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1초

Honey bees and their brood: a potentially valuable resource of food, worthy of greater appreciation and scientific attention

  • Ghosh, Sampat;Meyer-Rochow, Victor Benno;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93-304
    • /
    • 2021
  • Despite the consumption of bee brood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particularly in the tropical areas, the practice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We have reviewed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honey bee workers belonging to different species and subspecies. Noticing the competent nutrient composition of, in particular, honey bee brood, pupae, and prepupae, we suggest that they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human nutrition as well as animal feed. Moreover, drone brood is an ideal candidate for use as a food or as food ingredient. However, to analyz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honey bee species remains a task for further analysis.

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쌀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Dasik Made with Yam(Dioscorea japonica) Powder)

  • 조선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8-321
    • /
    • 2010
  • 본 연구는 다식 제조 시 감미와 결착제로서 꿀과 올리고당을 사용하고, 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만든 쌀다식의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마 분말을 첨가한 쌀다식 제조의 최적의 배합비를 구하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꿀 첨가군이 올리고당 첨가군보다 낮았으며, 당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꿀 첨가군보다 올리고당 첨가군이 L, a값은 높았으며, b값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꿀 첨가군과 올리고당 첨가군 모두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꿀 첨가군보다 올리고당 첨가군이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의 결과 외관, 마의 맛, 단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마 분말 20% 첨가군이 가장 기호도가 높다고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마 분말의 첨가는 쌀다식의 기호도를 높여주고, 꿀과 올리고당을 이용한 다식 제조 시 마 분말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다식의 제조 시 꿀과 올리고당을 감미 와 결착제로 사용하였으나 차후에 더욱 다양한 감미료와 보존성,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다식의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 PDF

한국산 밤꿀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estnut Honey Produced in Korea)

  • 강귀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84-88
    • /
    • 1998
  • 밤꿀과 밤꽃 향기성분의 연관성을 조사코자 밤꿀은 용매추출과 수증기 증류법을 병행하여, 그리고 밤꽃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GC-MS에 의해 확인 비교하였다. 밤꽃으로 부터 14종의 방향족 화합물, 13종의 탄화수소류, 7 종의 지방산류, 4종의 테르펜류, 1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7종의 기타 성분 등 64종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밤꿀로 부터는 7종의 방향족화합물, 16종의 탄화수소류, 12종의 지방산류, 1종의 테르펜류, 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3종의 기타 성분 등 41종이 확인되었다. 밤꽃 향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전체 향기의 49.02%를 차지하고 있는 2-phenyl eth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었고 밤꿀 향기의 특징적인 성분으로는 2-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1-(2-aminophenyl) ethanone 등이었다.

  • PDF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against Colon Cancer Cells Using Combined Gelam Honey and Ginger Extract via mTOR and Wnt/β-catenin Pathways

  • Wee, Lee Heng;Morad, Noor Azian;Aan, Goon Jo;Makpol, Suzana;Ngah, Wan Zurinah Wan;Yusof, Yasmin Anum Moh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549-6556
    • /
    • 2015
  • The PI3K-Akt-mTOR, $Wnt/{\beta}$-catenin and apoptosis signaling pathways have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genesis of colorectal cancer (CR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whether combination of Gelam honey and ginger might have chemopreventive properties in HT29 colon cancer cells by modulating the mTOR, $Wnt/{\beta}$-catenin and apoptosis signaling pathways. Treatment with Gelam honey and ginger reduced the viability of the HT29 cells dose dependently with $IC_{50}$ values of 88 mg/ml and 2.15 mg/ml respectively, their while the combined treatment of 2 mg/ml of ginger with 31 mg/ml of Gelam honey inhibited growth of most HT29 cells. Gelam honey, ginger and combination induced apopto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the combined treatment exhibiting the highest apoptosis rate. The combined treatment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s of Akt, mTOR, Raptor, Rictor, ${\beta}$-catenin, $Gsk3{\beta}$, Tcf4 and cyclin D1 while cytochrome C and caspase 3 genes were shown to be upregulated.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Gelam honey and ginger may serve as a potenti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through inhibiton of mTOR, $Wnt/{\beta}$ catenin signaling pathways and induction of apoptosis pathway.

히말라야산 석청 복용 후 발생한 심장독성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분석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Himalayan Mad Honey)

  • 김성호;서동우;유승목;김원영;오범진;임경수;손창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9-12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Methods: Medical records of 12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2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4.5 years and 58.3% were men. The median amount of mad honey ingested was 30.0 cc, and the mean time from ingestion to onset of symptoms was 39.4 minutes. All patients had hypotension and bradycardia upon arrival in the ED.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showed sinus bradycardia in seven patients, junctional bradycardia in four patients, and atrial fibrillation with slow ventricular response in one patient. Four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only. 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and atropine sulfate in a dose ranging from 0.5 to 2.0 mg.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returned to normal limits within 24 hours in all patient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all patients with cardiotoxicity caused by ingestion of Himalayan mad honey had severe hypotension, bradycardia, and bradyarrythmias, including sinus bradycardia and junctional bradycardia and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intravenous normal saline solution and intravenous atropine sulfate.

  • PDF

오가피 설기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처 특성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Ogapisulggi by Different Ingredient Ratios)

  • 최영심;조선행;지옥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46-1055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of Ogapisulggi by varying the quantity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n var. Goma(Ogapi) berry powder and the types of sugar utilized. The moisture content, color value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Ogapisulggi were then measured and compared. When the quantity of the Ogapi berry powder was the same, Ogapisulggi with honey added and the equal amount of sugar and honey added group was moister than that with sugar. The ightness values and yellowness valu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Ogapi berry powder, whereas the redness values was increased. In particular, decreased proportions were observed in the Ogapi berry powder and sugar-added group($R^2$=0.922), the equal amount of sugar and honey-added group($R^2$=0.922) and the honey-added group$R^2$=0.966). In our texture analysis, hardness and adhesiveness values were reduced in the 0.3% Ogapi berry powder-added group, and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values were increased the Ogapi berry powder-added group.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Ogapisulggi containing 0.3% Ogapi berry powder was the lowest in terms of color, flavor, after-swallowing and overall prefere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est ratio of ingredients was as follows: 0.3% addition of Ogapi berry powder with sugar and 0.1% addition of Ogapi berry powder with honey, which supports the conclusion regarding the benefits of Ogapi berry powder supplementation in Ogapisulggi in terms of taste and functionality.

  • PDF

LC-MS/MS에 의한 벌꿀 중 잔류 네오마이신의 분석 (Analysis of residual neomycin in honey by LC-MS/MS)

  • 심영은;정지윤;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19-325
    • /
    • 2009
  • 벌꿀 중에 잔류하는 아미노그라이코사이드 항생제인 네오마이신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방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0.1M 염산을 사용하여 벌꿀의 pH를 2로 조절한 후 고체상 추출(SPE) 고체상인 양이온교환 카트리지에 적재한 후 염기성 메탄올로 용리하였다. 용리된 추출물은 이온쌍 시약을 사용한 이온쌍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한 후 LC/(+)ESI-MS/MS의 M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정량분석을 위해서 spike 한 $5.0{\sim}250{\mu}g/kg$ 농도 범위에서 검정곡선은 좋은 직선성 ($r^2$ > 0.9951)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의 상대표준편차는 11.5~18.7%이었고 정확도는 bias로 10.9~20.9%이었다. 확립된 분석방법은 벌꿀 중에서 네오마이신의 분석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시판 벌꿀의 품질 평가 및 품질인자간 상관관계 분석 (Evaluation of Commercial Korean Honey Qu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lity Parameters)

  • 성화정;정철의;권지영;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89-1500
    • /
    • 2018
  • 벌꿀은 꽃의 화밀을 꿀벌이 수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것으로, 밀원에 따라 색, 맛, 향기 등에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 다양한 밀원에서 생산된 국내 120종 벌꿀(밤꿀, 대추꿀, 때죽꿀, 잡화꿀, 밀감꿀, 유채꿀, 사양벌꿀)의 유용성분 분석, 항산화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고, 분석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벌꿀의 성분 및 생리활성은 밀원에 의해 차별화되었으며, 채취농가 및 채취지역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벌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밤꿀이 가장 높은 $77.1{\pm}8.4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대추꿀($8.73{\pm}7.31mg/100g$)과 밤꿀($8.39{\pm}3.02mg/100g$)에서, 단백질 함량은 밤꿀에서 가장 높은 $25.9{\pm}0.9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아카시아, 유채 및 사양꿀에서는 12~15 mg/100 g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400 nm에서의 흡광도는, 밤꿀에서 가장 높은 $0.156{\pm}0.036$를 나타내었고, 대추꿀 > 잡화꿀 > 때죽꿀 > 유채꿀 > 감굴꿀 >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로 나타났다. 모든 벌꿀 시료는 1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항산화 활성평가 결과, DPPH 및 ABTS 소거능의 경우 밤꿀 > 대추꿀 > 때죽꿀 > 잡화꿀 > 밀감꿀 > 유채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nitrite 소거능의 경우 밤꿀, 대추꿀, 잡화꿀 > 유채꿀, 밀감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분석인자간의 상관성을 계산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양이온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0.879)를 나타났으며, 특이하게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음이온 소거능은 0.441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400 nm 흡광도는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소거능 및 환원력과 각각 0.804, 0.772 및 0.741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향후 400 nm 측정으로 벌꿀 간편 품질검사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기능성 벌꿀 개발 및 벌꿀 유용성분을 이용한 식의약품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현재 선정벌꿀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및 약용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사양벌꿀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벌꿀을 이용한 고액분리 숙성 탁주의 주질 향상과 고형분의 조절에 따른 품질유지기간 증대 (Improvement of Takju Quality by a Ripening-Fermentation Process Using Honey and Extension of Shelf Life by Control of Takju Mash Sediment)

  • 정승진;신태선;김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0-86
    • /
    • 2012
  • 우리 나라 전통술인 탁주의 주질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천연성과 기능성을 가진 벌꿀을 사용하였고 저장기간의 연장을 위하여 술액의 침전물 양을 조절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효방식은 주모발효 후 3단담금 방식으로 하였고, 입국균은 Aspergillus awamori var. kawachi, 원료는 100% 백미, 알코올 발효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제성액의 고형분과 술액을 분리하여 벌꿀을 최종농도 5%(w/v) 첨가하여 5, 10, $15^{\circ}C$에서 23일간 숙성하였을 때 온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숙성기간 동안 알코올이 미소하게 감소했을 뿐 pH, 산도 및 총당량은 거의 일정하였다. 이와 같이 특징적인 술액의 차이는 없었지만 벌꿀숙성으로 제조한 탁주가 벌꿀 첨가 직후의 미숙성 탁주와 비교할 때 우수한 관능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냉동 보관한 고형분을 100%, 50% 및 25% 비율로 벌꿀첨가 숙성된 술액과 혼합한 후 물을 보충하여 알코올 8%의 탁주를 제조하고 37일간 $10^{\circ}C$에서 날짜 별로 분석하였다. pH는 모든 탁주에서 4.5~4.8 사이를 큰 차이 없이 유지하였으며 고형분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모 세포수, 산도 및 알코올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총당량은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즉 고형분의 양이 소량일수록 탁주의 주질이 안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후 고액 분리하여 상층액에 벌꿀을 첨가함으로써 저온 숙성기간 동안 주질의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술액을 만들 수 있었으며, 고형분의 재혼합 비율을 조절할 경우 저장기간이 증대된 탁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 전기영동을 이용한 토종꿀의 판별 (Discrimination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by SDS-PAGE)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
    • /
    • 1998
  • 꿀의 식품학적 특성만으로는 토종과 양봉꿀의 판별이 불가능하므로 꿀 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특성으로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꿀 속의 단백질을 Bradford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 토종꿀은 $0.1{\sim}3.3\;mg/g$이었고 양봉꿀은 $0.2{\sim}1.6\;mg/g$으로 토종꿀이 양봉꿀의 단백질함량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벌꿀의 단백질 pattern을 관찰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주요 단백질의 분자량이 각각 56,000 Da과 59,000 Da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집한 모든 토종꿀과 양봉꿀에서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 단백질이 토종벌과 양봉벌의 생리적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 주요 단백질을 두 단계의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주요 단백질은 토종꿀과 양봉꿀을 구별할 수 있는 SDS-PAGE의 marker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꿀의 주요 단백질을 잘 분리하기 위해서는 10%의 gel농도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토종꿀과 양봉꿀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