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remodeling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8초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가구 부자재 주문 수요예측 (Demand Prediction of Furniture Component Order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 김재성;양여진;오민지;이성웅;권순동;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20
    • /
    • 2020
  •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경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재택근무 증가로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주거환경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모델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 또한 규제 정책에서 주택공급 확대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이에 따른 인테리어, 가구업계의 매출에도 가시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정확한 수요예측은 재고 관리와 직결되는 문제로 정확한 수요예측은 불필요한 재고를 보유할 필요가 없어 과잉생산으로 인한 물류, 재고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제동향, 시장동향, 사회적 이슈등 외부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이다. 본연구에서는 가구 부자재를 생산하고 있는 제조업체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해 인공지능기반 시계열 분석 방법으로, LSTM 모형, 1D-CNN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면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상류주택 안마당의 시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북지방 'ㅁ'자형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Upper-class Hous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ctional Analysis - Focused on the Kyeong Buk Region 'ㅁ' Shape of House -)

  • 성재중;이승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ratio of the courtyard, an external space that not only was used as a workplace, shelter, and playground in our lives, but also gave symbolic meaning to Koreans. Since the beginning of 2000, Hanok began to receive rapid attention from people, and Hanok construction and remodeling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urban and rural areas. In particular, Bukchon and Seochon in Seoul, around Cheonmachong in Gyeongju, and Hanok Village in Jeonju became popular places related to hanok, and Gyeongju, Buyeo, Gongju, and Iksan were designated as ancient district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hanok. However, although hanok is being built with national trends, support, and interest, attention is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form, materials, and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the external space have not been properly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yard in traditional housing, and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surrounding the yard and the depth of the yard in terms of closure and opening. In addition,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felt by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signing traditional architecture.

여객자동차 터미널 이동편의시설 BF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Statu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 Improvement Strategies)

  • 박신원;조영태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25-237
    • /
    • 2016
  • 본 연구는 지난 2007년 도입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의 확산과 정착을 위하여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로써 인증제도의 확산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을 대상으로 편의시설 실태를 파악하고, 인증가능성을 평가하여 인증 확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국 여객자동차 터미널 349개소에 대하여 편의시설 설치 수준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인증가능시설이 217개소, 인증불가시설이 58개소로 평가되었고, 인증가능성이 높은 29개 시설은 소규모 리모델링 공사를 통하여 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BF수준은 40~55% 수준이며, 평가분야별로는 내부시설이 90% 이상으로 수준높은 반면, 매개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등은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편의시설 수준제고를 위해서 BF 인증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인증가능성이 높고, 지자체 지원의지와 사업주의 편의시설 개선의지가 높은 시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시설개선을 추진하여 BF인증을 추진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안이다.

군사시설 이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Implications of a Case Analysis of a Public Park Project at a Former Military Facility Site)

  • 박준영;이은엽;송선영;엽정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25-234
    • /
    • 2014
  • 군사시설 이전부지는 근본적으로 공공 시설적 성격을 띄고 있어 공공 복리를 위한 활용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원으로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군사시설 이전부지에 대한 공원조성 사례를 분석한 결과 몇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공원조성의 목표는 도시재생의 개념 및 지역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전부지를 전면 개조하는 방식보다는 기존 시설들을 최대한 재활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동시에 지역정체성과 역사성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공원의 규모가 대형화 되고 있어 단일시설 및 프로그램 보다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줄 필요가 있으며, 공원조성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단계적으로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군사시설이 지니고 있는 특수한 상황으로 공원조성 과정에서 현장조사가 미흡하여 설계변경 또는 오염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사전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사업자에게 일부 부지에 대해 개발권을 위임하고 개발이익으로 공원조성과 운영관리비를 충당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군사시설 이전기지는 다양한 이해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사업추진과정에서 민관협치의 의사결정기구를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재원조달과 수익사업 확대, 봉사 및 후원 활성화, 트러스트 및 비영리 단체의 공원운영 관리 참여 확대 등을 위해서는 도시공원 관련제도의 보완이 요구된다.

공동주택 유지관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자격체계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자격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Raising Engineers of Maintenance for Apartment Houses - Based on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

  • 박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69-179
    • /
    • 2011
  • 한국은 세계의 거점국가에 못지않은 막대한 스톡(Stock)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기존의 주택을 활용하거나, 재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 등 성장위주의 주택정책으로 인해 기존 공동주택을 유지하고 재이용하는 정책개발에 대한 노력은 미비하였다. 지금까지 정부주도하의 강력한 주택공급 정책으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 막대한 주택을 건설한 나머지, 현재의 주택공급율이 110%에 이르는 등 주택과잉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저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환경변화와 주거의 질 향상이라는 국민적 요구로 인해 주택정책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내 공동주택의 80%가 건설된 지 20년 이내의 주택으로 이루어져 향후 개보수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또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주택의 기존의 품질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동주택의 유지관리를 운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 육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미국의 공동주택 유지관리전문인력의 관련자격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유지관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축물의 단열재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rnal Insulation of Buildings Over 20 Years Old)

  • 김현진;최세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9-547
    • /
    • 2019
  •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건축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로 공급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자 신축 또는 기존건물에 대한 녹색건축인증(G-SEED) 및 에너지효율등급,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등을 일정조건 이상인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건물에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을 줄이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자재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건물외피 구성 재료 중 총 열 저항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건축물에 시공된 단열재의 경시변화에 대한 명확한 자료가 부족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판단기준인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요량 산정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이에 2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현장에서 단열재(압출법,비드법)를 직접 채취하여 단열재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압출법(XPS)은 생산초기 품질기준인 KS M 3808보다 열전도율은 48%, 압축강도는 36%가 저하되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고, 비드법(EPS)의 경우 단열재 두께가 50mm인 경우 열전도율과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등이 생산초기 품질기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드법의 경우 단열재 두께를 고려하여 현재의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 요량을 기존대로 산정하고, 압출법의 경우는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 산정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단위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건설폐기물 산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사례분석 (A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u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for an Apartment by Using the Estimating Waste Units)

  • 김창학;김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07-614
    • /
    • 2012
  •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해체산업은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생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주택건립 및 기존주택현황을 고려할 때 해체시장의 규모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체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미흡하고, 또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의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원단위를 개발하였다. 본 원단위는 공동주택의 도면을 실측 분석하여 원단위를 산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회귀모형은 공동주택의 바닥면적 및 세대수를 근거로 22개 폐기물을 비교적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모형은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 등에서 발생 가능한 폐기물을 정확하고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체물량의 정확한 산정과 예측은 건설폐기물관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북 지역 학교급식소의 시설.설비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 국숙자;최병숙;노정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7-507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it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2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v. 11.5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99.2% of the subjects were women 76.6% were married, over 87% were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p<0.01) and 56.8% had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p<0.001). Among the 252 school foodservice systems evaluated, 51.6% of the schools were located in urban areas and 48.0% were in rural areas(p<0.01). Approximately 68.0% of the schools prepared meals in the conventional way, and 32.3% prepared them in the commissary way(p<0.001). The number of employees at each institution was separat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o 3(37.7%), 4 to 6(27.8%), and 7 to 9(25.4%, p<0.01). Approximately 54.0% of schools had been running a school meal service for longer than 11 years(p<0.001). However, 67.5% of those facilities had not been remodeled since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foodservices. Approximately 94.0%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72.2% among them were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16.7% were prefabricated(p<0.001). As the result of our evaluation of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the average importance grade was $4.41{\pm}0.46$, and the average performance grade was $2.78{\pm}0.67$. Most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in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s responded that the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important, but the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was quite low. Therefore, it's important and necessary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stakeholder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prior to the remodel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평면확장 공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xtension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 김진평;김상식;최광호;전병갑;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21-330
    • /
    • 2006
  • 노후화된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을 리모델링할 경우에 거주성의 향상을 위하여 기존 바닥판에 새로운 바닥판을 신설하여 기존 건물의 평면을 확장시키는 경우가 많다. 새로운 바닥판이 기존 바닥판에 연결될 경우에 두 바닥판의 접합 방법에 따라서 힘의 흐름이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는 8개의 부분 실험체와 24개의 전체 실험체를 제작하여 3종류의 강절점으로 연결된 바닥판 접합부의 파괴모드와 내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체의 주요변수는 강절점 접합방식, 철근의 묻힘 깊이(0, 50, 60, 100, 120mm), 묻힘 길이(100, 200, 300mm), 철근의 배근 간격(150, 200, 300, 450mm)이다. 실험에서 강절점으로 연결된 바닥판의 휨내력은 일체화된 바닥판의 철근항복시의 내력과 유사하였다.

가정 내 낙상으로 인한 아동 손상의 유발 환경 인자에 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hood Home Slip-Down Injuries)

  • 유정민;서민후;김원영;김원;임경수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1호
    • /
    • pp.51-5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hood home slip-down injuries. Methods: Among a total of 2,812 injured children in our Custo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CIS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on 262 children with home slip-down injuries who visited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of Asan Medical Center between March 2008 and February 2009. We made a frequency analysis on parameters such as activities just before the accident, the presence of any obstacles or lubricant materials, specific home place in the home where the injuries occurred, flooring materials on which the slip-down happened, additional objects hit after slip down, the site and kind of injury, the duration of therapy, and the disposition. Results: Walking was the most common activity just before the injury. Because rooms and bathrooms were most common places in the home for slip down injuries, laminated papers/ vinyl floor coverings and tiles were the most common flooring materials used in the places where the injuries occured. Most commonly, no obstacles caused the children to slip down, but the furniture, stairs, doorsills, wetness, or soapy fluid followed after that. Over half of the children who slipped (58%) also collided with other than the floor itself after the slip-down, most common objects hit were the edges of the furniture, and doorsills, followed by stairways. The head and neck were the most commonly injured sites, and a laceration was the most common kind of injury. Most children needed less than 1 week of therapy, only 4 children (1.53%) admitted. There were no mortalities.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slip-down injuries were the bathroom, laminated papers/vinyl floors, the furniture, stairs, doorsills, and wetness or soapy fluid. Especially, the furniture, stairs, and doorsills can be both primary obstacles and secondary collision objects. For the safety of our children, we must consider these factors on housing, when decorating or remodeling our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