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water extract of starch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Hot Water Extract of Wheat Bran Attenuates White Matter Injury in a Rat Model of Vascular Dementia

  • Lim, Sun Ha;Lee, Jo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45-155
    • /
    • 2014
  • Vascular dementia is characterized by white matter lesions involving the demyelination and activation of astrocytes and microglia. In a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the supernatant of a laboratory-scale, hot water extract of ground whole wheat (TALE) attenuated white matter injury and astrocytic activation in a rat model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BCCAO). In the present study, we made several modifications to the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to remove starch and enable large-scale production. We used wheat bran (WB), which contains less starch, instead of ground whole wheat. In addition, we removed starch granules with a decanter before hot water extraction. The final product, wheat bran extract (WBE), contained 2.42% arabinose, a surrogate marker of arabinoxylan, which is an active constituent of WBE. Supplementation of the rat model of BCCAO with WBE (400 mg/kg/day) for 33 days attenuated white matter injury, which was assessed by Luxol Fast Blue staining, in the corpus callosum (cc) and optic tract (opt) regions. Attenuation of white matter injury in the opt region was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Immunochemical staining revealed that supplementation with WBE reduced astrocytic activation in the cc and opt regions and reduced microglial activation in the opt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WBE is effective at attenuating white matter injury accompanied by the inhibition of astrocytic and microglial activation. Therefore, extracts from WB, a cheap by-product of wheat milling, can be developed as a nutraceutical to prevent vascular dementia, a disease for which there is no approved pharmaceutical treatment.

묵제조용 전분에서 분리한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성질과 추출물겔의 특성 (Properties of Hot-water Extracts and Extract-gels of Starches for Mook)

  • 송영미;정구민;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25-630
    • /
    • 1995
  • 전분의 열수추출물 성분이 전분의 겔형성이나 성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 가를 연구하기 위해 묵제조용전분(도토리, 메밀, 녹두)과 비묵제조용전분(옥수수, 쌀, 밀)의 현탁액을 $85^{\circ}C$에서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들의 이 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로 겔을 만들어 전분겔과 함께 산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정도, 가수분해잔유물의 평균중합도, 분자량분포 등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추출율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고 지질의 함량이 많은 곡류전분이 적어 $4.0{\sim}6.6%$를 나타냈으며 아밀로오스함량이 많고 지질의 함량이 적은 도토리, 녹두전분은 각각 11.7%와 13.5%로 추출율이 컸다. 이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결과를 보면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은 대부분이 아밀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에는 약간의 아밀로펙틴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겔을 산가수분해(1 N HCl, $35^{\circ}C$, 60일)한 결과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는 $22{\sim}35%$이었으며 전분겔의 가수분해도는 아밀로펙틴의 분해로 추출물겔보다 높은 $70{\sim}84%$를 나타냈다. 추출물겔의 가수분해에서는 아밀로오스가 많은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가 $22{\sim}29%$이었으며 아밀로오스가 적은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분해도는 $30{\sim}35%$이었다. 가수분해 잔유물은 겔크로마토그래피 결과 한 개의 피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겔의 잔유물의 평균중합도가 전분겔의 평균중합도보다 더 컸다.

  • PDF

황기, 당귀 추출물의 추출조건이 추출물의 수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and Quality of Extracts in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gelica gigas Nakai)

  • 이미숙;이근보;한명규;박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3-547
    • /
    • 2001
  • 전통 한약재인 황기. 당귀로부터 추출물의 획득은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법에 의하여 행해져 왔으나 추출물의 획득수율이 낮고 추출, 농축과정에서의 심한 열처리로 인하여 고유의 향이 소실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정추출법을 시도하여 황기, 당귀 추출물의 획득수율을 열수 추출법의 50, 39% (w/w) 대비 각각 15, 36% 증가한 65, 75%로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강한 고유의 향을 포집하고 있는 전혀 새로운 타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과정에서 열수 추출법과의 차이는 추출용매를 물에서 주정으로 변경한 것과 1차 추출 후 얻어진 박을 이용하여 2차 추출을 행하였으며, 농축온도를 열수 추출의 104$^{\circ}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9$0^{\circ}C$에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온도와 거의 무관하게 주정은 고유의 향을 포집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추출물을 물엿, 음료 등의 제품에 적용할 경우별도의 인공향료 처리없이 천연물 그대로의 가공으로도 충분한 고유의 향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양파추출물의 갈변 및 매운맛 억제기술 (Browning and Pungent Taste Reduction Techniques in Onion Extract)

  • 김희선;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60-364
    • /
    • 2009
  • 추출방법과 $\beta$-cyclodextrin, soluble starch 및 calcium chloride 혼합용액(MIX) 처리가 양파추출물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처리구가 대 조구보다 L(명도) 값은 크게 나타났으며 a(적색도)와 b(황색도)는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100${^{\circ}C}$ 열수추출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의 O.D.값은 각각 0.296 과 0.093 으로서 처리구가 대조구의 약 31%의 O.D.값을 보였다. 열수추출과 초음파추출 모두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은 pyruv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갈변정도와 매운맛 강도에서는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양파추출물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증가를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을 갖는 Phellinus linteus 균사체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with Anti-Complement Activity)

  • 서호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79-183
    • /
    • 2010
  • 각종 버섯에서 항보체 활성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보관균주 50여종과 임업협동조합에서 분양 받은 20여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항보체 활성을 검색한 결과, 항보체 활성이 65.3%를 나타낸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을 선별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보체 활성의 본체를 파악하기 위해 pronase 처리와 periodate 산화를 행한 결과 pronase로 처리한 사료는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던 반면 periodate로 산화시킨 시료는 항보체 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P. linteus가 생산하는 항보체 활성의 본체는 다당에 기인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보체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soluble starch 3.0%, peptone 0.3%, yeast extract 0.4%, $MgSO_4{\cdot}7H_2O$ 0.1%, $K_2HPO_4$ 0.2%, 초기 pH 7.0, 배양 온도 $30^{\circ}C$ 및 교반속도 150rpm이었다. 상기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jar fermentor로 18일 배양하였을 때 88%의 항보체 활성과 15mg/mL의 균사체 생육을 나타내었다.

Hypoglycemic effects of Welsh onion in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 Kang, Min-Jung;Kim, Ji-Hye;Choi, Ha-Neul;Kim, Myoung-Jin;Han, Jung-Hee;Lee, Jai-Heo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86-491
    • /
    • 2010
  • Tight control of blood glucose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Here, we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Welsh onion on fasting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green stalk and white bulb, which are the edible portions of the Welsh onion, and the fibrous root extract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ere measured in vitro. To study the effects of Welsh onion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or acarbose (50 mg/kg) was administer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 were calculated. To study the hypoglycemic effects of chronic feeding of Welsh onion, five-week-old db/db mice were fed an AIN-93G diet or a diet containing either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at 0.5% or acarbose at 0.05%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were measured. Compared to the extract from the edible portions of Welsh onion, the fibrous root extract show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ith an $IC_{50}$ of 239 ${\mu}g/mL$. Oral administration of Welsh onion fibrous root extract (500 mg/kg) and acarbose (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incremental plasma glucose levels 30-120 min after oral ingestion of starch as well as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1). The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of the Welsh onio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1),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ed acarbose. Thus, we conclude that the fibrous root of Welsh onio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hyperglycemia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복어(Lagocephalus wheeleri) 수리미를 첨가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of Natural-tasting Steamed Fish Paste Containing Unwashed Pufferfish Lagocephalus wheeleri Surimi)

  • 안병수;김병균;황석민;박노현;이현진;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62-570
    • /
    • 2019
  • To develop natural-tasting fish paste from the pufferfish Lagocephalus wheeleri, steamed pufferfish paste (SPP) was prepared and its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quality metrics, and shelf-lif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PP was produced by thawing golden threadfin Nemipterus virgatus surimi (FA grade), then adding 10% unwashed pufferfish surimi (PS), 1.5% salt, 8.0% wheat starch, 0.25% calcium carbonate, 0.25% sugar, 0.75% sorbitol, 0.25% polyphosphate, and 12.0% pufferfish hot-water extract (Brix 10°). The meat was ground with a Stephan mixer, molded at low temperature (18℃, 10 h), vacuum packed in a laminated plastic film bag, heat treated with hot water (95℃, 50 min), and cooled. As the amount of PS added increased, the whiteness, gel strength, and shear strength of the SPP decreased slightly. However, the SPP folding test showed no deterioration in the textur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PP received a higher rating for taste, smell, and overall taste than commercial Japanese pufferfish Kamaboko.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PP was 10,262.6 mg/100 g;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lysine, and arginine.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33.0 mg/100 g; the major amino acids were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and lysine.

세포외 고온성 α-아밀라제를 생산하는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의 분리 및 효소생산용 최적 배양 조건 (Isolation and Culture Medium Optimization for Thermostable Extracellular α-Amylase Production by Thermophilic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 사티시 쿠마르;수보쉬 찬드라;브이 말라이아;스리니바슐루;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2-477
    • /
    • 2012
  • 고온성 ${\alpha}$-아밀라제를 생산하는 내열성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균을 인도 Tirupati, Andhra Pradesh 지역의 가열한 미강 열수 추출물에서 분리하였다. 분리균인 내열성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가 생산하는 세포 외 ${\alpha}$-아밀라제의 생산과 성장에 미치는 배양조건을 실험실 규모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pha}$-amylase의 고생산 최적 조건은 온도 $60^{\circ}C$, pH 6.0 및 배지의 전분농도 1.0%, yeast extract와 tryptone은 0.2%를 나타냈다. Surfactants like Tween-20과 SDS 같은 계면활성제는 0.02%까지 균주의 성장과 효소 생산을 증가 시켰으나, 그 이상의 농도 에서는 ${\alpha}$-amylase 효소의 생산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품질안정성 (Quality Stability of Powdered Soup Using Powder from Oyster Wash Water)

  • 허민수;이정석;김풍호;조문래;안화진;심효도;김진수;김인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24-229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효율적으로 이용을 위해 이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와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수프는 열수 추출물 분말 15 g,식염 5 g, 크림분말 19 g, 유장 분말 12 g, 밀가루 20 g, 옥수수 분말 15 g, 전분 5 g, 포도당 7.5 g, 양파가루 1.5 g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는 첨가물을 굴 열수추출물 분말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되, 열수 추출물 분말 15g 대신에 세척액 유래 분말 15 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제조한 굴 유래 분말수프는 알루미늄 적층필름(OPP, $20{\mu}m$; PE, $20{\mu}m$; paper, $45\;g/m^3$; PE, $20{\mu}m$; Al, $7{\mu}m$; PE, $20{\mu}m$)에 포장하여 실온에 저장하여 두고 실험하였다.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경우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과산화물값 및 지방산 조성은 거의 변화없었고, pH, 휘발성 염기질소, 갈변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백색도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저장 중 성분 변화 경향은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와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수프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들 굴 유래 분말수프를 식용할 수 있게 조리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저장 12개월 동안 품질에 큰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는 알루미늄 적층 필름(OPP, $20{\mu}m$; PE, $20{\mu}m$; Paper, $45\;g/m^3$; PE, $20{\mu}m$; Al, $7{\mu}m$; PE, $20{\mu}m$)에 포장하는 경우 상온에서 12개월 동안 품질변화가 크게 인지되지 않아 안전하게 유통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굴통조림 부산물 유래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품질안정성 (Quality Stability of Instant Powdered Soup using Canned Oyster Processing Waste Water)

  • 김진수;허민수;허민수;조문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9-393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세척수 및 자숙수) 유래 혼합분말수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굴열수추출물 유래 분말 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에 식염, 분말크림, 유대체 분말, 밀가루, 옥수수분말, 전분, 포도당, 양파가루의 일정량씩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혼합분말 수프는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 및 식염대신에 세척액 및 자숙수 유래 혼합 분말 (자숙액 유래 분말 : 세척액 유래 분말=12:8)을 첨가하고, 기타 첨가물의 경우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 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굴 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혼합분말수프의 경우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과산화물값 및 지방산 조성은 거의 변화 없었고, pH, 휘발성염기질소, 갈변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백색도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저장 중 성분 변화 경향은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혼합분말수프와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수프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들 굴을 이용한 분말수프를 식용할 수 있게 조리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저장 12개월 동안 품질에 큰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굴 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혼합분말수프는 알루미늄 적층 필름(OPP, $20{\mu}m/PE,\;20{\mu}m/paper,\;45g/m^3/PE,\;20{\mu}m/Al,\;7{\mu}\;m/PE,\;20{\mu}m$)에 포장하는 경우 상온에서 12개월 동안 품질변화가 크게 인지되지 않아 안전하게 유통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