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man nutrition and health

검색결과 1,193건 처리시간 0.024초

저항전분 함유 도담쌀 볶음 현미가루의 입도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ound particle size of roasted brown rice 'Dodamssal' containing resistant starch)

  • 박지영;이석기;최인덕;최혜선;김남걸;신동선;정광호;박장환;정현정;오세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09-516
    • /
    • 2019
  • 본 연구는 가공용 쌀의 식품산업 소재화를 위해 저항전분 함량을 증대시키는 열가공법 중의 하나인 볶음 처리를 이용하여 분쇄 입도별 제조된 중간 아밀로스 밥쌀용 품종인 일품과 저항전분을 함유한 고아밀로스 품종인 도담쌀 현미가루의 일반성분, 입자크기, 전분 함량 및 HI와 eGI를 비교하였다. 조지방, 조단백, 회분 함량은 품종간 차이는 있었으나 볶음 처리 후 입자크기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분의 경우 볶음 처리 후 품종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수분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입자크기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입도 분포 중 50%의 입자크기(중위수) 및 절대편차 적어서 입자의 균일성도 높았고, 입자체적 평균도 도담쌀의 입자가 유의적으로 작았다. 도담쌀의 저항전분 함량은 13% 정도를 보였고, 입자 크기별로 차이가 없었다. HI와 eGI는 일품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도담쌀은 평균입자크기가 50 ㎛ 이하인 시료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도담쌀은 쌀가루로 가공 시 분쇄가 균일하게 잘되며 저항전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혈당지수도 낮아 건강식품 소재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 결과는 도담쌀을 활용한 쌀 가공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초미세 분쇄한 감국으로부터 추출된 phenolic 화합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 (Inhibition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ound Chrysanthemum indicum L. on Xanthine Oxidase)

  • 조영제;김병오;박혜진;이은호;조재범;이재은;임수빈;김예진;박기태;최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02-908
    • /
    • 2017
  • 본 연구에서 98종의 한약재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물과 ethanol을 용매로 이용한 추출물에 대하여 xanthine oxidase(XOase)의 저해에 의한 통풍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Chrysanthemum indicum L. (83.45%), Cuscuta chinensis (60.22%), Asiasarum sieboldi F. Maekawa (51.66%), Acorus gramineus (67.8%),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75.23%), Thuja orientalis (47.27%), Polygonum aviculare (53.98%), Carthami semen (63.99%), Syzygium aromaticum (40.22%) 등이 비교적 높은 XOase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감국의 경우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XO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어 시료로 선발되었다. 감국의 유효성분을 확인한 결과 단순 고형분보다 고형분에 포함된 phenolic 성분이 XOase 저해 효과에 관여함이 입증되었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한 분쇄조건은 일반분쇄보다는 초미세 분쇄한 시료에서 추출 수율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추출된 감국 추출물의 XOase 저해 활성은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enolics의 첨가농도가 높아지면서 XO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 기술은 감국으로부터 XOase 저해 물질의 추출 수율 증가를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나무(이대)잎 추출물이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한 흰쥐의 지방 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 한성희;신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6
    • /
    • 2002
  • 흰쥐의 식이섭취량에서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증가하였고, 체중증가량은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없었다. 또한 각각의 지방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질 농도에서 대조군은 241.17 mg/dL 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249.00 mg/dL으로 증가하였다.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254.00{\sim}255.50\;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225.60{\sim}240.60\;mg/dL$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3% 농도군이 가장 낮았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에서 대조군은 96.17 mg/dL에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24.50 mg/dL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나무 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134.07{\sim}199.33\;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함 급여한 군은 $101.13{\sim}131.80\;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 대조군은 17.50 mg/dL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8.50 mg/dL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은 $16.00{\sim}19.00\;mg/dL$이나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22.00{\sim}24.80\;mg/dL$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 식이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92.00{\sim}111.00\;mg/dL$ 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은 $111.17{\sim}122.40\;mg/dL$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