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bern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Different Periods of Cold Storing of Bivoltine Eggs on Subsequent Generation Rearing Performance

  • Venkatesh, H.;Raghuraman, R.;Katti, S.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69-272
    • /
    • 2004
  • Different methods of cold storing of bivoltine eggs are in practice to postpone hatching. Bivoltine eggs undergo hibernation if they are not acid treated within 20 - 24 hrs of oviposition, which depends on race,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schedules adopted for cold storing include hibernation schedule (Hib), ordinary chilling (OC), short term chilling (STC) and acid treated layings (AT). Peanut cocooning race ${NB_4}{D_2}$ has been subjected for the present assessment. Cocoons harvested from the crop pertaining to all the four methods of cold storing have been used for producing different combinations and acid treated followed by rearing. The performance in respect of chawki loss, maximum larval weight 4({5^th} age)$, yield/ 10,000 larvae (no), cocoon and shell weight showed maximum values for hibernation ${\times}$ hibernation combination followed hibernation with OC and hibernation with AT. Lowest performance was recorded when STC batch source females were used.

Hibernation of Mammalian Cells at a Living Body Temperature

  • Hyon, Suong-Hyu;Kim, Do-Ho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4호
    • /
    • pp.289-292
    • /
    • 2001
  •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polyphenol induces the hibernation of mammalian cells at the living body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polyphenol is a cytostatic sleeping agent for mam-malian cells, where almost all cells resume proliferation after the hibernation period and cell death seldom occurs.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for polyphenol, various mammalian cells can be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temporary sleep, and hibernation condi-tions.

  • PDF

동면 중 한국산 다람쥐 신장의 복합당질 변화 (Glycoconjugates Properties of the Kidney in the Hibernating Chipmunks)

  • 길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39-1243
    • /
    • 2008
  • 한국산 다람쥐를 단계적으로 $6^{\circ}C$ 온도로 낮추어 인위적 동면을 유도하였다. 동면은 3개월부터 유도되었으며 9개월간 사육하였다. 동면중 급격한 생리적 변화에 따른 형태 및 복합당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형태적으로 동면초기 응축된 사구체 구조와 발견되는 것외 동면중에도 유사한 신장 구조를 나타내었다. Lectin조직화학에 대한 반응은 크게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군, 동면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반응군 및 감소하는 반응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은 근위곡요세관의 Con A, 원위곡요세관의 PNA, Con A, 집합관의 DBA, sWGA가 현저하였다. 동면이 진행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는 반응은 원위곡요세관의 SBA반응이었으며, 감소하는 반응은 모든 세관의 sWGA반응이었다. 유사한 형태적 구조를 가지나 다양한 lectin반응의 변화는 동면중 나타나는 급격한 신장 생리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유추되며, 이러한 반응성은 동면 중 신장 기능 변화에 대한 마크로 유용할 것이다.

반달가슴곰 동면일과 기온 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f Asiatic Black Bear(Ursus thibetanus ussuricus) Hibernation Da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 김정진;정대호;김태욱;변윤섭;이사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97-505
    • /
    • 2019
  • 이 연구는 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동면일과 동면기간 동안의 기온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동면 시작일은 평균 12월 7일이었으며, 동면 해제일은 4월 20일로 나타났으며, 출산한 암컷의 동면일은 $167.8{\pm}22.6$일이었다. 동면 5일 전의 기온은 $0.6{\pm}4.1^{\circ}C$였고, 동면 기간 동안 기온은 $1.3{\pm}2.6^{\circ}C$, 동면 해제 5일 전의 기온은 $12.6{\pm}3.1^{\circ}C$이 있다. 수컷과 출산을 하지 않은 암컷의 동면일은 각각 $113.6{\pm}25.8$일, $120.4{\pm}25.7$일이었으며, 이들 그룹의 동면 5일 전의 평균 기온은 각각 $-1.8{\pm}3.9^{\circ}C$, $2.1{\pm}4.2^{\circ}C$, 동면기간의 기온은 $-0.4{\pm}2.4^{\circ}C$, $-0.2{\pm}1.6^{\circ}C$, 동면 해제 5일전의 기온은 $7.8{\pm}4.4^{\circ}C$, $7.8{\pm}3.6^{\circ}C$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새끼를 출산한 암컷은 출산을 하지 않은 암컷과 수컷에 비해 동면 일수와 기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동면기간 새끼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 판단된다. 생애주기별 그룹에 대한 동면일수와 평균기온은 각 그룹간의 평균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구체적인 동면시기와 동면기간의 기온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기온에 따른 성별, 출산한 암컷, 생애주기 그룹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등 동면기 고유 행동특성이 밝혀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반달가슴곰의 겨울과 봄 시기에 인간과의 충돌방지와 보전 관리계획 수립 시 널리 활용될 것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토끼박쥐 Plecotus ognevi의 온도선호도와 동면 전략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Preference and Hibernation Strategies in Endangered Plecotus ognevi)

  • 김선숙;최유성;김련
    • 생태와환경
    • /
    • 제51권4호
    • /
    • pp.345-353
    • /
    • 2018
  •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박쥐가 생존을 위하여 선택하는 동면은 에너지가 고갈되는 시기에 직면하는 에너지 문제해결을 위한 적응현상이다. 본 연구에서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토끼박쥐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전략(동면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쥐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전략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쥐의 온도선호도는 동면기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끼박쥐의 분포를 확인하였고 동면처의 환경특성 및 토끼박쥐의 온도선호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토끼박쥐는 외부 최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낮아지는 시기에 동면처에 도착하여 외부 최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높아지는 시기에 동면처를 떠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동면중인 토끼박쥐의 평균 체온은 $3.03{\pm}1.30^{\circ}C$(range $0.1{\sim}7.6^{\circ}C$, n=179)로 대기온도 ($T_a$)에 비해 암벽온도 ($T_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토끼박쥐는 외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낮아지는 11월 중순 이후에 동면처에 도착하여 115~120일 동안 동면처에 머물렀다. 또한 외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높아지는 시기인 3월 중순 이후에 동면처를 떠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끼박쥐의 동면기간은 대상 종의 온도선호도와 외부기온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며 또한 대상 종의 온도선호도 및 동면기간 같은 동면전략은 대상 종의 분포 제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WUSB over IEEE 802.15.6 통합 MAC 프로토콜의 Hibernation 구조 설계 (Hibernation Structure Design of Wireless USB over IEEE 802.15.6 Hierarchical MAC Protocol)

  • 허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10-1618
    • /
    • 2014
  •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은 WiMedia PHY/MAC 기술과 결합된 USB 기술로 W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U-Health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웨어러블 컴퓨터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WUSB기술과 IEEE 802.15.6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기술을 결합한 통신시스템 구조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IEEE 802.15.6 기반 WUSB 통신 구조에서 저전력 Hibernation 통신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Hibernation 구조는 WBAN Wakeup Period 및 Wakeup Phase 메시지 필드들을 사용하여, WBAN의 주기적인 Inactive 구간에서 WUSB 통신 구간을 할당한다. 성능 평가에서는 WBAN Wakeup Period에 따른 성능 및 WUSB 통신량에 따른 성능을 비교분석하여, WUSB over IEEE 802.15.6 통신구조에서 제안한 Hibernation 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동면돌입과 전간발작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of Entry into Hibernation and Epileptic Fit in Hibernators)

  • 오영근;이서울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7-179
    • /
    • 1999
  • 냉동생물학 연구분야 중 동면의 기전은 미래의 우주과학과 저온생물학이 풀어야 될 중요한 과제로서, 박쥐를 비롯한 동면동물을 사용하는 응용과학에서 가장 주목을 받아 오고 있다. 동면동물의 동면돌입 현상이 체온하강과 함께 뇌 전도상 전간발작 (epileptic seizure)을 유도시킨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박쥐를 포함하는 동면동물을 대상으로 박쥐의 정상 동면돌입과정과 전간발작유발인자인 tetrahydrocannabinol (THC), pentylenetetrazol (metrazol), intermittent light stimulation (ILS)이 박쥐의 체온 (Tb), 심박률 (HR), 뇌전도 (EEG), 뇌영상 (brain mapping) 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 동면돌입과정에 있어서는 안주애기박쥐는 1∼2개의 고평부를 형성하지만 대체로 2시 간 후에 동면에 안정 (심박률 15회/분)되었고 작은갈색박쥐는 2시간 30분에 동면온도에서 안정되었다. THC는 햄스터의 체온을 감소시켰고, pentylenetetrazol (metrazol)의 유의한 체온하강효과는 볼 수 없었으나, ILS는 긴가락박쥐, 쇠박쥐의 체온과 심박률을 하강시켰으며, 문둥이박쥐는 정상적으로 동면돌입시 뇌전도상 epileptic seizure시 나타나는 뇌파 (3 spikes and wave/sec)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의 경우 ILS 자극 (Intensity 4∼8, 20 flashes/sec)을 받은 9명 중 1명에서 epileptic seizure시의 EEG상의 뇌영상 (brain map) (우측 후두엽의 일부만이 활성)으로 추측되는 소견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북부 온대지방의 동면동물인 박쥐와 햄스터의 경우 동면돌입과 체온하강 및 전간발작과 상당한 관련성이 있음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 PDF

PET을 이용한 심근생존능의 평가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Using PET)

  • 윤석남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3-140
    • /
    • 2005
  • The potential for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fte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represents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for myocardial viability. The evaluation of viable myocardium in patients with severe global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due to coronary artery disease and with regional dysfunction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 an important issue whether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may be reversible or irreversible after therapy. If the dysfunction is due to stunning or hibernation, functional improvement is observed. but stunned myocardium may recover of dysfunction with no revascularization. Hibernation is chronic process due to chronic reduction in the resting myocardial blood flow. There are two types of myocardial hibernation: "functional hibernation" with preserved contractile reserve and "structural hibernation" without contractile reserve in segments with preserved glucose metabolism. This review focus on the application of F-18 FDG and other radionuclides to evaluate myocardial viability.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predictive value of FDG imaging for evaluating viability and the different criteria for viability are also reviewed.

MaxEnt와 GIS를 활용한 반달가슴곰 동면장소 분석: 비동면 기간 동안의 서식지 비교 연구 (Analysis of Hibernating Habitat of Asiatic Black Bear(Ursus thibetanus ussuricus ) based on the Presence-Only Model using MaxEnt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mparative Study of Habitat for Non-Hibernating Period)

  • 정대호;강병선;조재운;김석범;김정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2-113
    • /
    • 2016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겨울철 서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GIS 및 기계학습 모형으로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지리산국립공원의 겨울철 동면기 서식지인 동면 장소 출현과 비동면기 동안의 서식지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환경요인 중 동면 장소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경사로 41.4%, 그 다음으로 고도가 20.4%, 탐방로로부터 거리 10.9%, 영급 7.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달가슴곰 서식지와 동면지역 서식지 평가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평균 고도는 동면지역이 63m가 높았으며 최적 고도는 400m 이상 높게 나타났다. 평균 경사는 $7^{\circ}$가 높고 최적 경사는 $12{\sim}43^{\circ}$ 더 급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와의 거리는 동면지역이 평균 300m 이상 더 떨어져 있었으며, 최적 이격 거리의 범위는 1,300~2,400m 더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동면의 메커니즘을 위한 동면 지역선택 시 조금 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고, 인간과의 접촉에서 멀어지려는 습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반달가슴곰이 동면기간 동안 혹독한 추위와 많은 위협요인을 피할 수 있는 동면 장소를 선택하는 서식환경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반달가슴곰의 동면 생태 기작과 서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Hibernation-based Boot Mechanism on an Embedded Linux System)

  • 도인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3-31
    • /
    • 2011
  • 컴퓨팅 시스템의 부팅 시간 지연 문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어 왔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도 리눅스의 부팅 속도 개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대안적인 부팅 방식으로써 하이버네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부팅 방식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실제 모바일 전자기기에 널리 활용되는 ARM 임베디드 개발 보드에서 리눅스 버전 2.6.21에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을 구현한다. 둘째,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과정을 시간대 별로 관찰하고 부팅 속도 개선의 여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실제 구현을 통한 부팅 과정 분석 결과, 다양한 최적화 기법이 적용될 경우 하이버네이션 기반 부팅 방식은 전통적인 부팅 방식보다 최대 3.1배 정도 빠른 부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