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HepG2 cells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8초

IN2001 Regulates CYP3A4 Gene Expression in Hep G2 Cells

  • Ahn, Mee-Ryung;Kim, Dae-Kee;Sheen, Yhun-Yhong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1-179
    • /
    • 2004
  • Cytochrome P4503A4(CYP3A4) is the most abundnat CYPs in human liver, comparising approximately 30% of the total liver CYPs contents ans is involbed in the metabolism of more than 60% of currently used therapeutic drugs. The expression of CYP3A4 is induced by a variety of structurally unrelated xonobiotics including the antibiotic rifampicin and endogenous hormones, and might be mediated through steroid and xenobiotic receptor(SXR) system.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regulation of CYP3A4 gene expression hae not been understood. In order to gain the insight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CYP3A4 gene expression,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if the histone deacelylation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YP3A4 gene expression by proximal promoter or not. Also SXR was investigated to see if they we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YP3A4 proximal promoter activity. HepG2 or Hena-I cells were transfected with a plasmid containing~1kb of the CYP3A4 proximal promoter region (-863 to +64bp) cloned in front of a reporter gene, luciferas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XR or hER. Transfected cells were treated with CYP3A4 inducers such as rifampicin, PCN and RU 486, or with estradiol, in order to exmine to regulation of CYP3A4 gene express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ichostatin A (TSA). In HepG2 cells, CYP3A4 inducers and estradi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uciferase activity by CYP3A4 proximal promoter, only when TSA was co-treated after SXR cotransfection. In the case of Hepa-I cells CYP3A4 inducers and estradiol incressed modestly the luciferase activity when TSA was co-treated, but this increment was not enhanced by SXR cotransfection in contrast to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hibition of histone deacetylation was required to SXR-mediated increase in CYP3A4 proximal promoter region when rifampicin, or PCN was treated. Futher a trans-activation by SXR may demand other species-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 PDF

Bauhinia forficata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활성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Apoptotic Induction of Bauhinia forficata Extract in Human Cancer Cells.)

  • 임혜영;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1
    • /
    • 2004
  • 남미 아마존 유역의 열대 우림 자생식물인 Pata de Vaca(Bauhinia forficata)의 추출물로부터 활성분획을 분리하여, 세포성장 억제활성 및 세포사멸 유도에 관해 조사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그 저해 활성을 비교 분석해 가면서 Pata de Vaca의 70% ethanol 추출물을 HP-20 Diaion column chromatograph 및 C-18 column chromatography에 순차적으로 적용시켰다. 그 결과, 저해 활성이 가장 강하며 수율이 높은 Pata-50을 분리하여, 6종의 암세포주에 대한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Pata-50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는, MCF-7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주인 HepG2, HT-29, AGS, A549 및 HeLa세포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인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IC_{50}$ 는 40.4-77.5$\mu\textrm{g}$/$m\ell$의 농도 범위에서 나타났다. Pata-50의 세포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므로, HepG2 세포에.If Pata-50에 의한 세포주기의 변화와 세포사별로 유도되는 세포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y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ata-50은 HepG2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지만, 세포주기 조절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많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Pata-50을 50$\mu\textrm{g}$/$m\ell$ 이하로 처리할 경우에는 apoptosis가 유도된 세포기 비율이 10%미만이지만, 80$\mu\textrm{g}$/$m\ell$ 및 110$\mu\textrm{g}$/$m\ell$을 처리하면 28.6%및 56.2%로_급격히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세사멸에 결정적인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HeLa세포주에 Pata-50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HeLa 세포주에 Pata-50을 80$\mu\textrm{g}$/$m\el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caspase-3.가 활성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PARP가 116 kDa에서 85kDa로 cleavag되어, 불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트륨 옥소 공동수송체 유전자와 녹색 형광 유전자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간암세포주 확립 (Establishment of a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Expressing Dual Reporter Genes: Sodium Iodide Symporter (NIS) and Enhanced Green Fluorescence Protein (EGFP))

  • 곽원정;구본철;권모선;이용진;이화영;유정수;김태완;전권수;천기정;이상우;안병철;이재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3호
    • /
    • pp.226-233
    • /
    • 2007
  • 목적: 광학과 핵의학 및 자기공명 분자영상 기술은 생체내에서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가지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영상화 할 수 있는 복합분자영상은 유전자의 발현과 유전자 치료 후 효능의 평가를 다양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의학 영상이 가능한 NIS와 광학 영상이 가능한 EGFP 두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하는 HepG2-Retro-PNRGW (PGKp-NIS-RSVp-EGFP-WPRE) plasmid를 이용한 간암 세포주(HepG2-NE)를 구축하고, NIS와 EGFP 리포터 유전자의 기능 발현을 체내에서 광학영상과 핵의학 영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pcDNA-NIS로 부터 NIS 유전자를 분리하여 pRetro-PN vector를 만든 후, pLNRGW (LTR-NeoR-RSV-EGFP-WPRE)로부터 RSV-EGFP-WPRE 조각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NIS와 EGFP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pRetro-PNRGW vector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vector를 이용하여 Retro-PNRGW retro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HepG2 세포에 감염시켜 HepG2-NE 세포주를 만들었다. 이 세포주의 NIS 유전자의 발현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mRNA 발현을 확인하였고, EGFP 유전자의 발현은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EGFP 단백질이 발현하는 녹색형광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이중 리포터 유전자 중 NIS 유전자의 기능은 세포에서 방사능 옥소의 섭취량과 유출량의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누드마우스에 이식하여 형광 영상, I-123을 이용한 감마카메라 영상과 I-124를 이용한 소동물용 PET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과: NIS와 EGFP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HepG2 세포주가 성공적으로 만들어졌다. 세포의 약 50% 정도가 형광 현미경 아래에서 관찰되었다. NIS 유전자의 발현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NIS가 발현된 세포의 방사능옥소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9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방사능옥소 유출량 실험에서는 약 9분에 반 정도의 옥소가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축된 세포주를 이식한 후 획득한 형광 영상, 감마카메라과 소동물용 PET 영상에서는 반대쪽의 대조군 세포를 이식한 것에 비하여 뚜렷한 형광신호가 보였고, 더 높은 방사능옥소 섭취가 확인되었다. 결론: NIS와 EGFP의 이중 리포터 유전자를 가지는 간암 세포주가 성공적으로 구축되었고, 소동물에서 두 유전자를 각각 치료용 리포터 유전자와 영상 리포터 유전자로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Bile Acids and Their Derivatives o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Park, Hwa-Sun;Yee, Su-Bog;Choi, Hye-Joung;Chung, Sang-Woon;Park, Sang-Eun;Yoo, Young-Hyun;Kim, Nam-Deu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45.2-246
    • /
    • 2002
  • We studied 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bile acids and their derivatives o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Ursodeoxycholic acid (UDCA) and its synthetic derivative HS-1030. and chenodeoxycholic acid (CDCA) and its synthetic derivatives. HS-1199 and HS\ulcorner200, were used. We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cell cycle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se bile acid derivatives. (omitted)

  • PDF

Ginsenoside F2 enhances glucose metabolism by modulating insulin signal transduction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Shengqiang Han ;Long You ;Yeye Hu ;Shuai Wei ;Tingwu Liu ;Jae Youl Cho ;Weicheng H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420-428
    • /
    • 2023
  • Background: Ginsenoside F2 (GF2), a minor component of Panax ginseng,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 wide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However, its effects on glucose metabolism have not yet been reported. Here, we investigated the underlying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its effects on hepatic glucose. Methods: HepG2 cells were used to establish insulin-resistant (IR) model and treated with GF2. Cell viability and glucose uptake-related genes were also examined by real-time PCR and immunoblots. Results: Cell viability assays showed that GF2 up to 50 μM did not affect normal and IR-HepG2 cell viability. GF2 reduc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phosphorylation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signaling components such as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 and p38 MAPK, and reducing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Furthermore, GF2 activated PI3K/AKT signaling, upregulated the levels of glucose transporter 2 (GLUT-2) and GLUT-4 in IR-HepG2 cells, and promoted glucose absorption. At the same time, GF2 reduced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and glucose-6-phosphatase expression as well as inhibiting gluconeogenesis. Conclusion: Overall, GF2 improved glucose metabolism disorders by reduc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in IR-HepG2 cells via MAPK signaling, participating in the PI3K/AKT/GSK-3β signaling pathway, promoting glycogen synthesis, and inhibiting gluconeogenesis.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Ha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Triglyceride Accumulated HepG2 Cells)

  • 차재영;김대진;김석환;김영길;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6-590
    • /
    • 2003
  • 사람 간 배양세포 유래 HePG2 세포에 영양성분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중성지질을 축적시킨 상태에서 한방 황련해독탕(HT)의 약리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간세포는 1 mM oleate, 0.2% BSA, glucose 4.5 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시간 및 24시간 배양하였으며(실험 I), 이때 황련해독탕을 첨가한 배양액에는 [$^{14}$ C]-oleate (0.5 $\mu$Ci/mL medium)를 동시에 첨가하여 중성지질 획분에의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하였다. 또한, 간세포에 2 mM oleate, 0.5% BSA, glucose 4.2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 24및 48시간 배양(실험 II) 또는 1 및 3시간 배양(실험 III)하였다. 실험 I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농도는 HT첨가 6 및 24시간 배양에서 약물농도첨가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때 HT첨가시 [$^{14}$ C]-oleate 동위원소는 세포내 중성지질 획분의 추적량과 세포외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I조건에 비해 고농도의 영양성분을 첨가시킨 실험 II 및 III 조건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확인되었으며, 이 때 HT 첨가 24 및 48시간 배양에서는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 사용된 한방 황련해독탕은 사람 간배 양 HePG2 세포내 중성 지질 합성을 저하시켜 중성지질 축적을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개선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부정항암탕(扶正抗癌湯)의 사람 췌장암 세포주 PANC-1에 대한 항종양(抗腫瘍) 효과(效果) (Anti-cancer Effects of Bujeonghangamtang on Human Pancreatic Cancer Cell Line PANC-1)

  • 김훈;원진희;문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228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investigate the chemotherapeutic effect of Bujeonghangamtang against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Various cancer cell lines including PANC-1, C6 glioma, SH-SY5Y, HepG2, and MCF-7 cells, were used. Apoptosis was determined by DAPI nuclei staining and flow cytometry in PANC-1 cells treated with 1 mg/ml Bujeonghangamtang for 48 hr. Expression of cell cycle arrest mediators including, cdc2p34 and cyclin B1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measured by fluorescence staining with JC-1, rhodamine 123. Result : Bujeonghangamtang induced the apoptosis of PANC-1, which was characterized as nucleic acid and genomic DNA fragmentation, chromatin condensation, and sub-G0/G1 fraction of cell cycle increase. but not C6 glioma, SH-SY5Y, HepG2, and MCF-7 cells. PANC-1 cells were markedly sensitive to Bujeonghangamtang. Treatment with Bujeonghangamtang resulted in the decreased expression of cdc2p34 and cyclin B1. Treatment with Bujeonghangamtang also increased the ROS production and 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Conclusion : Bujeonghangamtang exerted cytotoxicity against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via cell cycle arrest-mediated apoptotic signaling including ROS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Our data suggest that Bujeonghangamtang may be an important modulator of chemosensitivity of cancer cells against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 PDF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이 암세포의 성장과 세포주기 조절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icium erinaceus Extract on Cancer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 박선희;장종선;이갑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1-9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를 가진 성분을 포함하여 여러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us)을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저해효과와 세포주기 조절자인 cyclin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의 사람의 암세포주인 HT29와 HepG2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메탄을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들이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노루궁뎅이 버섯 메탄올추출물이 간암 세포주인 HepG2의 cyclin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 메탄을 추출물이 cyclin A와 D 단백질 발현을 다소 감소시켰으며 특히 cyclin B1에 대한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 1 mg/mL 농도에서 48시간 처리 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30% 정도까지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노루궁뎅이 버섯은 세포주기 중 G2기에서 M기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cyclin B1 단백질의 발현을 크게 감소시키므로 세포주기 진행을 차단시켜 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모시잎의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 김인숙;박권삼;유현희;신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4-394
    • /
    • 2009
  • 본 연구는 모시잎의 핵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성 효과와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의 세포독성 실험, A549 cell(폐암세포 주)와 Hep G2 cell(간암세포주)에 대한 항암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시잎의 각 용매별 분획물 시료를 DPPHradical 소거능으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S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 BHT가 각각 47.5 ${\mu}g$/mL, 74.6 ${\mu}g$/mL, 102.2 ${\mu}g$/mL로 나타나, 이들 모시잎 분획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모 글로빈 유도 linoleic acid의 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메탄올 분획물과 물 추출물에서 $I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120.8 ${\mu}g$/mL, 135.6 ${\mu}g$/mL로 BHT의 150.2 ${\mu}g$/mL보다 낮아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에서 대조군에 대한 모시잎의 용매 분획별, 농도별(1, 5, 10, 25, 50, 100, 250, 500, 1,000, 2,000 ${\mu}g$/mL)로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의 저하를 알아본 결과, 물 분획물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생존율의 저하는 없었으나,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분획물은 1,000 ${\mu}g$/mL 이상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p<0.01~p<0.001)인 생존율의 저하가 있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활성은 A549 cell 폐암세포주에 대해 메탄올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폐암세포주 생존율을 억제시켜 500 ${\mu}g$/mL에서 대조군보다 생존율이 46%까지 낮아졌다. Hep G2 cell 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이 A549 cell보다 높았으며, Hep G2 cell에 대한 항암 활성은 500 ${\mu}g$/mL에서 메탄올 분획물은 28%까지 생졸이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 물 추출물 36%, 핵산 분획물 52% 순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모시잎은 산화와 변질의 원인이 되는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폐암과 간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에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과 폐암 세포의 성장 저해 물질은 폴리페놀 계통일 것으로 생각되며, 간암 세포 성장 저해는 전체 유기 용매 분획물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폴리페놀 계통 외에 다른 생리활성 물질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들 물질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앞으로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인진(茵蔯)과 인진사령산가감방(茵蔯四岺散加減方)이 간세포활성(肝細胞活性), 세포주기(細胞週期) 및 DNA damage-induced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Injin and Injinsaryungsangagambang on Liver Cell Viability, Lever Cell Cycle Progression and DNA Damage-induced Apoptosis)

  • 강우성;이장훈;우홍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105
    • /
    • 1999
  • The effects of Yinjin and Yinjinsaryongsangagambang on a DNA damaging agent, etoposide-induced apoptosis, cell viability, cell cycle progression, and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of human hepatocyte cell line HepG2 were investigated using tryphan blue exclusion assay, MTT assay, flow cytometry, immunocytometric analysis of PCNA, and quantitative RT-PCR analysis. MTT assay showed that Yinjin and Yinjinsaryongsangagambang increases cellular viability of HepG2 cells in a dosage-dependent manner. Stimula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by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 was detect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of the DNA content and immunocytometric analysis of PCNA expression. A significant reduction of a DNA-damaging agent, etoposide-induced apoptosis were found in both Yinjin and Yinjinsaryongsangagambang-treated cells in dosage-dependent manner. In overall, 3-fold reduction of apoptosis was recognized in $10.0\;{\mu}g/ml$ of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treated cells compared to untreated cells. Although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Yinjinsaryongsangagambang showed slightly higher effect on the inhibition of apoptosis than Yinjin. From flow cytometric analysis of apoptosis, while 39.9% of untreated cells showed etoposide-induced apoptotic cell death, only 19.6% or 17.4% of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treated cells were fond at apoptotic sub G1 phase, respectively. Interestingly, strong induction of Gadd45-mRNA was observed from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treated cells. However, no changes in expression levels of p53 and Waf1 were detected, demonstrating that induction of Gadd45 mRNA expression by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 occurs by p53-independent mechanism. Marked mRNA inductions of two apoptosis-inhibiting genes, Bcl-2 and Bcl- XL, were found in both Yinjin or Yinjinsaryongsangagambang-treated HepG2 cells while no changes was detected in expression levels of an apoptosis-promoting gene, Ba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