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hold item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사가 지각한 암환자의 퇴원후 가정간호요구 (Nurse의s Perception in the Homecare Needs of Cancer Patient)

  • 권인수;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02-61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homecare needs of the discharged patient with cancer as perceived by nurses caring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t two hospitals in Gyeongnam, 74 nurses responded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need categories : 1) educational & informational need, 2) physical need, 3) emotional need, 4) social need. Respondents were asked to list above ten needs of cancer patient in each category. Two researchers analyzed the data by content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 total of 1,417 need items were generated by nurses. The largest number of needs were in the educational & informational need category(475 items, 36.3%). Physical(414 items, 31.6%), emotional (237 items, 18.1%) need were the second, third largest, and social(184 items, 14.0%) need made up the smallest category. 2) In the educational & informational need category, there were seven subcategories of prognosis, diet & exercise, medication & pain, wound care, folk remedy, personal hygiene, comfort. The need items related to prognosis of cancer accounted for almost a half(48.2%) of the total. 3) In the physical need category, there were ten subcategories of personal hygiene, skin & tissue, nutrition, side effect on treatment, exercise, pain, elimination, equipment, comfort & safety, others. The largest number of needs were in subcategory of the personal hygiene(82 items, 19.8%). 4) In the emotional need category, there were four subcategories of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disease,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routine life, spiritual support, maintenance of relationship with nurse & doctor. The largest number of needs were in subcatgory of the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disease(96 items, 40.5%). 5) In the social need category, there were five subcategories of support for social life, household management, legal support, the use of volunteer service, financial support. The largest number of needs were in support for social life subcategory(58 items, 31.5%).

  • PDF

고로쇠나무 적층재의 물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for Living Products and Properties of Acer mono Laminated Wood Manufacture)

  • 신랑호;권진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8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bility of domestic thinning and small diameter wood as applying in pattern design which can be applied in interior decoration, wood craft and wood furniture, and in developing the designs of furniture and household items. Then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cer mono wood by pressurization and heat treatment. Color change is clear, and the wood densit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ing rate. The compressive and bending strengths are decreased as heating time is increased after pressing. However, shrinkage is improved after pressing and heating.

  • PDF

대학생의 IMF 경제위기를 대응하기 위한 식생활대처행동 (Undergraduate Students' Coping Behavior in Meal Management with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 서정희;홍순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3-360
    • /
    • 1999
  • This paper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university students' coping behavior pattern in meal management with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44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areas. The coping behavior consisted of 26 item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4 factors; (factors were named as related to): 'decrease of intakes factor' ,: 'change to the cheaper choices factor' ,: 'increase of meals at home factor' and 'emphases on quantity sacrificing the quality factor'. Socio-economic variables affected differently the coping behavior in meal management and 4 sub factors.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the status of housing,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gender affected the coping behavior in meal management.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and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ffected the decrease of intakes factor and the change to the cheaper choices factor. The amount of discretionary expenditure and gender affected the increase of meals at home factor and the emphases on quantity sacrificing the quality factor.

  • PDF

가압.가열처리한 자작나무 적층재의 물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for Living Products and Properties of Betula platyphylla Laminated Wood Manufactured by Pressing and Heating)

  • 신랑호;권진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6-103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bility of domestic thinning and small diameter wood as applying in pattern design which can be used in interior decoration, wood craft and wood furniture, and in developing the designs of furniture and household items.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tula platyphylla Wood by pressurization and heat treatment. Color change is clear, and the wood densit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ing rate. The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rupture and modulus of elasticity in bending strength are decreased as heating time is increased after pressing. However, shrinkage is improved after pressing and heating.

  • PDF

노인단독가구의 부엌공간 실태와 개조에 관한 연구 (Current Situations and Modifications of Kitchen Space by Elderly-Headed Households)

  • 권오정;하해화;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9-58
    • /
    • 2007
  • Kitchen space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places for the elderly. Modifications of kitchen space for improving safety and independence for older residents are very important factor for aging in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s and modifications of kitchen space by elderly-headed households. The sample included 108 respondents over the age 65 who consisted of elderly-couple or single person household with homeownership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present incidence and recognition of future need in kitchen modifications were identified. Changes made in kitchen space tended to be nonstructural or relatively inexpensive item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current physical problems of kitchen space to support safe and independent daily living of older residents.

신혼부부 가구는 왜 독립적이지 못하는가? - 주거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Why can't Newly-Married Household be independent of their Parents Household?)

  • 박종훈;이성우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거경제적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독립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주택 특성 및 주택 정책 변수를 활용하여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의 지원 여부와 생활비 지원 여부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항 로짓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신혼부부 가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2015년도 신혼부부 가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높은 주택가격과 교통 접근성 선호는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로 대출상품의 활용은 지원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생활비 지원은 주거지출 항목과 정(+)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지출비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지원과 신혼부부 간의 주거경제적 연관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독립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제실 박물관에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컬렉션 목록으로 본 소장품의 구성과 특성 변화 (The Transition from the Imperial Museum to the Yi Royal Household Art Museum: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as Seen through Its Inventory)

  • 목수현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306-329
    • /
    • 2024
  • 1909년에 설립된 제실박물관은 한국 박물관의 효시이자 그 컬렉션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제실 박물관이 창경궁에 설립될 때에는 박물관만 설립된 것이 아니라 동물원, 식물원이 함께 설립되었다. 이 세 시설은 1911년 이후 함께 창경원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동물원과 식물원은 1938년에 박물관 소장품이 이전될 때에 창경원에 남게 되었고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중 일부도 창경원에 남게 되었다. 이때 남겨진 소장품 가운데에는 왕실에서 사용하던 가마나 갑옷 등 민속품도 있었고 조류박제 등도 있었다. 이 조류 박제는 창경원 명정전의 회랑에 전시되기도 하였으며, 명정전 뒤쪽에 있는 표본실에도 전시되었다. 특히 조류 박제는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의 특성을 재고하게 하는 것이다. 제실 박물관은 설립 초기부터 고려 청자 등 도자기, 불상, 회화의 명품을 주로 수집하여 미술박물관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은 제실 박물관의 특성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제실 박물관은 살아 있는 동물을 수용한 동물원, 열대 식물을 기르는 온실 등을 포함한 식물원과 더불어 조류박제 등 표본을 수집함으로써 초기에는 박물학적 관점에서 종합 박물관의 특성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물관의 일반 사무를 담당한 시모고리야마 세이이치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조선산 조류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목록화함으로써, 동물원과 식물원이 단순한 놀이 동산의 성격만 지닌 것이 아니라 박물학적 목적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다만,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은 박물관이 지녀야 할 수집, 전시 기능에 더해 연구와 교육 기능을 해야 하는 근대 박물관의 특성에서 연구와 교육 기능은 상대적으로 미비했다. 조선산 조류 박제 등은 수집은 이루어졌으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이 박물관의 소장품이 박물학적 관점에서 수집되었으나, 보다 전문적인 연구로는 나아가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목록과 이왕가 박물관 소장 조선산 조류 목록 등을 통해 이 박물관의 특성이 변화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Korean adults based on whether or not having chewing difficulty using 2013-2016 KNHANES by sex-stratified comparative analysis

  • Kim, Mi J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6호
    • /
    • pp.637-653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Korean adults and self-perceived chewing difficulty,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112 items) from 2013-2016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UBJECTS/METHODS: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t difficult in chewing (NDC) and difficult in chewing (DC) groups, with 24.17% being classified into DC. Males and females consumed 35 and 37 items less frequently than the other sex, respectively. Due to the remarkable gender difference in food consumption, gender-stratified one-sided surve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adjusted for the effect of age,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health status. RESULTS: Thirty-four items of FFQ were significantly less consumed by the DC group. Females exclusively consumed less beverages and alcohol while males showed the same for fruits and milk·dairy products. Consumption frequency of 8 items such as steamed potatoes·grilled potatoes, stir fried beef, other kimchi·fresh vegetable kimchi, orange, sour pork·pork cutlet, tteokbokki and green tea were significant only in males. In contrast, 17 items including cooked rice with other grains and legumes, boiled egg·steamed egg, Korean cabbage kimchi, banana, and tofu stew·soft tofu stew were significant only for females. Finally, items that showed significance for both were 9 items including loaf bread, ready-to-eat cereal, steamed sweet potatoes·grilled sweet potatoes, stir-fried lotus roots·stir-fried burdock, green laver salad·brown seaweed salads, apples, tomato·cherry tomatoes, squid (raw, dried shredded, boiled, stir-fried), and curd type yogurt. CONCLUSIONS: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chewing difficulty may be an important nutritional issue that has to be dealt with for healthful food consumption, with distinct interest of gender.

중등 가정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 (A Trend analysi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 From 2009 to 2016 -)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8년간 출제된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임용 상세화 기준'을 기본 잣대로 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년간 출제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 영역 12개 중 12개, 평가내용 요소 43개 중 42개가 출제되어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출제된 문항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8년간 출제된 각 영역은 가정과교육학 93회(32.7%), 가족생활 41회(14.4%), 소비생활 31회(11.3%), 식생활 43회(15.2%), 의생활 41회(14.4%), 주생활 34회(12.0%)로 교과내용학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8년간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별 평가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학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가족생활은 '인간 발달 과정', 소비생활은 '가계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와 '소비자 의사결정', 식생활은 '조리원리 및 실습'과 '식생활 관리', 의생활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주생활은 '주거생활 문화의 이해' 등으로 출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 및 내용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균등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관점으로 질적인 문항 분석이 필요하겠다.

1인가구의 품목별 소비지출 분석 (An Analysis of Single-person Households' Expenditure Pattern)

  • 박문수;정호근;김화년;고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87-9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1인가구의 소비패턴이 연령별, 소득별로 얼마나 다른지 추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지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추정결과, 음식료품, 주거 및 수도광열, 통신 지출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1인가구의 소득탄력성은 1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품목별로 다른 소비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1인가구의 품목별 소득탄력성은 연령별, 소득별로 크게 차이를 보였다. 향후 1인가구의 관련 정책 또는 기업의 전략을 수립할 때 연령별, 소득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기업은 1인가구 중 고소득 미혼자 그룹 등 구매력이 큰 소비자의 소비를 이끌어내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음식료품이나 에너지 등과 같은 필수재구매 비중이 줄어들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보건, 의료, 기사지원 등 서비스 시장 확대에 대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