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low silica microspher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4초

농약 방출 조절제 소재로서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물성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llow Silica Microspheres for Controlled-release Pesticide Formulation)

  • 정병수;박용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9-324
    • /
    • 2004
  •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이용하여 방출 조절형 입제 농약을 제조합에 있어 실리카 중공 미세구 제조시 핵 제거 방법으로 열분해법을 사용하면 benfuracarb를 실리카 중공 미세구 중량의 2.67배까지 함침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출 조절형 입제 농약을 수중 방출 실험한 결과, 점결제로 ESO를 사용하였을 때 일정한 benfuracarb 방출 속도를 유지하여 10일부터 용액 중의 benfuracarb의 농도를 1.65 ppm 정도를 30일까지 유지되었다.

Porou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 농도의 영향 (Effect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Water Glass-based Porous Hollow Silica Microsphere)

  • 이지훈;김영훈;김태희;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9-8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ilicon alkoxide(tetraethyl orthosilicate, TEOS)에 비해 단가가 저렴하여 상업화에 유리한 물유리를 전구체로 사용하여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형성되는 다양한 크기의 실리카 중공 미세구(hollow silica microsphere, HSM)를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실리카 중공 미세구의 형성에 대한 물성을 퓨리에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easurement), Brunauer-Emmett-Teller 및 Barrett-Joyner-Halenda 분석기와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를 적정량의 농도로 투입하여 porou s한 물유리 기반 실리카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경우 비표면적은 169 m2/g, 평균 입자 크기 25.3 ㎛ 및 표준편차는 6.25로 우수한 실리카 중공 미세구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Fabrication of Colloidal Clusters of Polymer Microspheres and Nonspherical Hollow Micro-particles from Pickering Emulsions

  • Cho, Young-Sang;Kim, Tae-Yeol;Yi, Gi-Ra;Kim, Young-Kuk;Choi, Chul-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159-166
    • /
    • 2012
  • We have introduced the Pickering emulsion systems to generate novel confining geometries for the selforganization of monodisperse polymer microspheres using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 droplets encapsulating the building block particles. Then, through the slow evaporation of emulsion phases by heating, these microspheres were packed into regular polyhedral colloidal clusters covered with nanoparticle-stabilizers made of silica. Furthermore, polymer composite colloidal clusters were burnt out leaving nonspherical hollow micro-particles, in which the configurations of the cluster structure were preserved during calcination. The selfassembled porous architectures in this study will be potentially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ovel building block particles or supporting materials for catalysis or gas adsorption.

중간세공을 갖는 껍질로 구성된 속이 빈 마이크로 탄소입자의 합성 및 이들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Hollow Carbon Microspheres with Mesoporous Shell and Vacant Core Structure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 이예원;양희천;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7권4호
    • /
    • pp.449-4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구슬을 틀로 사용하여, 크기분포가 좁으면서 속은 비어있고 벽이 다공성인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 캡슐을 합성하였다. 폴리스티렌의 표면은 무기물인 실리카졸이 쉽게 입혀질 수 있도록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코팅하여 변조하였다. PVP가 코팅된 PS 마이크로 입자표면에 SBA-16 졸을 부착시킨 다음, 실리카층에 존재하는 중간 크기의 세공 내에 탄소원을 채워 넣는 음각식 형뜨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속이 빈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탄화과정을 거치고 틀로 사용한 다공성 실리카입자를 HF로 용해하면,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중간세공이 함유된 계란껍질형의 탄소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계란껍질형 탄소 마이크로캡슐 입자의 다공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은 XRD, SEM, TEM, 질소분자 흡/탈착분석법 및 cyclic voltammetry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탄소입자는 슈퍼캐패시터와 같은 전자재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만한 높은 전기전도도와 용량을 나타내었다.

Preparation of Silica Hollow Composite Particles

  • Lee, Dong Hoon;Lee, Chang 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1호
    • /
    • pp.3303-3306
    • /
    • 2014
  • A facile and effective approach has been developed to prepare hybrid hollow microspheres, via consecutive processes of pickering mini-emulsion polymerization for core-shell formation, and calcination of the sacrificial core. The resulting hollow composite particles have mono-layered shells. The morphology and size characteristics of synthesized composit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measurements.

저밀도 실리카 중공미세구 표면에 Co 박막의 코팅에 의한 경량 전파흡수체 제조 (Fabrication of Lightweight Microwave Absorbers with Co-coated Hollow Silica Microspheres)

  • 김선태;김성수;안준모;김근홍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5
    • /
    • 2005
  • 경량 전파흡수체 구현 방안의 하나로 저밀도(약 0.2g/cc) 중공미세구 표면에 수 ${\cal}um$ 두께의 Co 피막을 무전해 도금에 의해 코팅하고, 고주파 전자기 특성 및 전파흡수특성을 조사하였다. Co 도금은 활성화 처리와 도금공정 2단계 과정을 거쳐 시행되었다. 도금공정의 반복에 의해 두께 $2{\~}3\mu$m의 균일한 Co 피막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분말을 실리콘 고무와 혼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고주파 전자기 물성 및 전파흡수특성을 회로망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Co 피막의 강자성 특성 및 전도 특성에 의해 높은 자기손실 및 유전상수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자기적 특성에 의해 GHz 대역에서 우수한 전파흡수특성(두께 2.0$\~$2.5mm, 전파흡수능 20dB 이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Co 도금 중공미세구의 밀도(0.84 g/cc)는 페라이트(5.0 g/cc)에 비해 약 1/6에 불과하기 때문에 경량 전파흡수체로서 응용가치가 매우 높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Fabrication of Hollow Metal Microcapsules with Mesoporous Shell Structure: Application as Efficient Catalysts Recyclable by Simple Magnetic Separation

  • Jang, Da-Young;Jang, Hyung-Gyu;Kim, Gye-Ryung;Kim, Geo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9호
    • /
    • pp.3274-3280
    • /
    • 2011
  • Monodispersed porous NiO and $Co_3O_4$ microcapsules with a hollow core were synthesized using SBA-16 silica sol and PS as a hard template. The porous hollow microcapsules were characterized by XRD, TEM and $N_2$ adsorption/desorption analysis. After $H_2$ reduction of metal oxide microspheres, they were conducted as an active catalyst in the reduction of chiral butylronitrile and cyanobenzene. The mesoporous metals having a hollow structure showed a higher activity than a nonporous metal powder and an impregnated metal on the carbon support.

표면 솔-젤 반응을 활용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의 제조 (Fabrication of Hollow Micro-particles with Nonspherical Shapes by Surface Sol-gel Reaction)

  • 조영상;전석진;이기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11-618
    • /
    • 2007
  • 아민기로 코팅된 단분산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조한 뒤 톨루엔-물로 구성된 유중수 액적(oil-in-water emulsion) 내부에서 입자를 자기 조립(self-assembly)시켜 다양한 다면체(polyhedra) 구조의 콜로이드 클러스터(colloidal cluster)를 제조하였다. 콜로이드 클러스터의 표면에서 솔-젤(sol-gel) 반응을 유발한 뒤 표면이 실리카로 코팅된 복합(composite)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를 주형(template)으로 활용하여 고온 소성에 의해 내부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거하고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다양한 구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hollow particle)를 제조하였다. 밀도구배원심분리법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에 의해 폴리스티렌 구성 입자의 수와 구조가 균일한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표면 솔-젤 반응에 의해 비구형상 구조의 공동 입자를 제조하였다.

첨가제의 조성이 폐유리-점토 타일의 곡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ve Composition on Flexural Strength of Cullet-Loess Tile Bodies)

  • 이영일;엄정혜;김영욱;송인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16-422
    • /
    • 2013
  • Cullet-loess tile bodies are successfully fabricated using cullet, loess, hollow microspheres, and sintering additives (borosilicate glass frit, boric acid, or fumed silica) as starting materials. The effects of the additive composition and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sintered density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cullet-loess tile bodies are investigated. The sintered density of the cullet-loess tile bodies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sintering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enhanced densification of pore walls through the viscous flow of a liquid phase formed from the glass frit and sintering additives.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cullet-loess tile bodies increases with increases in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cullet content in the starting composition. A maximal flexural strength of 40 MPa is obtained in cullet-loess tile bodies sintered with glass frit at $800^{\circ}C$ in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