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y can't Newly-Married Household be independent of their Parents Household?

신혼부부 가구는 왜 독립적이지 못하는가? - 주거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 박종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Received : 2017.07.27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conomic aid regarding housing and cost of living for the newly-married households. This study applied the binary logit model to figure out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aid from their parents for the households. With utilizing the Newly-Married Housing Survey data in 2015, this study found tha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housing expenditure leads to the economic aid from their parents. In particular, the housing price and transportation condition increase probability the financial aid from parents when the newly-married household starts their housing career.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items of housing expenditure increase the probability of economic aid for their cost of living.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newly-married household, the government should adopt the housing policy for stable housing price and alleviate the burden of housing expendi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economic aid from their parents on newly-married household regarding housing economic issues and suggest the policy for independence of living from their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거경제적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독립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주택 특성 및 주택 정책 변수를 활용하여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의 지원 여부와 생활비 지원 여부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항 로짓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신혼부부 가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2015년도 신혼부부 가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높은 주택가격과 교통 접근성 선호는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로 대출상품의 활용은 지원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생활비 지원은 주거지출 항목과 정(+)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지출비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지원과 신혼부부 간의 주거경제적 연관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독립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4, 2014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 조사 보고서, 국토교통부.
  2. 김준형.최막중, 2009, 지역주택가격이 임차가구의 점유 형태와 주거입지 이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4(4), pp.109-118.
  3. 김희삼, 2009, 한국의 세대간 경제적 이동성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4. 남순현.한성열, 2003,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2(3), pp.505-523.
  5. 마강래.강은택, 2011, 최초 주택구입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1), pp.51-63.
  6. 마강래.권오규, 2013, 주택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1(2), pp.169-188.
  7. 박보림.김준형.최막중, 2013, 1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연령 및 소득변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1), pp.149-163.
  8. 박종훈.이성우, 2013, 수도권에 거주하는 자가 가구주의 거소불일치 선택 요인, 서울도시연구, 14(1), pp.1-22.
  9. 박종훈.이성우, 2016, 주택의 투자가치와 시장가치의 변화가 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파트 유형을 중심으로, 91, pp.19-40.
  10. 박천규.이영, 2010, 결혼 후 3년 이내 출산이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18(1), pp.27-39.
  11. 배호중.한창근, 2016, 신혼부부의 주택자산과 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36(3), pp.204-238.
  12. 서미숙, 2013,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10(1), pp.63-79.
  13. 신영식.이현석, 2017,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 9(2), pp.135-150.
  14. 안용진.김주현, 2016, 주택공급 우선순위에 따른 신혼가구 주택 구매의향 영향요인 차이 분석, 주거환경, 14(3), pp.119-131.
  15. 윤정득, 2015,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 가구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부동산학보, 63, pp.130-144.
  16. 이성우.윤성도.박지영.민성희, 2005, 로짓.프로빗모형 응용, 박영사.
  17. 이재열.강상진.방하남.이명진.박경숙.은기수.한준.이윤석, 2005, 사회과학의 고급계량분석 원리와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8. 이주형.임종현.이천기, 2009,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의 점유형태 및 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3), pp.79-93.
  19. 이창효.장성만, 2016, 점유형태 선택과 주거환경 및 주거의식의 관련성 분석: 수도권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지역연구, 32(2), pp.31-44. https://doi.org/10.22669/KRSA.2016.32.2.031
  20. 이채성, 2007, 가구주 특성에 따른 주택점유형태 차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2), pp.119-127.
  21. 임유진, 2008,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이 신혼기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2. 정희주.오동훈, 2014, 청년세대 1.2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2), pp.95-113.
  23. 최막중.임영진, 2001,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6(3), pp.69-81.
  24. 최유미.남진, 2008,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3), pp.195-210.
  25. 통계개발원, 2008, 우리나라 가구의 생애소득 및 생애지출 현황과 소득분배 분석: 가계조사를 이용한 의사패널을 중심으로, 통계개발원.
  26. 한규섭, 2014, TV 드라마에 나타난 결혼관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JTBC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7. 현대경제연구원, 2014, 출산율 부진의 배경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28. Allison, 1999, Comparing Logit and Probit Coefficient Across Group,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8(2), pp.186-208. https://doi.org/10.1177/0049124199028002003
  29. Box, G. and Cox, D., 1964, An Analysis of transformations,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26(2), pp.211-252.
  30. Cancian, M. and Reed, D., 1998, Assessing the effects of wives' earnings on family income inequalit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1), pp.73-79. https://doi.org/10.1162/003465398557348
  31. Clark, W. A. V. and Dieleman, F. M., 1996, Households and Housing: Choice and Outcomes in the Housing Market, New Jersey, Center for Urban Policy Research.
  32. Goodman, A. C., 1988, An econometric model of housing price, permanent income, tenure choice, and housing demand, Journal of Urban Economics, 23(3), pp.327-353. https://doi.org/10.1016/0094-1190(88)90022-8
  33. Gujarati, D. and Porter, D., 2009, Basic Econometrics, 5th edition, McGraw Hill.
  34. Helderman, A. and Mulder, C. H., 2007,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omeownership: The Roles of Gift and Continuities in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Urban Studies, 44(2), pp.231-247. https://doi.org/10.1080/00420980601075018
  35. Kurz, K., 2004, Labour Market Position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Home Ownership: a Lomgitudinal Analysis for West German Birth Cohort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0(2), pp.141-159. https://doi.org/10.1093/esr/jch009
  36. Maddala, G. S., 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Mincer, 1974,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BER Books.
  38. Lee, S. W., Myers, D. and Park, H. S., 2000, An Econometric model of homeownership: Singlefamily and multi family housing option, Enviornmental and Planning A, 32(11), pp.1959-1976. https://doi.org/10.1068/a311
  39. Liao, T. F., 1994, Interpreting Probability Models Logit, Probit, and Other Generalized Model, Sage University Paper.
  40. Long J. S., 1997,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1. Peduzzi P, Concato J, Kemper E, Holford T.R., Feinstein A. R., 1996, A simulation study of the number of events per variabl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9, pp.1373-1379. https://doi.org/10.1016/S0895-4356(96)00236-3
  42. Treas, J., 1987, The effect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United Stat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3, pp.259-288. https://doi.org/10.1146/annurev.so.13.080187.001355
  43. Wilson VanVoorhis, C. R. and Morgan, B. L., 2008, Understanding power and rules of thumb for determining sample sizes, Tutorials in Quantitative Method for Psychology, 3(2), pp.43-50.
  44. 국민은행 http://www.kab.co.kr
  45. 주거누리, http://hnuri.go.kr
  46. 한국감정원, http://nland.kbsta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