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price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5초

부동산 매매지수와 전세지수 예측: 독립성분분석을 활용한 분석 (Forecasting Korean housing price index: application of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 박노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2호
    • /
    • pp.271-280
    • /
    • 2017
  • 우리나라 뉴스에서 매일 빠지지 않는 내용은 아마도 부동산 경제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많은 사람들은 부동산 가격의 변동에 관한 전문가들의 예측에 관심을 갖고 있다. 매매가격 혹은 전세가격을 예측하기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박스-젠킨스에 기반을 둔 자기회귀이동평균모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회귀모형과 다변량 자료분석에서 사용하는 독립성분분석을 결합하여 예측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보았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두 개의 독립성분으로 재설정하고 독립성분들을 이용하여 예측한 후 역변환을 통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자기회귀이동평균모형을 사용할 때 보다 독립성분을 활용한 예측이 실제 지수에 더 유사한 값들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partment Prices in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 최지우;이영수;정상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315-322
    • /
    • 2022
  • Apartments are being established as a universal housing type because of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excellent in preservation of asset values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 thesis that explores whether it affects the housing market in Gimhae,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and how the price flow in neighboring cities h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examine how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balloon effect and the lowest interest rate caused by the government's tweezers regulation bring about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local regions.

Korean Public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Households: Main Outcome and Limitations

  • Jin, Mee-Youn;Lee, Seok-Je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03-316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housing assistance programs for low-income households. Korean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rapidly developing since 2000, and thereby achieved an increase in public rental housing stock, housing quality improvements, and the reduction of rent over-burden for low-income tenants. Despite some conflicting evidence, it appears that the provision of newly-built public rental housing has helped stabilize the prices of neighboring private rental housing units. But, as we are entering an era of one millio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units, we need to shift our focus from quantity-oriented provision to housing maintenance for tenants, and from cost-based rental housing to affordable rental housing and better access to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tenants who are not beneficiaries of government assistance. Mo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vi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order to ensure a stable rental housing market.

서울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의 권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etermining Factor of Rental Price of Apartment by Sub-regions in Seoul)

  • 이석주;이주형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19-2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partment rental prices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ocess,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nd multicollinearity and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re examined using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reliability of the variable and comprehensivization ensure objectivity. For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partment rental prices by sub-regions in Seoul are as follows : First, the housing supply rate appears center of the central and the southwest region is influenced by the cul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convenience, the size of the complex and reputation of the developer. Second, the northeast region i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regional economy, housing size, the density of the complex, well-known construction companies and relevant variables of individual housing and the density of the complex,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reputation of the developer, local economy and housing size. Lastly, the southeast region appears to be influenced by the local economy, the density of the complex, housing size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주거선택 자유 확대를 위한 초장기 모기지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ed to Introduce Super-Long-Term Mortgage to Expand Freedom of Housing Choice)

  • 홍성현;홍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3-1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열된 주택 시장을 진정시키려는 정부 정책과 주택구입희망자의 요구가 상호 양립할 수 있는 합리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택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 국민들이 주택을 구매하려고 하는 근본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의 선호에 따라 주택을 소유할 것인지, 임차할 것인지 그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초장기 모기지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초장기 모기지 제도는 현재 모기지를 이용하는 대다수의 국민들이 장기 대출 상품을 선호하고 있다는 점, 집을 가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월상환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내집마련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향후 이 제도가 도입된다면 리스크 햇지 등 안정적 운용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투기 수요 견제를 통해 주택 가격의 상승을 억제하고 서민주거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수요자에게 제한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How to Recover From the Great Recession: The Case of a Two-Sector Small Open Economy with Traded and Non-Traded Capital

  • Jeon, Jong-Kyou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7권2호
    • /
    • pp.161-206
    • /
    • 2013
  •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world economy has been suffering from the Great Recession characterized by high and persistent unemployment as well as drastic fall in asset prices. Real business cycle theory or new-Keynesian economics which has been the dominant paradigm in macroeconomics for the last four decades is unable to explain the high and persistent unemployment during the Great Recession. This implies that the economics of Keynes should be taken seriously again as a tool to explain the Great Recession. Farmer (2012) proposes a new way of interpreting the economics of Keynes by providing it with a solid micro-foundation based on labor markets with search. According to Farmer (2012), aggregate economic activity independently depends on the long-term self-fulfilling expectations about the stock prices. As a consequence, the government or the central bank should implement a policy that influences the public's confidence about the stock market. For an open economy like the Korean economy, it is not only stock price but also the price of asset such as house that matters more for the aggregate economic activity. Households in the Korean economy hold more than 70 percent of their wealth in the form of real estate asset, especially housing asset. This makes the public's confidence about the future prices of houses even mor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business cycles of the Korean economy. Policymakers shoul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the confidence of households about the housing market to recover from the recession caused by a fall in house prices. Little theoretical work has been done in explaining fluctuations in the aggregate economic activity from the point of house prices. This paper develops a small open economy model with traded and non-traded capital based on Farmer (2012) and shows that the aggregate economic activity also independently depends on the households' self-fulfilling expectations about the future prices of non-traded asset such as houses.

주택 규모에 따른 가격 변동성 분석 (Volatility Analysis of Housing Prices as the Housing Size)

  • 김종호;정재호;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32-43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증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주택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부동산 정책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주택시장을 진단하기 위하여 국민은행의 주택가격지수와 부동산114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규모별 주택가격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GARCH모델과 EGARCH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1998년 이후 중대형주택의 변동성이 줄어든 반면, 소형주택은 중대형에 비해 변동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주택가격의 변동률이 중대형 주택가격의 변동률보다 높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반면, 소형아파트의 공급이 급격이 줄어들었다. 반면에, 1-2인가구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소형주택가격 급등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주택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단기대책을 지양하고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주택정책이 증가되어야 한다. 더불어 장기적인 정책시스템이 확립되어야한다. 또한,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임대시장의 개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이 아파트 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정반복매매모형을 중심으로 - (The Dynamic Effects of Subway Network Expansion on Housing Rental Prices Using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 김효정;이창무;이지수;김민영;류태현;신혜영;김지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125-139
    • /
    • 2021
  • 수도권 지하철 노선확장 사업을 통해 수도권 거주민의 대중교퉁 접근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은 주거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지하철 노선확장에 따른 접근성 향상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주택정책에 있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노선신설에 따라 최근접 지하철역의 변화없이 발생하는 다른 지하철역까지의 통행시간 단축을 네트워크 확장효과로 정의하고, 이것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아파트 전월세확정신고자료를 이용하여 월세로 전환 후, 수정반복매매모형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준이 되는 기간(2012~2014년)에 비해 비교기간 (2017~2018년)에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서울시 아파트 월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했으며, 이는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주택의 임대료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네트워크 확장효과의 상하위 아파트 그룹을 비교한 결과, 네트워크 확장 효과 하위그룹보다 상위그룹에서 영향력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이를통해 네트워크 확장 효과의 정도에 따라 주택의 가치에 자본화되는 수준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동산 규제정책에 따른 광역 주택가격의 변동간 불균형 검정 (Tests for Imbalance between Variations in Metropolis Housing Prices by Regulatory Realty Policies)

  • 김태호;안지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3호
    • /
    • pp.457-469
    • /
    • 2010
  • 우리나라의 부동산정책은 주거안정과 경기조절이라는 상반된 목표 사이에서 규제 완화와 강화를 반복해 왔으며, 주택정책이 부양책에서 2003년부터 규제책으로 전환되면서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부동산정책이 앞 정권의 관심사였다는 관점에서 부양책의 영향을 받던 정권 초기와 규제책의 영향이 가장 심했던 후기 수도권 및 광역시의 주택가격 변동에 어떠한 흐름이 존재했는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지역간 가격 변동의 연관관계는 규제의 효력이 발생하면서부터 전에 비해 현저히 단순화된 것으로 검정되며, 수도권의 가격 선도력이 강화되면서 경제력 편중으로 인한 지역간 불균형 현상이 뚜렷해진 현실을 시사한다.

Sentiment Shock and Housing Prices: Evidence from Korea

  • DONG-JIN, PY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4권4호
    • /
    • pp.79-10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entiment shock, which is defined as a stochastic innovation to the Housing Market Confidence Index (HMCI) that is orthogonal to past housing price changes, on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and housing price volatility. This paper documents empirical evidence that sentiment shock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orea's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Specifically, the key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e in sentiment shock predicts a rise in the aggregate housing price and a drop in its volatility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entiment shock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month-ahead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whereas an increase in sentiment volatility tends to increase housing price volatility as well. In addition, the out-of-sample forecasting exercises conducted here reveal that the prediction model endowed with sentiment shock and sentiment volatility outperforms other competing prediction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