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structure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5초

역사극의 분석틀을 활용한 영화 <자산어보>의 내레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ook of Fish> Using the Analysis Frame of Historical Drama)

  • 채희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51-356
    • /
    • 2023
  • 본 연구는 영화 <자산어보>(2021)가 19세기 성리학적 질서가 흔들리며 서서히 몰락해가는 조선을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을 통해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분석에 앞서 역사극의 내레이션 특성을 고려하여 역사극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역사극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자산어보>가 유배 서사의 플롯 구조를 기반으로 정약전, 장창대가 시대의 한계와 가능성 사이에서 주체적 개인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흑백과 컬러 이미지의 대비,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의 적극적 활용, 한시 자막과 음악 등으로 만들어낸 중심기억과 잉여기억을 통해 영화는 주체적 개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보편적인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설계활동의 역사적 흐름과 새로운 개념에 의한 구조최적설계 소프트웨어 소개 (A Historical Review of Design Activities and a New-Concept Software System for Structural Optimization)

  • 곽병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C
    • /
    • pp.17-21
    • /
    • 2001
  • Theories for optimal design and optimization algorithms have long been well developed. In industries, however, they are not well practiced. To make them work for industry, a new philosophy is necessary and an integration of various software systems required. A review of the history in the aspect of optimal design software is made and a newly developed code DS-Structure is introduced.

  • PDF

수원 화성 과학 탐방을 통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지도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on Historical Heritag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 최재혁;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30-936
    • /
    • 2004
  •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1998년부터 개발, 시행되고 있다.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의 효과에 대해서는 일부 논의가 있었으나,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목적을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관점에서 화성 과학탐방의 사례와 함께 논의하였다.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하여 연구자의 안내된 질문과 수렴적 및 발산적 과학 탐구로 구성된 화성(華城) 과학 탐방 자료가 개발되고 지도 방략이 구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한 화성 과학 탐방을 지도하여 중학생들이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분별 능력, 즉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 중학교 과학 특별활동반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탐방 전과 후에 실시된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하기' 설문과 탐방 후 면담을 통해 탐방을 통한 관점 변화를 분석하여 과학 탐방 활동으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화성 과학 탐방 활동과 토의 과정을 바탕으로 '화성 과학 탐방' 자료 개발 초고 작성 후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학생들에게 적합한 과제를 포함하여 탐방 전 활동, 현지 탐방 활동, 그리고 탐방 후 활동으로 자료를 구성하였다. 실제 탐방 지도 계획도 탐방 전 활동과 현지 탐방 활동 그리고 탐방 후 활동을 위한 내용으로 하였다. 구체적 지도 방략으로 탐방 전 활동에서 학생들이 장소에 대한 생소함을 줄여줄 수 있도록 비디오 시청과 장소에 대한 간단한 안내가 있었으며, 현지 탐방 활동에서는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지도를 위하여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판단 준거를 고려한 탐색 단계와 집중 탐구 단계가 있도록 하였고, 탐방 후에는 현지 과학 탐방 활동을 바탕으로 화성의 과학적 가치 평가 활동이 있었다. 탐방 후 학생들의 설문과 면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이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화성 과학 탐방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기존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문화재에 대한 관점에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판단하기 위한 올바른 평가 준거의 필요성을 알며,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과학 기술이 당시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문화재가 만들어질 당시의 시대적 상황 및 문화재의 과학적 목적과 원리를 새롭게 고려하는 등 탐방 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문화재의 과학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한 교사의 안내된 질문과 수렴적 및 발산적 과학 탐구로 구성된 화성 과학 탐방 지도가 학생들의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에 있어 의미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대가(歷代歌)」를 통해 본 옥동(玉洞) 이서(李漵)의 역사인식(歷史認識) (Okdong Lee Seo's Historical View Examined through Yeokdaega)

  • 윤재환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331-357
    • /
    • 2014
  • 이 글은 옥동(玉洞) 이서(李?)의 장편 영사시(詠史詩) "역대가(歷代歌)"를 대상으로, 그 속에서 확인되는 옥동의 역사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옥동 이서가 도덕적 수양을 최상의 가치에 둔 도학자(道學者)였다는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유가적(儒家的) 인식세계(認識世界)와 구분하여 설명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옥동의 "역대가"는 7언 526구로 구성된 장편(長篇) 고시(古詩)인데, 지금까지 알려진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과 그 구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옥동의 "역대가"는 두 개의 큰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단락은 태초부터 명(明)나라 멸망시기까지 중국의 사적을 서술한 부분이고, 두 번째 단락은 당대 현실의 부조리를 서술하여 현실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을 드러낸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이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여 치란(治亂)과 흥망(興亡)의 사적만을 이야기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옥동의 "역대가"는 그의 유가적(儒家的) 역사인식(歷史認識)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이라 생각된다. 옥동에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는 역사적 사실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도덕적 수양을 추구해야 할 이유를 설명해 주는 도구로 작용하였다고 보인다. 옥동은 자신이 익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와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예리한 비판, 그리고 도덕적 수양의 필요성에 대한 자극을 모두 더하여 526구의 장편 영사시 "역대가"를 창작하였다. 그런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예술성을 목적으로 하는 순수한 문학 활동의 결과물이라고 하기에는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러나 옥동의 "역대가"는 그 나름의 문학성을 통해 이전까지 저작된 여타의 "역대가" 작품들과 비교하여 문학적으로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옥동의 "역대가"는 문학성과 함께 그 스스로의 학습과 자기 신념의 강화를 위한 수단이면서 동시에 그와 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의 도구였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경주읍성 성곽시설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of Archetype of Kyeong Ju Castle)

  • 김홍곤;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4-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주읍성의 성벽과 성곽시설을 대상으로 그 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구체적인 규모와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원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경주읍성의 위치와 규모를 고증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지적도 현재 지적도 현재 수지형도 발굴조사 유구 현황도를 도면중첩(over-lay) 한 결과 정확한 성곽유적의 위치와 규모를 확증할 수 있었다. 둘째,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의 연구사료 일제강점기의 유적조사 기록 보수정비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증한 결과 체성과 치의 규모 및 구조를 고증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여장규식과 관련 문헌기록을 통하여 여장의 원형을 고증한 결과 문종원년(1451)의 초기 경주읍성의 여장과 임진란 전후(16세기 경)의 경주읍성 여장의 원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넷째, 성곽 유적 대부분이 멸실된 상태이나 경주읍성의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 연구 사료(발굴조사 보수 수리기록 현장조사)의 조사내용을 토대로 규모를 산정하고 구조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향후 복원정비의 기초자료로서 개별 유적의 원형복원도를 작성 제시하였다.

대구 약령시 지구 내 가로 체계의 공간구문 분석 (Space Syntax Analysis on Street System in Yakryeong Market District in Daegu, Korea)

  • 정상규;임수영;박준영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51-156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properties of spaces wher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preserved in the street system of Daegu Yakryeong market district, by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SA(Angular Segment Analysis) on each node (spatial unit) in the street network.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in street system of the surveyed district is that nodes in the street network tend to form socially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to allow easy access to each space in the system. There are a small number of socially isolated spaces in the street system, which are located at nodes in narrow streets adjacent to the roadway outside the district, or in narrow alleys between early modern Korean buildings.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spaces have high level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contain buildings playing a central role of the community, a traditional street market, symbolic landmark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leading to rational land use planning for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n urban district.

Earthquake behavior of M1 minaret of historical Sultan Ahmed Mosque (Blue Mosque)

  • Kocaturk, Turgut;Erdogan, Yildirim Serhat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9권3호
    • /
    • pp.539-558
    • /
    • 2016
  • Minarets are almost the inevitable part of Mosques in Islam and according to some,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oday they symbolize the spiritual elevation of man towards God. Due to slenderness, minarets are susceptible to earthquakes and wind loads. They are mostly built in a masonry style by using cut limestone blocks or occasionally by using bricks. In this study, one minaret (M1 Minaret) of one of the charmest mosques of Turkey, Sultan Ahmed Mosque, popularly known as Blue Mosque, built between 1609 and 1616 on the order of Sultan Ahmed by the architect Mehmet Agha is investigated under some registered earthquake load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 great earthquake hit Istanbul and/or its close proximity approximately every 250 years. Ottomans tackled with the problem of building earthquake resistant, slender minarets by starting to use forged iron connectors with lead as a filler to fix them to the upper and lower and to adjacent stones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mortar only. Thus, the discrete stones are able to transfer tensile forces in some sen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 of lead to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minaret under extensive earthquakes occurred in the region. By using the software ANSYS/LS-DYNA in modelling and investigating the minaret nonlinearly, it is found out that under very big recorded earthquakes, the connectors of vertical cast iron-lead mechanism play very important role and help to keep the structure safe.

A study on seismic behaviour of masonry mosques after restoration

  • Altunisik, Ahmet C.;Bayraktar, Alemdar;Genc, Ali F.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0권6호
    • /
    • pp.1331-1346
    • /
    • 2016
  • Historical masonry structures have an important value for cultures and it is essential for every society to strengthen them and confidently transfer to the future. For this reason, determination of the seismic earthquake response, which is the most affecting factor to cause the damage at these structures, gain more importance. In this paper, the seismic earthquake behaviour of Kaya Çelebi Mosque, which is located in Turkey and the restoration process has still continued after 2011 Van earthquake, is determined. Firstly the dynamic modal analysis and subsequently the seismic spectral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mosque constructed with restoration drawings in SAP2000 program. Maximum displacements, tensile, compressive and shear stresses are obtained and presented with contours diagrams. Turkish Earthquake Code and its general technical specifications are consider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responses. After the analyses, it is seen that the displacements and compressive/shear stresses within the code limits. However, tension stresses exceeded the maximum values at some local regions. For this mosque, this is in tolerance limits considering the whole structure. But, it can be said that the tension stresses is very important for this type of the structures, especially between the stone and mortar. So, some additional strengthening solutions considering the originality of historical structures may be applicable on maximum tensile regions.

겨주시 단독주택지역의 주거유형 및 생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s in Gyeongju)

  • 이종석;손철수;이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93-1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space structure in urban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ju area. In order to clarify its residenti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identifying its historical context were analys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of the Hwango-dong area that has maintained its original form since the creation as a urban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data of the Dongbang village area that was developed as one of residential area projects during the 1970s, and the data of the Seonggeon-dong area that was developed as a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analyses on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referring to building administration registers, field survey and photographing of house types, and exploration of living characteristics by house types were used to perform this study. Four hundred and five sample houses were used in this study, having forty one sample houses which were used for living survey and actual plane measur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house to meet Gyeongju citizens' desire for living environments, and to mainta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o-genetic principl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 우정호;민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409-424
    • /
    • 2002
  •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has been advocated continuously, as an alternative one to the traditional deductiv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y Clairaut, Cajori, Smith, Klein, Poincar$\'{e}$, La Cour, Branford, Toeplitz, etc. since 18C. And recently we could find various studies in relation to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Lakatos', Freudenthal's, and Brousseau's are representative in them.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istorico- genetic principle in many aspects. In this study, the previous historico- genetic principle is called as classical historico- genetic principle and the other one as modern historico-genetic principle. This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ise from the historical views of mathematics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Dewey thinks that education is a constant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This study shows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could us embody the Dewey's psycological method. Bruner's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ased on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insists on teaching mathematics in the reverse order of historical genesis. This study shows the real understan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could not neglect the connection with histogenesis of them. This study shows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could help us realize Bruner's point of view on the teaching of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we try to stipulate the principle more clearly, and we also try to present teaching unit for the logarithm according to the historico- genetic princi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