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network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6초

Identification of key genes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of liver fibr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rough weighted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 Yue Hu;Jun Zhou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4호
    • /
    • pp.45.1-45.11
    • /
    • 2023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 common type of chronic liver disease, with severity levels ranging from nonalcoholic fatty liver to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The extent of liver fibrosis indicates the severity of NASH and the risk of liver cancer. However, the mechanism underlying NASH development, which is important for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remains unclear. Weighted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WGCNA) is a useful method for identifying hub genes and screening specific targets for diseases. In this study, we utilized an mRNA dataset of the liver tissues of patients with NASH and conducted WGCNA for various stages of liver fibrosis. Subsequently, we employed two additional mRNA datasets for validation purposes. Gene set enrichment analysis (GSEA) was conducted to analyze gene function enrichment. Through WGCNA and subsequent analyses, complemented by validation using two additional datasets, we identified five genes (BICC1, C7, EFEMP1, LUM, and STMN2) as hub genes. GSEA analysis indicated that gene sets associated with liver metabolism and cholesterol homeostasis were uniformly downregulated. BICC1, C7, EFEMP1, LUM, and STMN2 were identified as hub genes of NASH, and were all related to liver metabolism, NAFLD, NASH, and related diseases. These hub genes might serve as potential targets for the early screening and treatment of NASH.

개방형협업 참여자 기여도와 네트워크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깃허브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Identifying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Contributors That Affect Performance in Open Collaboration : Focusing on the GitHub Open Source)

  • 백현미;오세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43
    • /
    • 2015
  •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은 개방형협업을 위한 오픈 플랫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개인간 상호협력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이론을 바탕으로 개방형협업의 대표적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상호협력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방형협업 기여도가 높은 참여자의 네트워크 중심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플랫폼인 깃허브(GitHub)의 782개 리파지토리의 8,101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782개의 협업 네트워크를 도출함으로써, 협업에 있어 기여도가 높은 개발자의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결 매개 근접 중심성이 높은 개발자의 커밋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매개중심성에 의해 그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사이즈가 클수록, 허브가 존재할수록 개발자의 매개중심성과 커밋수 간의 관련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방형협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통신 네트워크에서 보안구조 및 모델 (Security Architecture and Model in Aeronautical Communication Network)

  • 홍진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2-127
    • /
    • 2009
  • 본 본 논문은 항공 교통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안전한 항공체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보안구조를 검토하고 보안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된 내용은 항공서비스 분야 관련 보안기술을 기반으로 국제적인 기술 동향과 함께 국내의 항공체계에 대한 보안모델을 다루고 있다. 항공통신 네트워크의 보안 프레임워크에서는 항공과 지상 데이터링크 보안기술, 항공체계에 따른 보안구조를 분석하였고 U-information HUB 모델의 보안구조를 제시하였다. U-information HUB 보안구조는 항공사, 공항 네트워크, 항공기, 관련 정부기관 등과 연동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Minimum Network Connection Cost Algorithm for Partially Survivable Networks Problem of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 Lee, Sang-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9-64
    • /
    • 2016
  • This paper suggests heuristic algorithm with O(mn) polynomial time complexity using Excel for partially survivable networks optimization problem of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with m cells and n hubs. This problem only can be get the solution using linear programming or LINGO software package. The proposed algorithm connects the cell to hubs in ring network with minimum cost as the connection diversity of each cell. If the traffic of ring network (T) is T>2K for ring capacity (K), we adjust the maximum cost hub to MTSO that has a ascending order of (D/DC)/${\Delta}^+$ cell with each cell traffic demand (D) and ${\Delta}^+$=(MTSO cost-maximum cost hub) than we get the $T{\leq}2K$. Finally, we adjust MTSO to the removed maximum cost hub for the cell with 2K-$T{\geq}$(D/DC) and $_{max}{\Delta}^-$. While we using like this simple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get the same optimal solution for experimental data as linear programing and LINGO software package.

용량제한과 직접수송이 있는 Hub-and-Spoke 네트워크 설계: 진화알고리듬 기반의 접근법에 의해 (A Design of Capacitated Hub-and-Spoke Networks with Direct Shipment: Evolutionary Algorithm based Approach)

  • 이현수;신경석;김여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3-315
    • /
    • 2005
  • In this paper we address a design problem for hub-and-spoke networks and then consider a capacitated hub locations problem with direct shipment (CHLPwD). We determine the location of hubs, the allocation of nodes to hubs, and direct shipment paths in the network, with the objective of minimizing the total cost in the network. In this paper, CHLPwD is formulated as 0-1 integer programming. We develop an evolutionary algorithm here to solve the large sized CHLPwD. To do this, we present the representation and the genetic operators suitable for the problem and propose a heuristic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nodes to hubs. To enhance the search capability, problem-specific information is used in our evolutionary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heuristic method in terms of solution quality and computation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can provide better solutions than the heuristic.

동북아허브 발전전략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Hub of Northeast Asia)

  • 이재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Hub of Northeast Asia. Those countries such as Singapore, Taiwan, Hong Kong and China competing us are trying to concentrate on their core capacity. Based on the severe competition surrounding us, we are confronting with a transitional period to upgrade competitiveness. It is acknowledged that the building of economic hub of Northeast Asia is essential to become an advanced country. Therefore, it is becoming an urgent task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building efficient transportation network, economic special zone and financial hub.

  • PDF

진화알고리듬을 이용한 hub-anb-spoke 수송네트워크 설계 (A design for hub-and-spoke transportation networks using an evolutionary algorithm)

  • 이현수;신경석;김여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59-71
    • /
    • 2005
  • In this paper we address a design problem for hub and spoke transportation networks and then consider a capacitated hub locations problem with direct shipment (CHLPwD). We determine the location of hubs, the allocation of nodes to hubs, and direct shipment paths in the network, with the objective of minimizing the total cost in the network. An evolutionary algorithm is developed here to solve the CHLPwD. To do this, we propose the representation and the genetic operators suitable for the problem and adopt a heuristic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nodes to hubs. To enhance the search capability, problem-specific information is used in our evolutionary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heuristic method in terms of solution quality and computation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can provide better solutions than the heuristic.

  • PDF

규모의 경제효과를 고려한 도로화물수송의 비제약 허브네트워크 설계 (A Non-strict Hub Network Design for Road Freight Transportation considering Economies of Scale)

  • 김남주;김용진;고승영;전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3-112
    • /
    • 2008
  • 허브네트워크 설계는 네트워크 내에 전환점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를 건설하여 허브에서의 분류, 환적, 집화 등의 과정을 통한 규모의 경제효과로 네트워크의 물류비용을 줄이는 물류정책과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 허브수 및 입지, 그리고 최적 수송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으로 허브정책, 허브입지, 비허브의 허브할당, 할인율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최적해의 도출이 어려운 NP-Hard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에서 수송량 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효과로서 나타나는 비용할인을 반영할 수 있는 Hornor and O'kelly (2001)를 살펴보고, 이를 근간으로 우리나라 전국 도로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할 인율에 따른 허브가능입지 및 수송경로 변화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링크중심의 도로네트워크 경로탐색과 같은 공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대규모 도로네트워크와 수송자료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시간 내에 최적해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허브네트워크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글로벌 경쟁화로 인한 범세계적 물류 네트워크에서 물류비용절감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화물정책적 측면에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완성차 물류 네트워크 합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utbound Logistics Network Rationalization of Domestic Automobile Industry)

  • 김대기;조한홍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7권1호
    • /
    • pp.1-20
    • /
    • 2002
  • Many of logistics-related research in automobile industry has focused on inbound logistics and procurement. Research into outbound logistics is relatively few. As a starting research into outbound logistics in automobile industry, this paper examined its logistics network problems with three aspects - location strategy, inventory strategy and transportation strategy. We proposed alternatives of logistics network design resolution, and presented three practical scenarios based on those alternatives. Based on interview, on-site visit and internal data collection processes, we identified major domestic outbound logistics problems such as redundant logistics bases, inefficient delivery policy, insufficient inventory capacity, inventory stock quality deterioration, ineffici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etc. In order to cope with those problems, we proposed such strategic alternatives as introduction of hub-and-spoke system, integration of logistics bases, introduction of (automatic) parking building, diversification of transportation mode, and etc. At the same time, we constructed three practically executable scenarios based on those ideas. The first is "Center Hub" scenario, the second is "Metropolitan Hub" scenario. The third and last scenario is "Regional Consolidation of Warehouses (distribution centers)".

  • PDF

한-아세안 민관 네트워크기반의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한 거점 HUB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city Export HUB Platform based on Korea-ASEAN Public-Private Network)

  • 김대일;김정현;염춘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908-1918
    • /
    • 2022
  • 최근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생산기지이자 소비시장으로서 각 지역에서 생산 네트워크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세안 국가의 도시화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각 국가들은 주거, 교통, 물류, 방범, 방재 등 낙후된 기초 인프라 시설 개선을 위해 첨단 ICT와 결합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우수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이 아세안 국가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시티 구축에 참여할 수 있도록 Web 기반의 스마트시티 수출 거점 HUB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아세안 국가의 스마트시티 구축에 대한 수요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한-아세안 민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향후 아세안 국가에서 계획 중인 스마트시티를 보다 혁신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우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실제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면, 세계적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