업훈련 경험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체계요인 가운데서는 시부모의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혼 이민자 여성들의 취업을 원조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만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특성 및 부부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ing Style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Characteristics of Paren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9-61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and parenting styles of these mothers,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to analyze relevant variable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Data on a total of 1,704 mothers from the 2011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analysed. Firs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yle, marital conflict, and husband's coopera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arital conflict. Second,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followed by marital conflic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arents'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harmony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fo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ree-year-old children.

부조리극 속 여성의 상처와 치유 - 『행복한 나날들』을 중심으로 (Wounds and Healing as a woman in Happy Days)

  • 류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42-24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조리극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사무엘 베케트의 작품 중에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유일한 희곡 "행복한 나날들"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인간의 내면 아이에 초점을 맞추어 등장인물의 상처를 살펴보고, 어떻게 그녀가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지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한 나날들"에 등장하는 여자 주인공 위니(Winnie)는 그녀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고통과 상처를 인지하지 못하고 힘든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자신의 내면 고통을 직면함으로써 그녀는 과거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고통과 마주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스스로 치유의 과정을 겪는다. 위니의 삶에 대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성격은 그녀의 남편 윌리(Willie)의 행동이 변화할 수 있도록 이끌었으며, 남편 윌리의 행동 변화는 그녀의 상처가 치유될 가능성이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니는 그녀의 남편 윌리와의 관계를 통해 그녀의 마음속 고통과 상처에 직면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리고 서서히 자신의 내면 아이의 상처를 치유하는 길을 걷게 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에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exual Quality of Life in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40s)

  • 양은영;장영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219-7226
    • /
    • 2015
  • 본 연구는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을 8개의 인구학적 변인, 8개의 성과 관련된 변인, 6개의 부부 관계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중년 기혼남녀들의 성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2015년 1월 19일부터 2015년 3월 5일에 걸쳐 서울의 강남 2곳과 강북 2곳의 건강검진센터 방문 대상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0세~49세까지의 기혼 남녀 18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변인 중에는 학력(p<.05), 건강상태(p<.001), 결혼기간(p<.01), 월평균 수입(p<.01)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성 관련 변인 중에서는 성지식 정도(p<.01), 포르노 접촉(p<.001), 분만시 남편의 참여 여부(p<.001) 등의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관계적 변인 즉 배우자와의 갈등 유무(p<.05), 성생활의 빈도(p<.001), 배우자와의 애정강도(p<.001), 가족전체와의 화목도(p<.001), 부부간의 일반적 의사소통(p<.001) 및 성적 의사소통 정도(p<.001)에서는 6개의 변인 모두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함을 보여 주어 결론적으로 성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또는 성관련 변인보다 부부 관계적 변인이 더 중요함을 보여 주었다.

미혼 남·녀 근로자가 보는 맞벌이가정의 심상과 일·가정 양립조건 (Unmarried Workers Perceptions of Image and Work-Family Balancing Conditions of Dual-Earner Families)

  • 김선미;구혜령;이승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145-164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the conditions of and the barriers to the work- family balance among unmarried workers. The data was drawn from 5 focus groups consisting of 4 workers each. The 20 participants, aged 21 through 38, were interviewed in mini groups composed of 2 male workers and 2 female workers each. The research depicts four main themes about their work-family balance: the image of a dual-earner family, women's market labor, housework, and the ideal conditions of a dual-earner family.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unmarried workers desperately want to be part of a dual earning family for economic survival. However, they also know that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make ends meet and to live as dual-earner families because of the lack of a proper social support system. However, most of them believe that they must solve these problems on their own, and they do not expect to receive help from systematic public policies. They think that they should find solutions by rearranging the role divisions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or by asking for help from their parents or other relatives. The only assistance they expect from the government are reliable child care facilities and governmental incentives to promote stimulate the family-friendly workplace.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Infant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Family Environment Focused on Employment Status)

  • 김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3-79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족환경의 제반여건이나 심리적, 물리적 환경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어떤 요인들이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정환경 변인을 분석한 결과, 먼저 양육환경에서는 비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하여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며 남편의 양육협조를 받지 못했다. 또한, 어머니의 개인변인에서 취업모의 자아존중감이 비취업모에 비해 높은 편인 반면, 비취업모는 우울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아버지 개인 변인에서 남편이 지각하는 부부갈등 수준이 아내가 취업한 경우에 높았다. 아동변인에서는, 비취업모가 자신의 자녀가 좀 더 부정적인 정서를 보이며 까다로운 편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자녀가 발달 상태에 있어서는 정상발달 범주에 포함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부인의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부부갈등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양육협조와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취업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인의 최종학력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아기 가정의 가정환경을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비교 모색하였고, 어떤 변수들이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사회경제적 발전, 양성평등 그리고 출산율의 결정요인 -가족 중심축의 수평화 2단계 모형을 중심으로- (Socioeconomic development, gender equity and birthrate's determinant: focused on the family axis' transformation model)

  • 이제상;송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56-270
    • /
    • 2016
  • 본 논문은 '가족 중심축의 수평화 2단계 모형'이란 분석틀을 통해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라 출산율이 하락하는 단계와 출산율이 상승하는 단계가 있음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경제적 발전이 진행되면서 가족의 중심축이 부자(父子)의 수직축에서 부부(夫婦)의 수평축으로 이동하며, 그 과정은 결혼 이혼 등 가족의 형성 측면에서 남녀 개인의 평등을 이루는 산업화 단계와, 자녀양육 가사노동 등 가족의 유지 측면에서 부부 평등을 이루는 후기 산업화 단계로 나뉜다. 본 논문은 전세계 136개국을 대상으로 OECD 가입국 33개국을 후기산업화단계의 선진국으로, 나머지 103개국을 산업화단계의 개발도상국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종속변수 출산율에 대해 출생성비, 평균 출산연령,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통제변수로, 1인당 국민소득, 여성의 교육수준, 성격차지수를 설명변수로 하고, 산업화단계 국가들과 후기산업화 단계 국가 별로 출산율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산업화 단계의 개도국에는 여성의 교육수준과 1인당 국민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으나, 성격차지수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에 후기산업화 단계의 선진국에서는 성격차지수와 1인당 국민소득, 여성의 교육기대연한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결론적으로 산업화단계에서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후기산업화단계에서는 성평등수준이 출산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뇌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A Study on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Brain Disease)

  • 윤정희;조결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9-412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mothers with brain disease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taking a sample of mothers with brain disease children hospitalized in neurosurgery ward of K medical center in Seoul from Nov. 20, 1992 to Mar. 10, 1993. The collected date were analized by S.P.S.S. program(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The mean of the degree of mothers' stress was 3.681. Of the stress categories, illness treatment (4.216) was highest, and the next were in order of ill-ness status and prognosis(4.154) , family relation-ships and personal roles(3.202), interpersonal relationships(2.916). 2. The mean of the degree of mothers' coping method was 2.930. Of the coping method categories, communication with medical team or parents in similar situations(3.332) was highest, and the next were in or-der of family cooperation and optimistic thought about the situation(3.241), reforcement of self esteem and maintenance of psychological stability(2.538). 3. There was not seen a sta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factors and coping methods of mothers. But with categories, the higher the stress to illness status and prognosis was, the hight coping methods'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medical team or parents in similar situations was shown a positive correlation, if not high (r=.2776, P=.046) . And the higher the stress to illness treatment was, the higher coping methods'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medical team or parents in simial situations was shown a positive correlation, if not high (r=.2727, P=.049). 4. With the difference of stress according to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religion and monthly income shew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mothers' group who have a religion shew the higher degree of stress(t=-3.17, P=.003), The group who get the most income shew highest degree of stress (F=.4693, P=.0156). With the difference of coping according to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st support-ing person, satisfaction with husbands and mothers' own health status she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 who get the most support from parents-in-law(F=3.7508, P=.013), the group who are much satisfied with husband(F=3.589, P=.016), and the group whose health status are good(F=3.3675, P=.046), shew the highest coping degre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stress and coping by children's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ill be concluded as follows. 1. Investigating the stress factors, which mothers are perceiving, it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of nursing plan so as to reduce the stress of mothers. 2. In searching for the ways of mothers' more helpful coping methods, it shows the necessity of the a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mother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ir stress. That is, the nurse should serve the earnest nursing as counselor, supporter, educator, and information - provider. 3. Recogning mothers as well as children with brain disease as a client, the nurse will be able to help the mother, who is taking care of the children, cope with the stress situation well,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covery, rehabilitation, and health of the children and to the enhancement of the family' health.

  • PDF

일본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하는 자녀에 대한 민족사회화 수행 : 만 7-18세 자녀를 중심으로 (Perceived Enactment of Ethnic Socialization by Japanese Marriage Migrant Mothers of 7- to 18-Year-Old Children)

  • 윤수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3호
    • /
    • pp.15-2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currently raising 7- to 18-year-old children in Korea. To accomplish this goal, we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level of 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Japanese marriage migrant mothers? (2) Does the level of ethnic socialization vary by demographic and ethnocultural factors? (3) To what extent do demographic and ethnocultural factors influence the enactment of ethnic socialization by Japanese marriage migrant mothers? The sample consisted of 243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currently raising 7- to 18-year-old children in Korea. For data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lso, we performed separate analyses for two subtypes of ethnic socialization in particular, namely cultural socialization and preparation for bias. Ethnocultural factor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Japanese ethnic identity, and husbands' ethnic orientation in childrear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enacted moderate levels of cultural socialization and preparation for bias. Second,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al socialization and preparation for bia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s of women's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Japanese ethnic identity. Also, the younger the age of the firstborn child, the more preparation for bias these women performed. In addition, women whose Korean husbands wanted to raise their children more biculturally performed more cultural socialization compared to those with Korean husbands who wanted to raise their children as Korean.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men's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ethnic identity positively predicted both types of ethnic socialization. Also, Korean husband's bicultural orientation towards childrearing predicted a higher level of cultural socialization by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ethnic socializ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which can be useful for promoting positive self-identity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husbands' support and cooperation in ethnic socialization can be crucial for marriage migrant women to socialize their children utilizing their cultural and experienti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