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 urban landscap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역사도시의 통합적 보존이 지역의 지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부여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을 중심으로 (An Integrated Conservation of Historic City and Analysis of Its Impact on Local Land Price : Focusing on Historic Landscape Improving Project in Buyeo)

  • 김수민
    • 지역과문화
    • /
    • 제7권4호
    • /
    • pp.21-48
    • /
    • 2020
  • 본 연구는 역사도시 보존과 관련하여 유산의 통합적 보존이 실제로 도시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통합적 보존 논의 흐름과 의미를 고찰한 후,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과 통합적 보존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특별히 도시의 경제와 통합적 보존의 연결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후 국내의 통합적 보존이라 할 수 있는 고도보존육성제도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고도보존육성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이 실제로 도시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경제적 측면에서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지역의 지가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지역으로 고도 부여의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사업 수행이 주변 필지의 지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이 진행되는 보존육성지구 중에서도 취락지구에 한정하여 사업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이 일정한 공간 내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사업 수혜를 받은 필지를 제외한 주변 필지들의 평균가격이 유사한 조건을 가졌지만 사업이 집중적으로 투입되지 않은 지역에 비해 동일한 기간 더 많이 상승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경주시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wnscape and Image of Kyungju City)

  • 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53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ownscape of Kyungju based on the urban images captured by citizens. 58 verval interviews and 50 sketch maps were collected and analized comparing with York which was a similar old city in England. In the verbal questions, elements like tombs, historic remains, families and historic values were frequently mentioned mainly because of their social and historic meaning. But in the sketch maps, physical elements like railroad station, city hall, roundabouts and streets were more frequently appeared probably because of their visibility. As a whole, many tombs which were built long ago in and around the city were commonly mentioned in verbal questions, sketch maps and even in nicknames. As the most dominant factors, it can be compared with York Minster in York. But whereas the shopping streets in York were very attractive to the people, many streets in Kyungju were regarded as dirty and inharmonious elements in townscape. In conclusion, we can call Kyungju 'the city of tombs', but to evoke the sense of place in the city the streets should be improved and activated as the center of city life.

  • PDF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적 변천과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유산 가치 해석 (Historical Changes of Incheon Freedom Park and Its Heritage Value Interpretation as the Historic Urban Public Park)

  • 김순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39
    • /
    • 2023
  • 본 연구는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가치를 공원 및 주변지역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고지도 및 항공사진에 기반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유공원의 시대별 변천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근현대사의 시대적·문화적 변화를 바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공원은 (1)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보여주는 증거일 뿐 아니라, (2) 국내 최초의 도시계획에 기반한 도시공원으로서의 역사적인 가치도 지니며, 또한 (3) 근·현대 급변한 시민 생활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유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유산 가치 규명에도 불구하고, 자유공원의 유산 가치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명 및 복원·활용을 위해서는 향후 자유공원에 대한 깊이있는 자료의 탐색 및 발굴연구 등 추가 연구들이 요구된다.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산업유산, 근대 문화 유산,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 등 기억의 경관들이 공공 공간으로 새롭게 활용되고 있다. 여러 유형의 기억의 경관 중 19~20세기에 주로 형성된 근대 역사 경관(modern historic landscape)은 근대사에 대한 평가 및 인식 변화에 따라 보존과 철거 간 논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관이다. 본 연구는 1995년 철거된 서울의 구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근대 역사 경관을 둘러싼 보존과 철거 사이의 쟁점을 검토하고, 보존 및 철거를 결정하는 가치 판단 기준과 근대 역사 경관의 형성 방식을 탐구한다. 먼저 1980~1999년 사이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다룬 신문기사, 뉴스, 토론 프로그램 자료와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철거 논쟁의 주요 쟁점으로 다음의 여섯 가지 항목을 도출한다: 상징적 위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의 발견과 대응, 관련 국가의 반응과 개입, 재정적 여건, 경관의 기능과 이용 방식, 도시 역사 건축 정책 변화. 이를 기반으로 근대 역사 경관을 형성하고 보존 혹은 철거를 결정하는 중요한 가치로서 상징적 가치 간 대립 양상과, 근대 역사 경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비판에 대응하는 기능적 가치의 역할을 고찰한다. 특히 본 연구는 근대사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의 향방 또한 변화하지만, 오늘날에도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전히 상징적 가치라는 점에 주목했다. 근대 역사 경관은 오늘날 중요한 설계 대상지 중 하나로서 여전히 합의되고 해결되어야 할 역사적 쟁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근대 역사 경관의 가치를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배경에 자리한 사회적 맥락을 재검토했다는 점에서 동시대적 의의를 갖는다.

Management of Aesthetic intentions in Urban Design -Artworks in Urban Public Space-

  • Takeda, Naoki;Yagi, Kentar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67-175
    • /
    • 2001
  • After World War II, Japan experienced a great political and social shift, which brought a concern of emerging public landscape in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analyses the management of the aesthetic intentions in urban design effort. We review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ublic installation of artworks concerning urban landscape aesthetics through its administrative process in chronological order. The monuments during the first decade marked a shift in emphasis from the militarism of the pre-war and wartime period to one of peace. However, some of the monuments and sculptures are not immune to controversy. This became an issue that could no be ignored by public officials whose responsibility was to place the sculptures while maintaining sensitivity to public opinion. As public administrators began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sculpture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public amenities, the contextual concepts were basically ignored. Some of the programs in 1970s began to show more respect to the context, while other programs in this period expressed more interest in educational aspects of sculptures in the public spaces. Urban development projects also seek to introduce artworks integrated to their urban design concepts in 1990s. Generally, the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these programs were rarely trained in any relative field study other than public administration. Installing sculptures tended to be considered as part of public works projects on the level of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The general public is basically removed from participating in the critical decisions that actually impact their lives in relation to the artworks. In conclusion, public art in japan has unique social and historic background both in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ssues pertaining to art in public spaces have evolved over the decades as the term "sculpture pollution" began to appear by the mid 1990s. most of the problems originated in either the lack of monumentality, contextual consideration, quality, or public participation.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se programs played great roll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Japanese sculpture and patronizing process, and the creation of new urban landscape with aesthetic value. In this sense, they must be considered as successful and noteworthy examples of cultural administration and urban design policy.

  • PDF

공공재를 활용한 도시유산의 경관 보전 및 관리개선방안 - 서울시 사적을 중심으로 -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Urban Heritage Utilizing Public Goods: Focused on the Historic Sites of Seoul)

  • 문영숙;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98-114
    • /
    • 201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도시 환경에 노출된 도시유산의 경관 보전 및 관리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공공재를 활용한 도시유산의 확대와 도시유산과 도시공간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공간에서 유산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고시도면인 지형도면과 현상변경허용기준,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재보존 관리지도를 이용하여 1:1,000지도에 도시유산을 작성하고 주변에 위치한 모든 공공시설을 파악하여 기본도를 작성하였다. 둘째, 도시유산의 현황도 작성을 위해 도시유산과 유산 주변의 현황 및 변화상을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의 사적분과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분석하여 도시유산 주변의 개발행위를 파악하였으며, 도시유산 주변의 보전 가능 지역 및 도시 내 도시유산의 잠재력을 상살 시킬 수 있는 지역을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시유산 주변의 토지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황도 작성 시 도시유산 주변지역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면도를 작성하였으며, 도시유산 주변의 현장 기록화를 위해 유산 및 공공시설의 주요 지점에서 사진촬영을 하였다. 셋째, 도시유산과 유산 주변의 공공시설과의 거리, 위치, 기능, 분포 등의 관계에 의해 도시유산에 미치는 영향 및 잠재적 자원으로서의 기능을 시각적 특징과 동선에 의해 분석하여 도시유산의 전면경관과 유산을 포함한 역사문화경관의 보호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공공재의 도시공간에서의 역할 및 도시유산 주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시유산 주변의 공공시설 중 도시유산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공재를 선정하고, 공공재가 도시유산에 미치는 시각적, 면적, 선적 요소들을 통해 공공재의 역할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유산의 경관 및 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풍속화에 나타난 도시숲의 현대적 해석 (Interpreting the Urban Forest in the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 안명준;배정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1-25
    • /
    • 2008
  • In broad agreement on the need for forests in the city, researches on the urban forest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Nonetheless, since these researches focus on functional usage within living spaces, finding methods for creation of urban forests and technical solutions have remained chief issues as a consequence. This paper, which attempts to historically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urban forest within living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ing basic angles for approaching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urban forests. For this purpose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s, which represent living conditions of Joseon era, have been decided as theme of the paper. Particularly the focus was limited to genre paintings depicting trees, giving phenomenal observations. As a result, some remarkable characteristics emerged as functional urban forest, symbolic urban forest, topological urban forest, and appreciative urban forest. Urban forest within living space mainly appear as functional, showing an even distribution in small numbers rather than gathering in large groups. The following can be inferred regarding this and related to the setting up of the scope of, and creating of, contemporary urban forest : First, from the viewpoint of urban forest crea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more subdivided and refined types of the urban forest and to actually realize these types.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urban forest usage, one needs to approach existing forests, ranging from small-scale including invididual trees, to mid-, large-, and super scale, as urban forests. In this, a network of major trees, and thereby a matrix of all trees formed by that network, will be formed. Third, from the viewpoint of urban forest improvement, approaches need to be based on planting trees in even distribution across the whole city.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 부지 설계 (Design of the Former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Historic Urban Landscape)

  • 서영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7-118
    • /
    • 2016
  •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최근까지 사용했던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고자 설계공모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설계공모에 출품된 설계안 중 하나로 대상지의 역사 맥락을 통해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을 도출하여 설계 전략과 내용을 서술했다. 지침서상 광역 분석과 세종대로의 가치와 문화 유산과의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로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요한 사건과 활동이 일어나는 중심공간이다. 대상지 배후지역인 정동은 근대 태동기 문물이 도입되는 첨단의 장소였으며 인접한 덕수궁, 성공회성당, 서울시 의회건물도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광역 분석을 통해 길과 광장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동과 대상지 주변의 변화와 현황을 분석하고 설계의 주요 개념을 공공성의 회복으로 설정했다. '리-퍼브릭'은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의 이념을 상징하는 중의적 개념이다. 대상지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림, 연결, 비움으로 설계 키워드로 주요 전략을 수립하여 대안 검토를 통해 8% 경사 광장을 계획했다. 대상지 현황을 반영하여 장애자, 노약자 등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램프 구조로 계획하며 인접 대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했다. 성공회 성당 레벨의 테라스 광장과 보도에서 이어진 주 광장은 계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신축 없이 완전히 비움으로써 열린 조망을 확보하고 다양한 현대 도시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계획했다. 설계안은 고종이 지향하던 근대적 민주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장소의 가치를 다시 공공에게 환원하는데 기여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중층의 시간이 쌓인 대상지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신라왕경의 도시상징성 연구 - 토속신앙 관점에서 본 경관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Symbolism of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Focused on primitive religion and it's affects on the Matter and Form-)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5-72
    • /
    • 1999
  •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the various symbolic meanings and functions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contains, and what is the symbolism and identity of the city. Basically, this research took the thought of the place and the theory of cognition on landscape as a research tool, and undertook the process of surveying the physical surroundings of the city such as mountains, forests, tumuluses, mountain fortress walls, etc. Especially, the study referenced to a myth, thought, and a tale related to them of the surroundings. The research scope in time had been reached to the year of BC 57 which is beginning year of Shilla Dynasty form AC 467 which is year of introduction of new urban block system delivered from Dang Dynasty of ancient China.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symbolic meanings of mountains and forests which is surrounding the Shilla capital from 4 directions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Namely, it was the places that the king of the kingdom of Shilla decent into the earth from the heaven. Also, the tumuluses which are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capital imitated the surrounding mountains in forms, meaned the place that the dead king rised to heaven. All of these symbolized the Capital City of Dynasty as a sacred city which linked the heaven to earth, and earth to heaven.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e Kyongju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c and tourist city in Korea should reflect this kind of symbolic meaning of ancient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in case of arranging the urban identity plan to promot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of Kyongju.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