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 dust mit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6초

Mite-Control Activities of Active Constituents Isolated from Pelargonium graveolens Against House Dust Mites

  • Jeon, Ju-Hyun;Kim, Hyung-Wook;Kim, Min-Gi;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666-1671
    • /
    • 2008
  • The mite-control activities of materials obtained from Pelargonium graveolens oil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ere examined using an impregnated fabric disk bioassay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shown by commercial benzyl benzoate and N,N-diethyl-m-toluamide (DEET). Purific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from P. graveolens oil was done by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of the active components were analyzed by EI/MS, $^{1}H$-NMR, $^{13}C$-NMR, $^{1}H-^{13}C$ COSY-NMR, and DEPT-NMR spectra, and were identified as geraniol ($C_{10}H_{18}O$, MW 154.25, trans-3,7-dimethyl-2,6-octadien-l-ol) and $\beta$-citronellol ($C_{10}H_{20}O$, MW 156.27, 3,7-dimethyl-6-octen-l-o1). Based on the $LD_{50}$ values, the most toxic compound was geraniol (0.26${\mu}g/cm^{2}$), followed by $\beta$-citronellol (0.28${\mu}g/cm^{2}$), benzyl benzoate (10.03${\mu}g/cm^{2}$), and DEET (37.12${\mu}g/cm^{2}$) against D. farillae. In the case of D. pteronyssinus, geraniol (0.28${\mu}g/cm^{2}$) was the most toxic, followed by $\beta$-citronellol (0.29${\mu}g/cm^{2}$), benzyl benzoate (9.58${\mu}g/cm^{2}$), and DEET (18.23${\mu}g/cm^{2}$). These results suggest that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may be controlled more effectively by the application of geraniol and $\beta$-citronellol than benzyl benzoate and DEET. Furthermore, geraniol and $\beta$-citronellol isolated from P. graveolens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populations of D. farinae and D. pterollyssinus.

Der p 1에 의한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림프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한 자발적인 호중구 세포고사 억제 (Der p 1 Inhibits Spontaneous Neutrophil Apoptosis by Cytokine Secretion of Normal and Allergic Lymphocytes)

  • 김인식;이나래;이지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0-236
    • /
    • 2015
  •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DP)는 알레르기 질환과 연관이 있는 집먼지 진드기 중 하나이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생성되는 Cystein 단백질분해효소(Derp-1)가 강력한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 알레르기 병인기전은 림프구의 사이토카인 분비와 호중구의 자발적인 세포고사와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erp-1이 림프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하는지 여부와 이에 의해 호중구 세포고사 조절에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 해보았다.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림프구에서, Derp-1에 의해 IL-6, IL-8, MCP-1그리고 GM- CSF의 분비가 증가됨을 보였다. Derp-1이 단독으로 호중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Derp-1으로 호중구를 자극한 뒤 모은 상층액이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정상인의 호중구와 림프구를 co-culture하여 Derp-1을 처리한 결과 호중구의 세포고사가 억제되었고, 이보다 알레르기 환자에서 시행되어진 것이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즉, Derp-1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킨다. 이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기전을 밝히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관지 천식의 초기 발병시 임상적 양상에 관한 관찰 (The Clinical Observations in Childhood Asthma)

  • 송기연;박용훈;전진곤;이영환;김춘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39-247
    • /
    • 1992
  • 1) 천식의 초기 발병 호발 연령은 5세 미만이었고 남아에서 여아보다 2.9배가 더 많았다. 2) 천식의 계절별 발생 빈도는 가을철에 많았고 특히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3) 과거력상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을 경험한 경우는 환아의 22.4%였고, 영유아시 모세기관지염을 앓은 환아는 12.7%였다. 4) RAST 검사중 가장 많은 양성을 보인 것은 진드기와 집먼지 순이었다. 5) 천식 환아에서 호산구 증다증을 보인 경우는 29.1%였고, 혈청 IgE 치가 200 $IU/m{\el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는 63.2%였다. 6) 천식 환아에서 남녀간의 구분에 따른 혈청 IgE 치의 차이나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의 동반 유무에 따른 혈청 IgE 치의 차이는 없었다. 7) 천식 환아에서 연령별로 조사한 혈청 IgE 치는 학동기 연령군($1139.9{\pm}470.2IU/m{\ell}$)이 학동기 전 연령군($361.6{\pm}470.2IU/m{\ell}$)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