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spring wate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부산 해운대지역 지하수와 지열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 and geothermal waters in the Haeundae hot-spring area, Pusan, Korea)

  • 심형수;함세영;성익환;이병대;조병욱;황진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1-252
    • /
    • 2000
  • Twenty-two water samples(fifteen groundwater and seven geothermal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to elucidat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nd geothermal waters in the Haeundae hot spring area and its vicinity. Major and honor elements were analyzed for ground and geothermal water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K^+$, Na+$, $Ca^{2+}$, $SO_4^{2-}$, $Cl^-$, ^F^-$ and $SiO_2$ were higher in the geothermal water samples than the groundwater samples except $HCO_3^- and Mg^{2+}$ ions. Based on the contents of Fe, Zn, Cu, Al, Mn and Pb, some of the ground and geothermal water samples are contaminated by anthropogenic sources. The ground waters shown on the Piper diagram belong to $Ca-HCO_3$ type, while the geothermal waters Na-Cl type. The graphs of $Cl^-$ versus $Na^+$, $Ca^{2+}, Mg^{2+}, K^+, SO_4^{2-} and HCO_3^-$ indicate that the groundwater is related partly with mineral-water reaction and partly with anthropogenic contamination, while the geothermal water is related with saline water. On the phase stability diagram, groundwater and thermal water mostly fall in the field of stability of kaolinite. This indicates that the ground and geothermal waters proceed with forming kaolinite.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simplify the physicochemical data into grouping some factors and to find interaction between them. Based on the Na-K, Na-K-Ca and Na-K-Ca-Mg geothermometers and silica geothermometers, the geothermal reservoir is estimated to have equilibrium temperature between 125${$\mid$circ}C$ and 160${$\mid$circ}C$.

  • PDF

오색온천수의 지화학적 및 침전물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Precipitates from Oseag Hot Spring)

  • 김정진;김수진;김윤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6
    • /
    • 2004
  • 오색 온천은 강원도 북동부 지역인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온천 원수의 온도는 약 $42^{\circ}C$이다. 온천 원수는 EC (196 us/cm), $SO_4$ (10.88 mg/L), F (8.19 mg/L), 그리고 Na (37.09 mg/L)로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낸다. 온천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부근에는 붉은 색과 검은색의 침전물이 형성되고 있다. X-선회절분석 결과 대부분 결정도가 낮은 철 수산화광물에서 관찰되는 회절선과 결정질의 메셀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침전물에는 외관상으로 구형과 막대모양의 박테리아와 유사한 형태들이 발견된다.

덕구온천수로 제조된 바디로션의 관능평가 (Sensory evaluation of a body lotion formulated with hot spring water from Deokgu, Korea)

  • 김소정;강민경;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0-42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바디로션 제조 시 화장품 첨가제로서의 덕구온천수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주요 수용성 구성성분으로서의 온천수의 적합성을 시험하였다. 온천수의 미생물 및 화학적 안전성 시험이 수행되었다. 대장균을 비롯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한도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유해한 중금속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온천수의 세포독성이 평가되었으며, 온천수의 pH 변화를 3달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덕구온천수 및 증류수로 제조된 바디로션에 대해서 관능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의 적합성을 관능특성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증류수로 제조된 바디로션보다 온천수를 사용한 바디로션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보습, 피부트러블 및 피부 장벽강화가 증진되었다. 종합해 보았을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화장품 제조에 있어서 온천수를 사용하는 것은 화장품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동래온천지역의 지열수와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othermal Water and Groundwater in the Dongrae Hot-Spring Area)

  • Suck Jong Han;Se-Yeong Hamm;Ig Hwan Sung;Byeong Dae Lee;Byong Wook Cho;Myong Hee Cho
    • 지질공학
    • /
    • 제9권3호
    • /
    • pp.207-225
    • /
    • 1999
  • 동래온천지역 지열수 및 그 주변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20개의 시료(11개 지하수 시료와 9개 온천수 시료)를 채수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와 온천수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화학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요인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화학분석 자료를 몇 개의 요인으로 묶어서 요인들간의 상호연관성을 고찰하였다. 파이퍼 다이아그램에 도시한 결과, 지하수는 $Ca-HCO_3$형에 그리고 온천수는 Na-Cl 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래온천수의 염소이온 함량은 우리나라의 다른 화강암지역의 온천수보다 높게 나타난다. 온천수의 Na/Cl 비는 0.7~l.3이다. 상평형도에 의하면, 지하수는 카오리나이트 안정 영역에 놓인다. 한편, 온천수는 미사장석이나 카오리나이트 안정영역에 놓인다. Na-K, Na-K-Ca 및 Na-K-Ca-Mg 지온계에 의하면, 지하 심부의 지열대수층의 온도는 $115~145^{\circ}C$로 추정된다.

  • PDF

백두산 화산활동 평가를 위한 화산가스 및 온천수에 대한 연구 (Study of Volcanic Gases and Hot Spring Water to Evaluate the Volcanic Activity of Mt. Baekdu)

  • 이상철;윤성효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2호
    • /
    • pp.171-1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8월까지 백두산 주롱 온천 지역에서 화산가스 및 온천수를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Lee et al. 2014)에서 보고된 온천수의 측정값 중 $HCO_3{^-}$ 농도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했다. 온천수의 용존 $CO_2$는 이전 연구에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지만, 이를 개선하여 2015년부터 TOC-IC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여러 농도의 $Na_2CO_3$ 표준 시료를 GC로 분석하여, 실제 농도와 표준시료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14년 온천수의 용존 $CO_2$ 농도를 추정하고자 했지만, 실제 주롱(Julong) 온천 주변의 물을 채취하여 GC로 분석했을 때는 이 상관관계가 잘 적용되지 않아서 2014년 온천수의 용존 $CO_2$ 농도를 추정할 수가 없었다. 연구기간 동안 화산가스 내 $CO_2/CH_4$의 농도는 꾸준히 감소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화산체 내부의 환경이 조금 더 환원환경에 가까워져 상대적으로 화산가스 내 탄소가 $CO_2$ 보다는 $CH_4$ 또는 CO로 분배되기 유리해 진 것이다. 두 번째 가능성은 화산가스와 물의 상호작용이 강화되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훨씬 높은 $CO_2$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산가스가 물에 희석되는 현상(scrubbing)의 영향은 화산활동이 활발한 시기보다는 잠잠한 시기에 강화된다. 한편, 온천수의 분석은 화산가스 연구에서 중요한 산성기체 성분의 음이온들과 주요 양이온, 그리고 Cd, Re, As에 대해 이루어졌다.

부산시 동래 온천지역의 양수량, 온천수위, 강수량의 관련성 연구

  • 차용훈;함세영;정재열;장성;손건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5-458
    • /
    • 2004
  • This study uses time series analyses to evaluate fluctuation of water levels in a geothermal water well due to pumping, in relation to rainfall at Dongrae hot-spring site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tile Korean peninsula. The volume of water pumped from the public study wells ranges from 542 to 993 m$^3$/month, and the minimum water level ranged from 35 to 144.7 m during the measured period.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withdrawal rate at the public wells, water levels and rainfall. The autocorrelation of the withdrawal rate shows distinct periodicity with 3 months of lag time, the autocorrelation of rainfall shows weak linearity and short memory with 1 months of lag time, and the autocorrelation of water levels shows weak linearity and short memory with 2 months of lag time.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pumping volume and the minimum water level shows a maximum value 1 at a delayed time of 34 months.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the minimum water level shows a maximum value of 0.39 at a delayed time of 32 months.

  • PDF

보일러 운전조건 및 마감층 두께 변화에 따른 온돌난방공간의 열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Ondol-heated space by varying pipe embedding depths and hot water supply conditions)

  • 박병윤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1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41-47
    • /
    • 1991
  •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the transient temperature response of a floor heating panel according to vari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and the pipe embedding depth. Also, this experiment compares the temperature responses of floor heating panels under the continuous and intermittent heating system. Furtthermore, this study presents some details of the thermal response of Ondol-heated buildings to varying loads and patterns of heat input. The analysis of the thermal performance fo Ondol heating system have been presented.

  • PDF

PHYSIOLOGICAL RESPONSES, FEED INTAKE, URINE VOLUME AND SERUM OSMOLALITY OF AARDI GOATS DEPRIVED OF WATER DURING SPRING AND SUMMER

  • El-Nouty, F.D.;Al-Haidary, A.A.;Basmaeil, S.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4호
    • /
    • pp.331-336
    • /
    • 1990
  • In order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Aardi goats to arid environment, 5 Aardi bucks were deprived of water for four days during spring and summer seasons. The rise in average maximum ambient temperature from $24.8^{\circ}C$ in spring to $35.8^{\circ}C$ in summer caused a significant rise in rectal temperature ($0.3^{\circ}C$), respiratory rate (62%), serum osmolaity (8%) and serum sodium concentration (17%). While, it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line in dry matter intake (50%), urine volume (74%) and fecal water excretion (60%) compared with their values in spring,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me of drinking water. At the end of the 4-days deprivation period during spring, respiratory rate, dry matter intake and urine volume were reduced by 18, 77 and 91% relative to their average in control goats. The corresponding reduction in summer were 58, 100 and 100%. Serum osmolaity was risen by 15% in spring deprived goats and 29% in summer deprived goats. Rectal temperature rose by a mean value of $1.3^{\circ}C$ only in goats deprived of water in summer. Percent of moisture in the feces declined from 64 in control goats, to 24% in water deprived goats during spring season. The corresponding values in summer were 25 and 6%. These responses of Aardi goats deprived of water in summer indicate that they possess a water economy mechanism enable them to tolerate infrequent drinking in hot-arid environment.

동래온천의 수리지질학적 특성과 수위변화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of Dongrae Hot Spring)

  • 이동영;임정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2호
    • /
    • pp.165-176
    • /
    • 1995
  • Dongrae is one of the most famous hot spring resort area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water temperature ranges $50^{\circ}C{\sim}66$.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hermal water is quite different from normal groundwater. $Na^+$ and $Cl^-$ are the main components, measured more than 75%, $Ca^{+{+}}$ is contained about 22% and the other ions such as $SO_4$ or $HCO_3$ are the minor components. The heat source is uprising along the fracture zone of granite which is indicated as a subsurface high temperature belt. During the research period of 1991~1992, the groundwater table was lowered down to the depth of about 100 m according to continuous increase of daily use of thermal water. The groundwater table was fluctuated with an amplitude of day, weak or seasion. The groundwater table was the lowest at 18:00 h in a day and also lowest at the weekend for the week period. There was a relavent relationship between drawdown and the amount of thermal water use on a long term base. To protect such a rapid drawdown of groundwater table, Dongrae resort area is now asked to take strong municipal control for the daily use of thermal water.

  • PDF

문경 탄산온천수의 지화학적 특성 및 침전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Water Geochemistry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e in the Munkyeong Bicarbonate Hot Spring)

  • 김정진;김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2호
    • /
    • pp.45-52
    • /
    • 2002
  • 문경지역 온천은 칼슘-중탄산 온천으로 원수의 온도는 약 $28.5^{\circ}C$이다 원수는 EC(1,857 $\mu\textrm{s}$/cm), $HCO_3$ (1,250 mg/l), $SO_4$(147.60 mg/l), Mg(43.05 mg/l) . 그리고 Ca(279.43 mg/l)로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낸다. 원수에는 소량의 침전물이 형성되지만 보일러로 가열할 경우 많은 양의 침전물이 형성된다. 원수에서 침전되는 광물은 대부분 방해석이지만 보일러실에는 아라고나이트와 방해석이 동시에 정출된다. 온천수 내의 화학종은 $CO_3$는 대부분 $HCO_3^{-}$ 이지만 상당 부분이 $H_2$$CO_3$로, $SO_4$$SO_4^{2-}$ , Mg는 $Mg^{2+}$ Ca는$ Ca^{2+}$ 로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부분의 성분에서 $CO_3$를 포함한 화학종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포화지수를 근거로 침전 가능한 광물은 다이아스포어, 보에마이트, 깁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방해석, 능철석 등이지만 X-선회절 분석결과 침전물은 아라고나이트, 방해석, 철수산화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