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antibodie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초

인간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 수지상세포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Gefitinib의 영향 (The Effect of Gefitinib on Immune Response of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 조진훈;김미현;이광하;김기욱;전두수;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6호
    • /
    • pp.456-464
    • /
    • 2010
  • Background: Synergistic antitumor effects of the combined chemoimmunotherapy based on dendritic cell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new applicability of gefitinib into the combination treatment through the confirmation of gefitinib effects on the monocyte derived dendritic cells (moDCs); most potent antigen presenting cell (APC). Methods: Immature and mature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 (im, mMoDC)s were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cyte (PBMC) in Opti-MEM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IL-4, GM-CSF and cocktail, consisting of TNF-${\alpha}$ (10 ng/mL), IL-$1{\beta}$ (10 ng/mL), IL-6 (1,000 U/mL) and $PGE_2$ ($1{\mu}/mL$). Various concentrations of gefitinib also added on day 6 to see the influence on immature and mature MoDCs. Immunophenotyping of DCs under the gefitinib was performed b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CD14, CD80, CD83, CD86, HLA-ABC, HLA-DR). Supernatant IL-12 production and apoptosis of DCs was evaluated. And MLR assay with $[^3H]$-thymidine uptake assay was done. Results: Expression of CD83, MHC I were decreased in mMoDCs and MHC I was decreased in imMoDCs under gefitinib. IL-12 production from mMoDCs was decreased under $10{\mu}M$ of gefitinib sinificantly. Differences of T cell proliferation capacity were not observed in each concentration of geftinib. Conclusion: In spite of decreased expressions of some dendritic cell surface molecules and IL-12 production under $10{\mu}M$ of gefitinib,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f gefitinib in antigen presenting capacity and T cell stimulation were not observed.

고주파 통증치료기를 이용한 재활 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Radiofrequency Treatment)

  • 조재현;이상용;이근용;윤세진;정하영;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20
  • 인체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면 진동 폭이 매우 짧아서 직류 전류 이용 시 발생하는 전해질 화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온분자, 분극분자 등이 초당 4만 번 이상 진동을 하면서 마찰열로 전환되어 심부열을 발생시켜 모세혈관의 혈류량은 휴식 시 보다 4~5배 증가하여 산소, 영양물질, 항체, 백혈구 등 공급의 증가한다. 또한 진동 폭과 맥동기간이 매우 짧아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물리적 인자치료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통증치료기를 사용하여 젊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등장성운동을 시키고, 등장성 운동 시 근전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신경 응답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재활치료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윗팔두갈래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근전도 데이터와 운동 후 고주파통증치료기사용 후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 RMS하여 t-검정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t값, p값이 유의수준(<.05) 보다 작게 나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ucosal Immunity Related to FOXP3+ Regulatory T Cells, Th17 Cells and Cytokines i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 Cho, Jinhee;Kim, Sorina;Yang, Da Hee;Lee, Juyeon;Park, Kyeong Won;Go, Junyong;Hyun, Chang-Lim;Jee, Youngheun;Kang, Ki So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2호
    • /
    • pp.336.1-336.12
    • /
    • 2018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mucosal immunity related to forkhead box P3 ($FOXP3^+$) regulatory T (Treg) cells, T helper 17 (Th17) cells and cytokines i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Methods: Mucosal tissues from terminal ileum and colon and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elve children with IBD and seven control childre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done using anti-human FOXP3 and anti-$ROR{\gamma}t$ antibodies. Serum levels of cytokines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x assay covering interleukin $(IL)-1{\beta}$, IL-4, IL-6, IL-10, IL-17A/F, IL-21, IL-22, IL-23, IL-25, IL-31, IL-33, interferon $(IFN)-{\gamma}$, soluble CD40L,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Results: $FOXP3^+$ Treg cells in the lamina propria (LP) of terminal ileum of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in the healthy controls. $ROR{\gamma}t^+$ T cells of terminal ileum tended to be higher in Crohn's disease than those in the control. In the multiplex assay, serum concentrations (pg/mL) of IL-4 ($9.6{\pm}1.5$ vs. $12.7{\pm}3.0$), IL-21 ($14.9{\pm}1.5$ vs. $26.4{\pm}9.1$), IL-33 ($14.3{\pm}0.9$ vs. $19.1{\pm}5.3$), and $IFN-{\gamma}$ ($15.2{\pm}5.9$ vs. $50.2{\pm}42.4$)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rohn's diseas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serum concentration of IL-6 ($119.1{\pm}79.6$ vs. $52.9{\pm}39.1$) was higher in Crohn's disease than that in the control. Serum concentrations of IL-17A ($64.2{\pm}17.2$ vs. $28.3{\pm}10.0$) and IL-22 ($37.5{\pm}8.8$ vs. $27.2{\pm}3.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lcerative colitis than those in Crohn's disease. Conclusion: Mucosal immunity analysis showed increased $FOXP3^+$ T reg cells in the LP with Crohn's disease while Th17 cell polarizing and signature cytokines were decreased in the serum samples of Crohn's disease but increased in ulcerative colitis.

해조류 유래 Fucoidan의 어류용 백신 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Potential of Fucoidan Extracted from Seaweeds as an Adjuvant for Fish Vaccine)

  • 민은영;김광일;조미영;정승희;한현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9
  • Fucoidan(후코이단)은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되는 fucose를 함유한 함황 다당류의 일종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효과와 함께 다양한 경로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생리 기능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백신 분야에서는 fucoidan의 백신 adjuvant(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보조사료로서의 fucoidan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수산용 백신 개발을 위한 adjuvant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동물세포에서 fucoidan의 adjuvant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와 함께 안전성을 증명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fucoidan을 어류 백신용 adjuvan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류에서도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fucoidan의 분자량에 따라 세포 내 흡수율이 각기 다르다는 점과 병원체의 인위감염에 따른 항체 생성을 포함한 어류의 특이면역 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뒷받침 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adjuvant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fucoidan이 사람과 동물을 포함하여 어류의 면역자극 즉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수산업 분야에서 fucoidan의 사용과 어류 백신용 adjuvant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임신 중 바이러스성 감염요인과 갑상선 호르몬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Thyroid Hormone and Viral Infections in Pregnancy)

  • 임동규;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8-37
    • /
    • 2022
  • 임신은 갑상선 기능 검사의 중요한 해석을 필요로 하며 임신 중 갑상선 기능 이상과 외부 바이러스성 감염 인자들의 항체의 존재는 태아 및 산모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에 임신에서 갑상선 기능의 선별적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기간 동안 정상 산모들의 선택적 산전 감염인자 검사 항목 중에서 갑상선 관련 인자와 바이러스성 감염 인자의 임신시기별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후향적 단편 실태조사이다.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T3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특히 HCV가 양성인 그룹에서 양의 유의성을 보였다(P<0.01). 또한 HIV가 음성이지만 임계치에 근접하거나 쌍둥이 임산부에서는 FT4가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TSH는 30대 연령에서 높게 분포하였으며, 다른 바이러스성 감염인자와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SH의 결과 값을 삼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FT4와 T3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TSH와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임신 중 산전검사인 갑상선 검사와 바이러스성 감염인자의 검사를 통한 임신 중 평가는 임신 경과시간, 감염인자의 노출상태 및 정량적 수치의 상태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갑상선 관련 내분비 인자에 대한 산전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mpacts of Pre-transplant Panel-Reactive Antibody on Post-transplantation Outcomes: A Study of Nationwide Heart Transplant Registry Data

  • Darae Kim;Jin-Oh Choi;Yang Hyun Cho;Kiick Sung;Jaewon Oh;Hyun Jai Cho;Sung-Ho Jung;Hae-Young Lee;Jin Joo Park;Dong-Ju Choi;Seok-Min Kang;Myoung Soo Kim;Jae-Joong Kim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4권6호
    • /
    • pp.325-335
    • /
    • 2024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number of sensitized heart failure patients on waiting lists for heart transplantation (HTx) is increasing. Using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y (KOTRY), a nationwide multicenter databas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linical impact of calculated panel-reactive antibody (cPRA) in patients undergoing HTx.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13 patients who underwent HTx between 2014 and 2021.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peak PRA level as group A: patients with cPRA ≤10% (n= 492); group B: patients with cPRA >10%, <50% (n=160); group C patients with cPRA ≥50% (n=161). Post-HTx outcomes were freedom from antibody-mediated rejection (AMR), acute cellular rejection, coronary allograft vasculopathy, and all-cause mortalit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44 (19-72) months. Female sex, re-transplantation, and pre-HTx renal replacement therapy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ensitization (cPRA ≥50%). Group C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longer hospital stays and to use anti-thymocyte globulin as an induction agent compared to groups A and B. Significantly more patients in group C had positive flow cytometric crossmatch and had a higher incidence of preformed donor-specific antibody (DSA) compared to groups A and B. During follow-up, group C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AMR, but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groups A and B. In a subgroup analysis of group C, post-transplant survival was comparable despite higher preformed DSA in a desensitized group compared to the non-desensitized group. Conclusions: Patients with cPRA ≥50% ha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reformed DSA and lower freedom from AMR, but post-HTx survival rates were similar to those with cPRA <50%. Our findings suggest that sensitized patients can attain comparable post-transplant survival to non-sensitized patients when treated with optimal desensitization treat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Intranasal and intraperitoneal immunization against Brucella infection using niosome and mannosylated niosomes containing Brucella recombinant trigger factor/Bp26/Omp31 chimeric protein in a mouse model

  • Fahimeh Sharif;Razieh Nazari;Mahdi Fasihi-Ramandi;Ramezan Ali Taheri;Mohsen Zargar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32-241
    • /
    • 2024
  • Purpose: Brucellosis, a zoonotic infectious disease, is a worldwide health issue affecting animals and humans. No effective human vaccine and the complications caused by the use of animal vaccines are among the factors that have prevented the eradication of the disease worldwide. However, bio-engineering technologies have paved the way for designing new targeted and highly efficacious vaccines. In this regard, the study aimed to evaluate immunity induced by mannosylated niosome containing Brucella recombinant trigger factor/Bp26/Omp31 (rTBO) chimeric protein in a mou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rTBO as chimeric antigen (Ag)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and, after purification, loaded on niosome and mannosylated nioso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noparticles were assessed. The mice were immunized using rTBO, niosome, and mannosylated niosome-rTBO in intranasal and intraperitoneal routes. Serum antibodies (immunoglobulin [Ig]A, IgG, IgG1, and IgG2a) and splenocyte cytokines (interferon-gamma, interleukin [IL]-4, and IL-12) were evaluated in immunized mice. Finally, immunized mice were challenged by B. melitensis and B. abortus. A high antibody level was produced by niosomal antigen (Nio-Ag) and mannosylated noisomal antigen (Nio-Man-Ag)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10, 24, and 38 days of immunization. The IgG2a/IgG1 titer ratio for Nio-Man-Ag was 1.2 and 1.1 in intraperitoneal and intranasal methods and lower than one in free Ag and Nio-Ag. Cytokin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mmunized animal with Ag-loaded nanoparticles than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p<0.05). Moreover, cytokine and antibod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jection than in the inhalation method (p<0.05). Results: The combination of mannosylated noisome and rTBO chimeric proteins stimulate the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 and produce cytokines, playing a role in developing the protective acquired immune response in the Brucella infectious model. Also, the intraperitoneal route resulted in a successful enhancement of cytokines production more than intranasal administration. Conclusion: Designing an effective vaccine candidate against Brucella that selectively induces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 can be done by selecting a suitable nanoniosome formulation as an immunoadjuvant and recombinant protein as an immune response-stimulating Ag.

형광 물질 직접 표지를 위한 Poly Lysine 도입 Lym-1 단일사슬 항체의 제조 및 면역반응성 평가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Immunoreactivity of Poly Lysine-Tagged Single Chain Fragment Variable (ScFv) Lym-1 Antibody for Direct Conjugation to Fluorescence Dye)

  • 정재호;최태현;우광선;정위섭;강주현;정수영;최창운;임상무;천기정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487-494
    • /
    • 2009
  • 목적: 작은 크기의 재조합 단일사슬 항체는 빠른 혈중 제거율과 종양의 항체 집적율이 증가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항체의 작은 크기는 방사성 또는 형광물질의 표지를 위한 킬레이터 결합에 중요한 아미노산 그룹의 감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사슬 lym-1 염기서열 C-말단에 lysine 아미노산 태그를 삽입하여 형광 물질의 직접표지 및 그 표지수율 증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균 pET-22b (+) 벡터에 재조합 된 lysine 삽입 단일사슬 lym-1유전자는 대장균 BL21 (DE3)에 형질전환하여 발현하였다. 생산된 lysine lym-1 항체는 Ni-NTA 컬럽과 분자량 컬럼을 사용해 정제하였고. 단백질 전기 영동과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lysine lym-1 항체에 방사성 동위원소인 I-124, I-125, I-131 과 Tc-99m를 표지하여 그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유세포계측기를 사용해 형광물질인 FITC가 직접표지된 라이신 lym-1 항체의 면역반응성을 사람의 버킷 림프종 세포주인 Raji 세포주에서 면역반응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Lysine도입 단일사슬 lym-1 항체는 두 과정의 정제를 통하여 획득하였으며 그 크기는 약 48 KDa이었고, 방사성동위원소인 I-124, I-125, I-131과 Tc-99m의 표지수율은 각각 >99%, >99%, >95%, >99%로 확인되었다. 유세포계측을 통한 lysine 도입 단일사슬 lym-1항체의 면역반응성은 기존의 단일사슬 lym-1항체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재조합 lym-1 항체에 형광 물질을 직접 표지하기 위한 lysine 아미노산의 도입은 항체의 면역반응성 감소를 최소화 시키면서 직접표지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인체 섬유모세포(HGF-1) 배양에서 소아용 치과금속재의 세포친화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A MOLECULAR BIOLOGIC STUDY ON BIOCOMPATIBILITY OF METALLIC DENTAL MATERIALS USED FOR CHILDREN WITH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주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3-254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 흔히 사용되는 3종의 금속재에 의한 인체 섬유모세포(HGF-1)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적 및 분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 및 세포사,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물질 발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고, 세포사는 screening한 후 세포사의 유형(necrosis/apoptosis)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GF-1은 DMEM으로 계대배양한 후 유지하였으며, 사용한 금속재는 stainless steel crown (R), 교정용 band(B), 교정용 wire(W)의 세 종류였다. HGF-1세포의 증식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cell count를 하였고, 생존세포 count를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를 계산하였다. 세포수는 배양일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7일째에 최고를 나타내었고, 11일째에는 감소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 또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포사에 대한 형태적 소견은 괴사(necrosis)를 나타내었다. PCNA lableing index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신호전달 관련 MAP kinase인 ERK1 및 ERK2, p38, JNK는 배양일의 경과에 따른 발현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각 실험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대상인 stainless steel crown, 교정용 band 와 wire, 세 종류의 소아 치과용 금속재는 단기간의 인체섬유모세포를 이용한 세포친화성 검정에 있어서 세포적, 분자적 위해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Peroxiredoxin 및 Thioredoxin의 발현 변화 (Altered Expression of Peroxiredoxin and Thioredoxin in Septic Animal Model)

  • 김형중;채호준;안철민;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451-459
    • /
    • 1999
  • 배 경 : 패혈증에서 과도한 활성산소종의 생성은 급성 폐손상의 병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talase 및 MnSOD 등의 항산화 단백은 패혈증 환자의 혈청내 증가하며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예측 인자 및 패혈증의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Peroxiredoxin(Prx) 는 최근 독특하고 중요한 세포내 항산화 단백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대식세포인 mouse monocyte-macrophages(RAW 264.7)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 및 내독소 처리후 Prx I 및 Prx II의 발현 평가하고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복강세척액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 Prx I, Prx II 및 Trx의 양을 측정하였다. 방 법 : Prx I, Prx II 및 Trx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 분석으로 호중구, 대식세포 및 적혈구에 이들의 분포를 평가하였다. Mouse monocyte-macrophages 세포에 $5\;{\mu}M$ menadione 및 1 mg/ml lipopolysaccharide(LPS) 을 처치하여 Prx I 및 Prx II의 발현을 평가하였으며 6 mg/Kg LPS를 복강내 투여하여 유발한 복강내 패혈증 동물의 복강세척액내 Prx I, Prx II 및 Trx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복강내 패혈증 동물 및 5 mg/Kg LPS를 정맥내 투여하여 유발한 정맥내 패혈증 동물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Prx I, Prx II 및 Trx을 측정하였으며 폐장의 염증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 : Prx I 및 Prx II의 분포는 호중구, 폐포대식세포 및 적혈구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Mouse monocyte-macrophages 세포에 $5\;{\mu}M$ menadione 및 $1\;{\mu}g/ml$ lipopolysaccharide을 처치하였을 때 Prx I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Prx II 발현은 변화하지 않았다. 복강내 패혈증 동물에서 복강세척액내 Prx I, Prx II 및 Trx의 양은 증가하였으나 복강내 패혈증 및 정맥내 패혈증 동물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폐장 염증 정도와 관계없이 Prx I, Prx II 및 Trx의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결 론 : 세포내 항산화 단백으로서 mouse monocyte-macrophages 세포에서 Prx I의 발현은 산화 스트레스 및 내독소 처치후 증가한다. Prx I, Prx II 및 Trx양은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국소 염증 부위에서 증가하나 손상된 폐장에서는 증가하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