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red pepper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6초

여름철 농민의 서열 부담 경감을 위한 냉각조끼의 성능 평가 (Efficacy of Cooling Vests for Alleviating Heat Strain of Farm Workers in Summer)

  • 최정화;김명주;이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1176-118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cooling vests developed for farm workers harvesting red pepper in summer.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following two steps: 1) Climatic chamber test, 2) Field test. For the chamber test, a work environment was simulated as $33^{\circ}C$ and $65\%$RH, and the thermo-physiological and subjective responses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cooling vests. Twelve young males participated as subjects. For the field test, three farmers participated while harvesting red pepper on the form, in summer. The measurements used were same as in the chamber test. Subjects were tested without any cooling vests, as a control. They were tested wearing vests with 2 frozen gel packs (CV2: Cooling area, $308cm^2$), and vests with 4 frozen gel packs (CV4: Sooting area, $616cm^2$). As a result of the chamber test, rectal temperature($T_{re}$) and mean skin temperature( $T_{sk}$) were lower in both CVs than in Control, and this tend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V4 (p<.05).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T_{clo}$) and total sweat rate (TSR)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wearing cooling vests (p<.05) Heart rate (HR) was also lower in wearing cooling vests than in Control, and the speed of recovery to the comfort level was faster when the subjects wore cooling vests. In addition, subjects felt 'less hot, less humid, and less uncomfortable' in both CVs than in Control. Field tests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the chamber tests. In particular, wearing the cooling vest was effective in restraining the raise of $T_{clo}$ on the back.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oling vest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heat strain and discomfort in both the chamber test and the field test, despite the cooling area of the cooling vest being just $3.4\%$ of the body surface area ($616cm^2$).

재배환경, 품종 및 가공 방법에 따른 고추와 고춧잎 중 농약의 잔류 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me Pesticides in/on Pepper Fruits and Leaves by Different Types, Growing and Processing Conditions)

  • 이희동;유오종;임양빈;권혜영;진용덕;김진배;김윤한;박승순;오경석;고성림;김태화;노재관;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9-106
    • /
    • 2006
  • 노지와 시설하우스에 재배중인 고추에 살포한 chlorothalonil과 imidaclopid는 시설하우스보다 노지에서 분해가 빨랐는데 시험기간 중 강우가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주로 이슬에 의한 세척과 광분해에 의한 영향으로 추측되었다. 고추품종별 농약 잔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고추가 연속수확작물이고 또한 고추가 고춧잎 속에서 생육하여 농약이 골고루 묻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풋고추를 절였을 경우에는 농약에 따라 약 $30{\sim}71%$의 잔류량 경감효과가 있었으며, 꽈리고추를 볶았을 경우에는 $20{\sim}41%$의 경감효과가 있었다. 또한 esfenvalerate와 imidacloprid를 살포한 홍고추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담가 2개월간 발효시켰을 경우에는 고추장에서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수확한 고춧잎 중 잔류농약은 물세척에 의해 $22{\sim}37%$, 데침에 의해 $74{\sim}95%$, 데침 후 건조에 의해 $17{\sim}55%$의 고춧잎 중 잔류농약 경감율을 보였다.

영남지역 시설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 함량 분포 (Distribution of Micronutrients in Plastic Film House Soils of Yeongnam Provincen)

  • 정종배;김복진;유관식;이승호;신현진;황태경;최희열;이용우;이윤정;김종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4-223
    • /
    • 2006
  •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시설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미량원소의 관리가 필요하며, 따라서 시설재배지 토양중의 미량원소의 유효도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지역 주요 시설재배지 토양중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딸기 재배지 96개소, 고추재배지 66개소, 토마토 재배지 74개소, 참외 재배지 97개소, 오이 재배지 63개소 등 총 396개소의 비닐하우스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고, B, Cu, Zn, Fe 및 Mn에 대하여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함량의 경우 B는 열수로 추출하였으며 Cu, Zn, Fe, Mn은 0.1 N HCl로 추출하였다. 비닐하우스 토양중 B, Cu, Zn, Fe, Mn의 총 함량 평균값은 각각 25, 32, 74, 21,316, $420mg\;kg^{-1}$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값은 비닐하우스 주변 노지 토양중의 총 함량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조사지역별 그리고 재배작물별로 비교하변 비닐하우스 토양중의 각 미량원소들의 총 함량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용성 B, Cu, Zn의 함량은 전체 조사 토양에 대한 평균값으로 각각 2.1, 7.5, $35mg\;kg^{-1}$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노지 경작토양에 비하여 대부분 그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Fe와 Mn의 경우에는 전체 평균값이 각각 156 및 $146mg\;kg^{-1}$이었으며, 가용성 Fe의 함량은 주변 노지 경작토양에 비하여 그 함량이 낮았다. 조사된 시설재배 토양중의 가용성 Zn, Fe, Mn의 함량은 모든 지역에서 대부분 일반작물 재배에 적정한 수준 또는 그 이상의 과잉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Cu의 경우 딸기, 토마토 및 오이 재배지에서는 가용성 함량이 대부분의 조사 토양에서 적정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추와 오이 재배지에서는 조사토양의 약 30%에서 적정함량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의 경우 딸기, 고추, 참외 재배지에서 가용성 함량이 적정수준에 미달하는 토양이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가용성 B의 함량이 과잉 수준인 토양은 다른 원소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미유 제품에 대한 추출 용매별 로즈마리 추출물의 저장 안정성 향상 효과 (Increasing Effect on Storage Stability of Rosemary Extracts used for Various Solvent System on Seasoning Oils)

  • 이장우;안영순;홍영표;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1-278
    • /
    • 2006
  • RPSO, SO, PNO의 3종 향미유에 대하여 로즈마리 유기 용매 추출물과 비교군으로 토코페롤을 각각 1,000ppm씩 동량으로 적용하여 60${\pm}$2$^{\circ}C$의 항온기에 저장하여 AV, POV 및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였다. 이들 향미유의 AV, POV측정 과정에서는 고유의 색상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토코페롤은 AV, POV,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 등 각종 측정 항목에서 항산화제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산화 촉진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chloroform/MeOH 추출물 처리의 저장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측정 항목 및 추출물별 저장 안점성의 향상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AV는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으며, POV는 chloroform/MeOH 추출물>ethyl alcohol추출물${\geq}$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geq}$열수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고,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은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cetate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의 순이었다.

고추 자엽에서 식물체 재분화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Culture of Capsicum annuum L.)

  • 오명규;이영만;박문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01-304
    • /
    • 1998
  • 자엽으로 부터 신초 유기율은 MS기본배지와 MS기본배지에 IAA 0.25mg/L 또는 0.50mg/L과 zeatin 2.0mg/L 또는 4.0mg/L를 단독 및 조합 처리한 배지중에서 M배지에 IAA 0.25mg/L + zeatin 2.0mg/L 첨가된 배지가 63%로 가장 양호하였다. 신초 유기시기는 품종 및 배지에 따라 치상후 9~25일의 차이가 있었는데 MS배지 + zeatin 2.0mg/L + IAA 0.25 mg/L배지에서 영양재래, 풋고추, 342, Kakovskij-A-35, Gris I-A-1가 빠르게 유기 되었으며, MS배지 + BA 2.0mg/L + IAA 1.0mg/L 배지에서 COO485 Long Hot P5-3, Gris I-A-1에서 유기가 빨았다. 신초 유기율도 품종 및 배지에 따라 달랐는데 MS 배지 + zeatin 2.0mg/L + IAA 0.25mg/L 배지에서는 621, 영양재래, Nikko(일광), 적색물고추, Ch-6Num-216, 풋고추, Kakovskij-A-35가, MS배지 + BA 2.0mg/L + IAA 1.0mg/L 배지에서는 Fresno Chile, PI 169126, 적색물고추, PI 297438가 90%이상으로 높았다.

  • PDF

서열 환경에서 농작업 모자 착용에 따른 체온 조절 및 주관적 반응 (Thermal and subjective responses by sun hats for farmer in a hot climatic chamber)

  • 김명주;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13-722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wo kinds of functional sun hats through a head-manikin test and a climatic chamber trial for farm workers in summer. Experiment was composed of four conditions. The first condition was the condition without any hat (Control). The second was the condition with a sun hat on the market (Hat A). The third was the condition with a functional sun hat made of reflective fabric (Hat B). The last was the condition with a functional sun hat having a ventilating structure as well as reflective fabric (Hat C). For the subjects in the climatic chamber trials, 12 healthy males volunteered.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globe temperature in the chamber was maintained at $33{\pm}0.5^{\circ}C,\;65{\pm}5%RH\;and\;39{\pm}1^{\circ}C\;(WBGT\;33^{\circ}C)$. Subjects did a simulated red pepper-work (50-min work and 10-min rest, twice repetition) for 120 min. As the result of head-manikin test, the surface temperature on middle of back-neck was the lowest in Hat B of four condition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n top of head was the lowest in Hat C. As the result of climatic chamber trials,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with (Hat A, Hat B, Hat C) and without a sun hat (Control). In rectal temperature ($T_{re}$), mean skin temperature ($\={T}_{sk}$), heart rate (HR), total sweat rate (TSR), The physiological heat strain was less in the condition with hats than in the condition without a sun hat. As the increasing rate in Tre, Hat B is the most effective hat for alleviation heat strain. As the subjective responses, Hat B was the most effective hat for thermal comfort even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at C was less effective than Hat B and the reason might be the increase of weight due to inserting the ventilating structure.

보통의 식품첨가제의 SEM-EDS와 ICP-AES 분석 (SEM-EDS and ICP-AES Analysis of Common Food Additives)

  • Hussain, Raja Azadar;Yasmin, Farida;Nawaz, Hamid;Badshah, Amin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51-555
    • /
    • 2010
  • Cinnamomum Iners (Darchini, 쟈 바 계피), Elettaria Cardamomum (Elachi, 백두구, 소두구, 카다몬, 카도몬), Punica Granatum (Anar Dana, 석류), Curcuma Longa (Haldi, 터메릭, 투메릭, 심황, 울금, 울금은, 컬쿠마), Piper Nigrum (Kali Mirch, 페퍼, 페퍼블랙, 후추, 블랙 페퍼), Syzygium aromaticum (Loung, 클로브, 정향, 정향나무,), Capsicum Annum (Laal Mirch, 붉은 고추), Mentha Arvensis (Pahari Podina, 박하), Curcuma Zedoaria (Kachur, 가쥬츠, 봉출, 아출, 커큐머 제도) Zingiber officinale (Adrak, 건강, 생강, 진저) 그리고 Garam Masala (매운맛, 혼합물)은 SEM-EDS와 ICP-AES의 도움으로 그 속의 금속 성분을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되어졌다. 작은 농도는 ICP-AES로 찾아냈고 주된 농도는 SEM-EDS로 찾아냈다.

사상체질에 따른 매운 음식이 얼굴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icy Food on Face Image Color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가민경;김미혜;김봉현;김희대;조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71-2677
    • /
    • 2014
  • 현대인들은 매운 음식을 선호하며 매운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매운맛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매운 음식을 먹었을 경우,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얼굴색이 빨갛게 변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매운 음식을 섭취했을 경우, 사상체질에 따라 얼굴 영역별 색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체질감별 설문 검사지를 통해 사상체질별로 피실험자 집단을 구성하고 대표적인 매운 음식인 청양고추 1개씩 섭취하기 전과 후의 얼굴 영상을 기반으로 Lab색 체계를 적용한 영상신호분석 실험을 통해 사상체질별 매운 음식과 얼굴 색상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륙별 주요국가들의 한식 메뉴 선호도와 구매 및 추천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of Korean Food Menu among Major Countries by Continent)

  • 정효재;김영경;김영석;오지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2
    • /
    • 2024
  • Food is essential for sustenance and reflects a country's identity, making it crucial to identify the cultural needs for effectively localizing Korean food. This study surveyed 825 adults from four continents (eight countries)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familiarity, and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Significant correlations(p< .001) were found between the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with variations observed across continents. Among the representative Korean food items, the average preference score was 4.67, and the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score was 4.88. Seven items received above-average ratings (e.g., gogi-deopbap and kimchi-bokkeumbap), while some items showed high liking but low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e.g. dak-jjim and galbi-jjim). In addition, items such as gimbap and tteokbokki had high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 but low liking, and kimchi and vegetable foods etc. received low liking and purchase/recommendation intent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meat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seasoning, beef respondents preferred grilled·stir-fried and soup·stew·hot pot cooking methods, while pork or chicken respondents preferred grilled·stir-fried and frying methods. Soy sauce was the most preferred seasoning for all meat responses, followed by red pepper paste.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Korean food products, segmented by continent.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전통고추장의 유통중 팽창억제 및 품질개선 (Prevention of Swelling and Quality Improvement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by Natural Additives)

  • 정도연;송미란;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5-610
    • /
    • 2001
  • 순창전통고추장 저장 및 유통 중 품질저하 요인이 되는 가스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겨자와 고추냉이 분말을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전통옹기에서 180일 동안 숙성하면서 성분 변화와 가스발생 유무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겨자 및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 품질에 대한 관능검사를 통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양고추냉이를 0.6% 정도 첨가한 고추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중 산생성이 억제되었고,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색택은 겨자 첨가시에는 변화가 없으나 양고추냉이를 첨가하는 경우 L값과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에 비첨가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양고추냉이를 0.6% 첨가하면 유통 중 문제되는 가스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발효가 종료된 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고추장에 비해 오히려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순창전통고추장에 0.6% 수준의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하면 완제품의 유통 중 가스발생 억제는 물론 품질개선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