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tension bol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2초

극한 상태에서 A490 고장력 볼트 세트의 체결 품질 연구 (The Joining Quality of High Strength Bolt, Nut and Washer Set (A490) in the Extreme Conditions)

  • 석한길;조인습;홍현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25
    • /
    • 2011
  • This test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ubrication, ductility and strength through the change of nut lubricant which decides joining angle for A490 bolt sets required in the AASHTO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 Transportation Officials). Because the lubrication of high tension bolt, nut, washer set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ductility and joining load, the quality improvement is required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securing enough lubrication of maker and user. This study examin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specification through tests because only this standard specifies joining quality in the extreme conditions (as much about two times of the joining angle on site as normal condition). Moreo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est on joining axial force required in the AASHTO for the three nut lubrication conditions of A490 bolt set. It is concluded that the nuts should be coated or waxed enough for the improvement of the joining axial force and ductility of bolts required in the standards. It is shown that in the case of plain high tension bolt sets, a rust preventing lubricative oil shall be applied and the torque coefficient value for A490 bolt sets should be maintained below 0.175.

H/T 와 T/S 볼트 마찰이음의 피로거동 비교·검토 (A Comparison Study for the Fatigue Behavior of H/T and T/S Bolt Friction Joint)

  • 전제상;우상익;이성행;정경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통권28호
    • /
    • pp.139-150
    • /
    • 1996
  • H/T(High Tension) bolt is generally being used in joining the members of steel structure. It has some difficulties in management such as an adequate fastening force and a selection of proper instrument for fastening. T/S(Torque Shear Type High Tension) bolt which is more convenient and easier than H/T bolt in quality control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S bolts are produced and widely used these days in domestic, but those have not a detail regulation for their on. Those are only being u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for the H/T bolts.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soundness of T/S bolts by the fatigue test of the modified specimens. First, we measured the reduction rate of the initial axial force with time at bolts. Second, we investigated the slip forces of bolts when the test specimen is loaded in tension. Third, we implemented the fatigue tests. During the test, we measured the variation of the axial forces of bolts under the cyclic loading. Finall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atigue behavior of H/T and T/S bolt, by S-N curve diagrams that are obtained in this study.

  • PDF

단면결손에 따른 고장력볼트 체결부의 내하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High-tension Bolt Joints by Critical Sections)

  • 박정웅;양승현;장석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402-2408
    • /
    • 2009
  • 고장력볼트를 이용한 강부재의 체결에서 모재 및 덮개판의 과대공으로 인한 단면결손이 체결부에서 내하력의 저하가 우려되어 정적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시험을 통하여 구해진 체결부의 파단시 최대하중을 단면결손율 및 설계강도와 비교하여 체결부의 내하력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르면 단면결손율이 클수록 강도저하율이 컸으며 특히, 모재의 단면결손이 덮개판의 단면결손보다 강도저하에 대한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재 및 덮개판을 과대공으로 제작한 고장력볼트 체결부는 표준공의 경우보다 내하성능이 다소 저하되었지만 파단시의 최대인장강도는 설계파단강도보다 15%이상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과대공으로 제작된 고장력볼트 체결부에서 내하력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므로 강부재의 체결시공에 있어 과대공의 허용은 경제성과 효율성의 고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판 두께와 볼트 크기를 고려한 고장력 볼트 이음부의 극한 거동 (Ultimate Behavior of High-Tension Bolted Joints Considering Plate Thickness and Bolt Size)

  • 김성보;최종경;허인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515-5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판 두께와 볼트 크기에 따른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부의 극한 거동을 비선형 유한 요소 해석 및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볼트의 크기 및 모재의 두께가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부에 끼치는 영향을 미끄러짐 하중, 볼트의 변형 및 파괴하중과의 관계와 함께 파악하였다. M20, M22, M24의 세가지 볼트와 모재의 두께가 12mm, 16mm, 20mm, 30mm, 40mm인 경우에 대하여 압축력을 받는 고장력 볼트 이음부의 극한 거동을 고찰하였다. 이음부의 힘-변위 관계 및 외력-변형도 관계를 실험적으로 도출하였으며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YS를 사용한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고장력 볼트 이음부의 3차원 유한요소 해석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High Tension Bolted Joints)

  • 심재수;김춘호;김동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통권71호
    • /
    • pp.407-414
    • /
    • 2004
  • 공용중인 교량은 시공시에 비해 이음부재 및 볼트에 각종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이고, 시공중에 결함이 발생하였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각종 결함이 발생되고 있다. 실험적인 연구에 의해 이러한 결함들이 있는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역학적 성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비용이 필요한 실정이므로 실험적으로 밝혀내기 어려운 결함이 있는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거동과 구조적 특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규명하고 차후 실험에 의한 연구시 충분한 실험결과의 예측, 시험체의 설계 및 경제적인 실험적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종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교량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하여 결함의 발생위치 및 유형을 분석하고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결함을 중심으로 표준모델에 결함을 주어 내부응력 분포 및 미끄러짐 거동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정상체결된 고장력 볼트 이음부 및 볼트간격, 모재두께, 연단거리, 볼트 구멍 크기, 확공에 따른 결함을 가정하여 내부응력분포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미끄러짐 거동에 대해 해석하였는데 이 해석은 대변형을 고려한 기하학적 비선형, 접촉면의 비선형을 고려한 경계 비선형, 미끄러짐에 의해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재료적 비선형 문제를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정상적으로 체결된 고장력볼트 이음부 및 볼트 축력의 감소에 따른 미끄러짐 해석을 수행하였다.

압축력을 받는 고장력 볼트 이음부의 미끄러짐 거동 (Slip Behavior of High-Tension Bolted Joints Subjected to Compression Force)

  • 한진희;최종경;허인성;김성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79-28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압축력을 받는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부의 미끄러짐 거동을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및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모재의 두께가 고장력 불트이음부에 끼치는 영향을 미끄러짐 하중, 볼트의 변형 및 파괴하중과의 관계와 함께 파악하였다. 초기 미끄러짐 하중 이후의 볼트의 강성을 고려한 이음부의 거동 모델을 제시하고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에서 지원되는 고체요소를 사용하여 해석모델을 작성하였고 모재 사이의 마찰 및 미끄러짐이 발생한 이후 볼트와 모재 사이의 마찰 등을 고려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제시된 여러 가지 강재의 응력-변형도 관계를 적용하였으며 미끄러짐 변위와 볼트 주변의 축응력들을 비교하였다. 모재의 두께가 볼트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압축력에 의한 휨좌굴에 시험체에 발생하였고 모재의 두께가 볼트 직경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볼트의 전단파괴가 이음부의 극한강도를 나타냄을 파악하였다.

고장력 볼트세트의 자리면형상과 토크계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file of Nut Bearing Surface and the Torque Coefficient of a High Strength Bolt Set)

  • 이백준;손승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통권45호
    • /
    • pp.143-150
    • /
    • 2000
  • 마찰접합용 고장력 볼트 셋트의 관련 규격에서 허용하는 치수공차 범위 내에서 너트 구멍의 편심과 와셔 구멍 지름의 공차는 체결 시 편심에 의한 접촉면적의 결손을 초래하고 체결력의 산포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편평한 너트 자리면과 와셔의 접촉시 분포되는 압력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편평한 자리면 형상을 원호곡면으로 바꾸면 초기 선 접촉은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면 접촉으로 발전한다. 원호 접촉면은 편심에 의한 접촉면적의 결손을 감소시켜 접촉상태가 양호해지므로 자리면 마찰토크(체결력)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유한요소법으로 너트와 와셔 접촉면의 압력을 구하고 나사면과 자리면의 마찰계수는 토크계수 A, B급이 포함되도록 조합하고 최대편심 시 토크계수를 계산하였다. 토크계수의 분포로부터 원호자리면의 적정 곡률반지름이 결정된다.

  • PDF

온도변수에 따른 고력볼트 체결력 평가 (Evaluation on Clamping force of High Strength Bolts By Temperature Parameter)

  • 나환선;이현주;김강석;김진호;김우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99-407
    • /
    • 2008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는 TS고력볼트는 KS B 2819에 따라 토크관리법에 의한 체결한다. TS고력볼트는 핀 테일이 파단되면 적정축력이 도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온도조건에 따라 토크계수가 변하고 도입축력도 설계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온도조건이 볼트의 토크계수 및 도입축력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0^{\circ}C{\sim}50^{\circ}C}$ 범위에서 3 종류의 고력 볼트에 대해 도입축력, 토크계수, 너트회전각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TS고력볼트의 경우 핀 테일이 파단될 때 모든 온도조건에서 설계볼트장력과 표준볼트장력을 상회하는 도입축력을 나타냈으며 ${-10^{\circ}C}$에서 ${50^{\circ}C}$까지 온도 상승함에 따라 핀 테일 파단시점의 볼트에 도입되는 평균축력은 20kN 증가되었다. 아연피막 처리한 일반육각형 고력볼트의 경우, $0^{\circ}C$, $20^{\circ}C$, $50^{\circ}C$조건, 토크계수 0.13과 토크 ${462N{\cdot}m} $에서 표준볼트축력을 상회하였지만, 도입축력의 일정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온도변수 별 평균 도입축력 차는 최대 50kN이었다. 일반 육각고력볼트의 경우, 온도상승에 따라 평균 도입축력도 상승되는 추세였으며 토크 ${462N{\cdot}m} $ 일때 온도변수별 볼트의 도입축력은 최대 33kN 차이를 보였다. 또한, TS볼트를 제외한 육각볼트 종류 군에 대해서는 너트회전각 ${90^{\circ}}$ 경우의 도입축력은 설계볼트장력에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기존 너트회전각 ${120^{\circ}{\pm}30^{\circ}}$의 하한치 ${-30^{\circ}}$에 대한 재평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Estimation on clamping load of high strength bolts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 Nah, Hwan-Seon;Choi, Sung-M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4권4호
    • /
    • pp.399-408
    • /
    • 2017
  • Of high strength bolts, the torque shear type bolt is known to be clamped normally when pin-tails are broken. Sometimes the clamping loads on slip critical connections considerably fluctuate from the required tension due to variation of torque coefficient. This is why the viscosity of lubricant affects the torque coefficient by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clamping tests of high strength bolts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at laboratory conditions and at outdoor environment. The temperatures of outdoor environment candidates were ranged from $-11^{\circ}C$ to $34^{\circ}C$ for six years. The temperature at laboratory condition was composed from $-10^{\circ}C$ to $50^{\circ}C$ at each $10^{\circ}C$ interval. At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the clamping load of high strength bolt was varied from 159 to 210 kN and the torque value was varied from 405 to 556 Nm. The torque coefficients at outdoor environment were calculated from 0.126 to 0.158 when tensions were measured from 179 to 192 kN by using tension meter. The torque coefficients at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were analyzed as the range from 0.118 to 0.152. From these tests, the diverse equations of torque coefficient, tension dependent to temperature can be acquired by statistic regressive analysis. The variable of torque coefficient at laboratory conditions is 0.13% per each $1^{\circ}C$ when it reaches 2.73% per each $1^{\circ}C$ at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When the results at laboratory conditions and at outdoor environment were combined to get the revised equations, the change in torque coefficient was modified as 0.2% per each $1^{\circ}C$ and the increment of tension was adjusted as 1.89 % per each $1^{\circ}C$.

고장력볼트의 인장피로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ensile Fatigue Strength of the High Strength Bolts)

  • 한종욱;박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A호
    • /
    • pp.165-170
    • /
    • 2008
  • 각국의 강구조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장력볼트의 인장강도는 일반적으로 1,000 MPa급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고강도강과 극후판의 개발과 교량 지간의 장대화로 인하여 강도가 큰 새로운 볼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곳에서 인장연결부에 사용되는 고장력볼트에 인장피로파괴 사례가 발생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이론 및 실험적인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F8T, F10T볼트와 새로이 개발된 F13T, F13T-N볼트에 대해서 인장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장력볼트에 대한 피로강도평가는 반복횟수 200만회에 95% 하한신뢰도분석을 하여 수행하였고, 이를 기초로 3가지의 피로강도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KS나사형상의 볼트와 새로이 제안된 나사선 형상의 볼트에 대한 피로강도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