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bleaching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5초

Quinine Assay with Home-Built UV-LED Fluorometer: Quantitative Analysis, Photo-Bleaching, Fluorescence Quenching, and Urine Analysis

  • Cheon, Tae-Min;Cheong, Byeong-Seo;Cho, Han-Gook;Kim, Jin-Hee;Kim, Kyoug-Soo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77-582
    • /
    • 2012
  • Quinine quantitative analysis, photo-bleaching, fluorescence quenching, and urin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by means of a UV-LED fluorometer, which can be easily built and used in a high-school laboratory. The quinine detection range is estimated to be 0.05-80 ppm, enough for many classroom luminescence experiments. The quinine content in commercial tonic water is determin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and UV photo-bleaching of this anti-malarial drug is demonstrated with clear wavelength dependence. Halide quenching of quinine fluorescence is also observed and the increase in quenching efficiency in the order of $Cl^-$, $Br^-$, and $I^-$ is evident. Urine analyses for the student volunteer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s clearly reveal excretion of the ingested quinine. The student participants are exuberant throughout the course of this study and sense the practices resourceful.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bleaching agents on micro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 Chang, Hoon-Sang;Cho, Kyong-Mo;Kim, Jin-Wo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73-573
    • /
    • 2003
  • I.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teeth bleached with commercial whitening strips and compared with those bleached with home bleaching gel. II.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exrtacted central incisors were cut into pieces and central four segments were chosen from each tooth and embedded in acrylic resin. Four blocks with 12 tooth segments embedded in acrylic resin were acquired and numbered from one to four. Block 1 was bleached with Crest Whitestrips, block 2 with Claren, block 3 with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10% carbamide peroxide).(omitted)

  • PDF

기상조건과 배설지 특성에 따른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leaching Phenomenon of Otter (Lutra lutra) Spraints in Relation to Weather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prainting Sites)

  • 노은영;한성용;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5
  • 배설 후 시간 경과에 의해 나타나는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은 신선한 분변(Fresh spraints)과 오래된 분변(Old spraints)을 알려주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분변 표백현상에 대해 외적 특징만을 언급해왔을 뿐, 분변 간 발생하는 표백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공극률, 연경도 같은 배설지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미기상(Micrometeorology) 차이가 분변 간 표백률에 차이를 유발할 것이라 가정했다. 배설지 조건은 점토, 모래, 바위, 콘크리트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일사량의 영향을 보기 위해 다시 양지와 음지로 나누었다. 배설지 미기상은 지표면의 기온과 습도 측정을 통해 도출했고, 계절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전 계절에 걸친 측정이 이루어졌다. 배설지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양지에서 배설지 유형에 따라 미기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설지 미기상 차이가 분변 표백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양지의 바위와 콘크리트 배설지에서 높은 분변 표백률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에는 양지의 점토 배설지에서 분변 표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63.4{\pm}7.6%$). 전 계절에 걸쳐 표백률이 가장 낮은 배설지는 모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배설지의 분변 표백률은 계절과 햇빛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고, 배설지 특성에 의한 열전도도 차이가 배설지 기온 차이를 유발함으로써, 분변 표백률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변을 간접흔적(Indirect sign)으로 이용하는 수달 생태조사에 있어서, 분변 표백현상에 대한 기존의 외적 평가는 계절, 배설지 특성 및 햇빛의 유무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종 치아미백제가 구강내에서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of Enamel in situ)

  • 박윤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0-476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통상 home bleaching용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젤이 법랑질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백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평가하기위하여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한 사람의 상악 절치 20개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2 mm의 정사각형 치아편을 각 치아에서 3개씩 절단, 채득한 후 교정용 bracket에 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자원자는 20명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자원자의 치아에 동일 치아에서 제작한 시편이 부착된 bracket을 순면 중앙에 부착하였으며 상악 우측 측절치에 젤을 이용한 군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 Ultradent Product Inc, South Jordan, USA), 상악 우측 중절치에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 상악 좌측 중절치에 부착대를 이용한 군 (Claren, LG Household & Health Care, Seoul, Korea)을 부착 시켰다. 젤을 이용한 군은 bracket이 부착된 치아에 맞게 상악 우측 측절치부터 우측 소구치까지를 덮는 mouthguard tray를 제작하여 매일 동일시간에 2시간씩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착 28일 동안 미백 치료 없이 구강 내에 위치시켰다. 부착대를 이용한 군은 bracket의 시편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악용 Claren을 절단하여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 하루 두 번 부착하여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다. 각군 모두 bracket부착 전, 미백 14일 후, 재광화 14일 후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미세경도 변화 양상과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젤 형태의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제의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Applic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o determine the depth of demineralization of dental fluorosis in enamel microabrasion: a case report

  • Park, Tae-Young;Choi, Han-Sol;Ku, Hee-Won;Kim, Hyun-Su;Lee, Yoo-Jin;Min, Jeong-Bu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3호
    • /
    • pp.225-230
    • /
    • 2016
  • Enamel microabrasion has become accepted as a conservative, nonrestorative method of removing intrinsic and superficial dysmineralization defects from dental fluorosis, restoring esthetics with minimal loss of enamel. However, it can be difficult to determine if restoration is necessary in dental fluorosis, because the lesion depth is often not easily recognized. This case report presents a method for analysis of enamel hypoplasia that uses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enamel microabrasion with carbamide peroxide home bleaching. We describe the utility of QLF when selecting a conservative treatment plan and confirming treatment efficacy. In this case, the treatment plan was based on QLF analysis, and the selected combination treatment of microabrasion and bleaching had good results.

15% 치아미백제의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 함유 여부에 따른 치아색조와 미세경도 변화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Agents with and without Potassium Nitrate and Fluoride(PF) on the Tooth Color and Surface Microhardness of Human Enamel)

  • 우희선;심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53-3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자가 미백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15% carbamide peroxide(CP)에 potassium nitrate와 fluoride(PF)가 함유된 제품과 미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여 색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건전한 소구치 30개를 이용하여 3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각 10개씩 3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대조군 (Distilled water), 2군은 15% CP, 3군은 15% CP(3% potassium nitrate and 0.11% fluoride 함유)이다. 치아미백은 14일 동안 하루에 6시간 미백하고 이후 시간은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색 측정은 미백 전과 14일에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는 미백 전, 7일, 14일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색변화를 본 결과 미백하지 않는 대조군 1군과 미백제가 함유된 2군과 3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고(p<0.05), 2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표면미세경도 변화를 비교해보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을 제외하고 2군과 3군에서는 미백 전 경도 값에 비해서 미백 후 유의하게 경도의 감소를 보였고(p<0.05), 특히 미백 7일째 경도 값의 차이가 미백 후 14일보다 컸다. 미세경도 감소율을 보면 대조군인 1군은 7일과 14일에 각 각 1.7과 0.8로 차이가 거의 없으나 2군은 21.9,와 3.5이고, 3군은 16.7과 1.4로 미백 7일째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p<0.05), PF가 미 함유된 2군의 7일째 미세경도 감소율이 가장 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F는 치아미백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으며, 미세경도 변화에서는 PF가 함유된 미백제에서 경도 감소율이 적었다. 따라서 PF가 함유된 치아미백제는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법랑질의 경도 감소를 줄일 수 있다.

화학처리에 의한 케나프 섬유인 물리적 특성인 변화 (The Change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Fiber by the Chemical Processes)

  • 유혜자;이혜자;김정희;안춘순;송경헌;한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1025-1033
    • /
    • 2006
  • Kenaf bast can be obtained by decortication of Kenaf stem. Kenaf fibers are much more rough than cotton fiber because they include impurities as pectin, lignin and hemicellulose besides cellul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kenaf fiber length and diameter during the processes of removing impurities. To remove pectin, kenaf bast was retted chemically. A half of the retted kenaf fiber bundle were scoured and bleached. The other half one were treated with $NaClO_2$ solution to remove lignin, and were treate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remove hemicellulose. Four kinds of specimens that were obtained for investig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Length and diameter of 100 fibers on each specimen was measured. The tensile strength of 100 fiber bundles were measured. And also the color values of them were measured with spectrocolorimeter. The length of retted kenaf fiber was 16.97cm. Then it decreased to 11.43cm after bleaching. Kenaf fiber bundles could be finer by chemical processes that remove non-cellulosic materials. The thickness of retted fiber was $132{\mu}m$. And after undergoing the chemical processes to remove non-cellulosic materials, the thickness of kenaf fiber became finer as $73{\mu}m$. Tensile strength of the retted kenaf fiber bundles was 11.37Mpa. The retted kenaf fiber lost their strength as 22.6% by bleaching and as 18.3% by treatment for removing lignin. The retted kenaf fiber showed low whiteness as 56.48 of L*value. After bleaching, the kenaf fibers have creamy white color and their whiteness got 90.02 of L*value. After the treatment for removing hemicellulose, the kenaf fibers also have creamy white color and their whiteness got L* value of 79.02.

15% Carbamide Peroxide가 심미수복재의 표면조도와 착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Staining of Esthetic Restoratives)

  • 김수화;최혜숙;노지연;김광만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73
    • /
    • 2013
  • 본 논문은 미백 후 수복재의 종류에 따른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미백제에 의한 표면변화가 수복재의 착색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가미백제로 널리 사용되는 15% carbamide peroxide가 대표적인 심미수복재인 콤포지트 레진(composite resin, CR),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글라스아이오노머(glass ionomer, GI)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백 후의 착색감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커피용액에 일정 시간 보관한 후 수복재의 색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백 전과 미백 후의 색변화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모든 재료에서 ${\Delta}L^*$, ${\Delta}a^*$, ${\Delta}b^*$, ${\Delta}E^*$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Delta}E^*$${\Delta}L^*$값은 RMGI, GI, CR 순으로 색변화가 많이 나타났고(p<0.05), ${\Delta}a^*$값은 GI, RMGI, CR 순으로 미백 후 감소하였으며, ${\Delta}b^*$값은 RMGI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미백 전과 미백 후 표면조도는 CR, RMGI, GI 모두 미백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RMGI가 미백 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p<0.05). 3. 실험군과 대조군을 커피 용액에 착색시킨 후의 ${\Delta}E^*$값은 GI, RMGI, CR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GI와 RMGI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한 실험군의 색 변화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Delta}L^*$값은 GI와 RMGI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하고 착색한 경우 명도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elta}a^*$값보다 ${\Delta}b^*$값의 증가가 훨씬 더 크고 뚜렷하였다. 4. 커피 용액 착색에 따른 시편의 표면 변화는 CR, RMGI, GI 모두 착색 전과 착색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심미수복재의 색안정성은 심미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치아미백 또한 심미를 목적으로 하는 술식이다. 따라서 치과에서는 수복재의 종류에 따라 미백제나 착색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술식을 제공받는 내원자들이 착색을 야기할 수 있는 음식이나 음료에 대해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VITAL BLEACHING AGENTS ON TRANSLUCENCY OF THE BOVINE ENAMEL)

  • 김동준;김영주;김학근;박은종;서은주;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78-1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서 home bleaching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표백 재료들이 치아 법랑질의 투명도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고찰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하루 전 발거한 우치 (bovine tooth)를 사용하였다. 치아의 순면에 수직되게 다이아몬드 드릴을 이용해 수주 하에서 직경 6 mm의 원통형 치아 시편을 만들어 순면이 노출된 상태로 투명한 아크릭 레진에 포매한 후, low speed diamond saw (Isomat, Buehler Co., USA)를 사용하여 1.2 mm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시편은 순면을 먼저 편평하게 연마하고,절단된 면을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우치 25개)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머지는 대조군으로 하였다. Opalescence$^{(R)} (10% carbamide peroxide, Ultradent, Milford, USA), Rembrandt$^{(R)} (10% carbamide peroxide, DenMat, USA) 및 Opalescence$^{(R)} F(15% carbamide peroxide with fluoride, Ultradent)를 시편의 순면에 1주일 동안 적용 (표백제는 24시간마다 교체)하였고, 설측면은 증류수를 적신 거즈에 접촉된 상태로 보관하였다 표백제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 3, 5, 7일째에 시편의 삼자극치 X, Y, Z 값을 색채색차계 (Color & Color Differencem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로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하였다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된 Y값의 평균값을 이용해 contrast ratio를 계산하였다 얻어진 값을 One Way Repeated Measured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10% Opalescence$^{(R)}처치군, 15% Opalescence$^{(R)}-F처치군 및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증감을 보이지 않았고, Rembrandt$^{(R)}처치군에서는 Contrast ratio가 증가하였다 (p < 0.01).

투습방수포 제품 취급주의표시 레이블의 실태조사와 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조사 (A Study on the Care Label of Vapor-Permeable and Water-proofed Fabric Clothes and Consumer's Understanding)

  • 최혜영;이정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3-34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shing methods specified on the care labels of vapor-permeable & water-proofed fabrics an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real washing methods in their home and their cognition.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care labels on 35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consumers' washing methods and cognition were surveye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majoring clothing textiles' female, female student attending in other major and married-women. Data were analyzed SPSS 10.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are labels of Vapor-permeable & waterproofed fabric products used in this survey followed the rule of KS K that is stated that care labels must include over 3 instructions. It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care labels to organize with washing methods, bleaching methods, weaving methods, drying methods, ironing methods. 2. Most consumers have vapor-permeable & waterproofed fabric products, but their consciousness of this fabric is low. The rate of consumer confirming the care labels was 76.6% but 67.8% of them answered they take care of textile products with their experiences. 3. Consumers' understanding of care instructions on care labels was investigated that most consumers understand domestic care instruction, but they didn't know almost all international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