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unsaturated stero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생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특성 : (II)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지질의 변화와 특성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hemical componen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II)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pid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42-148
    • /
    • 1991
  • 개화후 15일된 대두미숙종자를 배양하였을 때 callus의 형성에 적당한 온도는 $24{\sim}27^{\circ}C$였으며, NAA를 생장조절제로 사용하였을 때 embryogenic callus(EC)가 많이 형성되었다. 또한 EC를 계대배양하였을 때 B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shoot가, IAA 2mg/1 사용한 배지에서는 root가 많이 형성되었으나, BA 2mg/1 IAA 2mg/1를 동시에 사용한 배지에서는 callus의 형성만 왕성할 뿐, 기관분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배양체에 함유되어 있는 total lipid는 온도가 낮은 배양조건일수록 많았으며, callus의 생육이 왕성한 $24{\sim}27^{\circ}C$에서 glycolipid, phospholipid, free sterol의 함량이 다소 많아졌으며, embryogenic structure가 많이 생겨날 때에는 free sterol의 함량이 많았다. 배양체의 지방산 조성은 EC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았으며, 불포화도는 0.837이었다. 또한 sterol조성에서도 EC에서 cholesterol의 함량이 다른 배양체에서보다 현저히 높았다.

  • PDF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의 식중독 미생물 증식 억제 물질의 분리 및 식품적용 (Isolation of Growth Inhibition Substance on Food borne Microorganisms from Hypericum ascyron L. and Application to Food Preservation)

  • 한지숙;이지영;백남인;박일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282
    • /
    • 2002
  • 물레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은 L.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해 25 ppm에서 72시간까지 완전 균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물레나무 헥산 분획물의 항균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얻은 H2-5-2 소획분의 경우 실험 MIC가 10 ppm으로 그 항균력을 생균수로 나타내었을 때 초기 접종 균수보다 0.5 log cycle정도 감소하여 그 살균효과를 알 수 있었다.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B. cereus나 S. aureus에 대해서는 실험 최저 농도인 25 ppm에서도 72시간까지 완전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50 ppm 첨가시 72시간 동안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물레나물의 항균활성 물질은 불포화도가 높은 sterol로 추정되었다. 쇠고기와 명태육 마쇄물에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을 첨가하여 $32^{\circ}C$$5^{\circ}C$에서 식품 적용 실험을 실시한 결과 $32^{\circ}C$ 저장온도에서는 쇠고기, 명태육에 첨가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5^{\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명태육에 첨가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은 항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는 배양액 상태보다 감소하였다.

더덕(沙蔘)의 년근별(年根別) 화학성분(化學性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지질분획(脂質分劃)의 분리(分離)- (Chemical Composition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Roots of Different Age Groups -II. Separation of the Lipid Fractions-)

  • 박부덕;박용곤;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0-283
    • /
    • 1985
  • 재배(栽培)더덕과 야생(野生)더덕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anol(2:1, v/v), 혼합 용매로 추출한 재배더덕(5년근(年根))과 야생더덕(8년근(年根))의 지질(脂質)을 silicic acid column,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재배더덕과 야생더덕의 지질중(中)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분획이 중성(中性) 지질이었고 그 다음 인지질, 당지질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성지질의 구성비율이 비교적 적고 인지질의 그것이 많은 것이 특이하였으며, 재배더덕에는 지질의 41.30%, 야생더덕에는 29.34%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지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분획은 triglyceride로써 재배더덕에서 39.49%, 야생더덕에서 32.88%,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등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야생더덕에는 유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sterol ester 및 monoglyceride 함량이 각각 중성지질의 27.74%와 5.11%로써 대단히 높았다. 더덕 지질의 가수분해물의 지방산 조성중 total lipid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재배더덕이 25.45% : 74.37%였다. 더덕의 total lipid의 지방산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이 linoleic acid로써 재배더덕이 44.18%, 야생더덕이 40.04% 였으며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함유되어 주된 지방산을 구성하였다. 더덕 지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auric acid였으며 재배더덕의 중성지질 중에는 11.13%의 높은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더덕의 glycolipid와 phospholipid에는 각각 11.06 및 9.34%의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Lipid Components of the Cultur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in Korea

  • Moon Soo-Kyung;Kang Ji-Yeon;Kim Kyeong-Dae;Kim In-Soo;Jeong Bo-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89-194
    • /
    • 2005
  • Protein,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cluding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HUFAs), were analyzed in the soft parts, which we differentiated as the adductor muscles and 'other portions,' from the cultured pearl oyster after the pearl was harvested and before the nucleus was graf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ies of the soft parts. Total lip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1.25-1.26\%$) than in the adductor muscles ($0.58­0.65\%$) in both pearl oyster samples, whereas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latter ($15.5­18.7\%$) than in the former ($11.2-13.9\%$; P<0.05). The percentage of total lipids (TLs) consisting of phospholipids (PLs) was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60.4-68.3\%$) than in the other portions ($40.6-47.0\%$), but the percentage of nonpolar lipids (NLs)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The prominent lipid classes were free sterol (FS) and triglyceride (TG) in the NLs and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Ls. The adductor muscles contained high levels of FS and all PL classes, while the other portions contained high levels of all NL classes, especially TG (but not FS; P<0.05).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22:6n-3 ($17.2-24.9\%$), 16:0 ($8.35-15.8\%$), 20:5n-3 ($7.95-14.9\%$), 18:0 dimethyl acetal (DMA, $4.79-13.5\%$), 18:0 ($4.50-6.16\%$), and 20:4n-6 ($4.36-5.43\%$). The percentages of 22:6n-3, 20:4n-6, and 18:0 DMA were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than in the other portions of both pearl oyster samples, while those of 20:5n-3 and 16:0 were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P<0.05). The levels of these food compon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or were higher, especially the protein content, indicating that the soft parts of pearl oysters, which are currently wasted, have food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