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geneous API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고확장성, 고가용성을 위한 ALTIBASETM LOG ANALYZER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TIBASETM LOG ANALYZER method for highly scalable, high-availability)

  • 양형식;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1-12
    • /
    • 2014
  • 최근 인터넷 뱅킹, 전자결제, 전자상거래, 홈쇼핑, 증권 거래, 민원 업무 등 미션 크리티컬한 비즈니스가 증가함에 따라 무정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단일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러스터링, 이중화 기법 등에 관한 고가용성 기법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ALTIBASE$^{TM}$ Log Analyzer(이하 ALA)는 이중화 기법과는 별개로 Active Log를 기반으로 API를 제공하여, 이기종 또는 동일 기종간의 통신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ALA를 사용하여 고가용성과 고확장성, 실시간 동기화 기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설계를 제시하고 ALA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였다.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전자문서 내 객체의 자동 추출 방법 연구 (Automatic Object Extraction from Electronic Documents Using Deep Neural Network)

  • 장희진;채영훈;이상원;조진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11호
    • /
    • pp.411-418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연구 데이터의 확보, 저장 및 활용이 중요시 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전자문서 형태의 연구논문으로부터 그래프, 표와 같은 유의미한 객체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경험적 방법론을 이용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문서의 편집 특성을 일반화하여 객체들을 추출하기 때문에 다수의 이질적인 형태를 갖는 전자문서들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경험적 방법론의 경직성을 극복하고 이질적인 전자문서들로부터 목표 객체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심층 학습 기반의 객체 추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텐서플로우 객체 탐지 API의 Faster R-CNN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새로운 학습 모델을 생성했으며 심층 학습과 평가를 위해 총 100여 편의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목표 객체들을 데이터화했다. 마지막으로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경험적 방법론을 적용한 비교 대상에 비해 약 5.2% 높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재사용 서비스의 등록/검색을 위한 확장된 UDDI 시스템 (Extended UDDI System for Registering and Discovering the Reusable Services)

  • 신수혜;백선재;박준석;문미경;염근혁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01-110
    • /
    • 2011
  • 웹 서비스(Web Service)는 SOAP, WSDL, UDDI 등의 표준화된 XML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상이한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특히, UDDI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등록과 서비스 요청자의 서비스 검색을 지원하는 레지스트리이다. 기존의 UDDI연구는 서비스의 단순 검색과 등록에 관한 연구로, 서비스 검색 향상에 관한 UDDI 연구나 컴포넌트 단위의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확장된 UDDI설계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UDDI의 서비스 등록과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재사용을 위한 서비스 모델과 이를 위한 새로운 UDDI 자료구조와 API를 제안하며, 재사용을 위한 서비스 등록과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된UDDI를 설계 및 구현한다. 제시된 UDDI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개발자는 이미 개발된 서비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개발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검증된 서비스를 재사용함으로써 품질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GIS OLE DB 기반의 공간관련성을 가진 분산 공간객체의 변경 프로토콜 (Update Protocol for Distributed Spatial Objects with Spatial Relationships based on OGIS OLE DB)

  • 김동현;문상호;홍봉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259-268
    • /
    • 2004
  •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이질적인 다중 데이터 소스간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OGIS OLE DB 데이터 제공자를 이용하여 분산된 공간데이터에 접근한다. 그러나 OGIS OLE DB 데이터 제공자인 OLE/COM 구현 명세는 공간데이터의 발견 및 접근을 위한 표준은 제시하고 있지만, 공간데이터 변경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공간데이터 서버에 분산되어 있는 공간객체들의 변경을 지원하기 위하여 OGIS OLE DB를 기반으로 정의된 서비스 제공자에 공간객체 변경 인터페이스와 변경된 공간객체의 분산 공간관련성 검사를 위한 공간관련성 검사 인터페이스를 추가한다. 또한, 동시 변경된 분산 공간객체들 간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공간관련성 기반의 2단계 완료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제시한 추가 일터페이스와 2단계 완료 프로토콜의 실현을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선택적 프로토콜 기반의 사물인터넷 데이터 수집 플랫폼 (IoT Data Collection Platform Based on Selective Protocols)

  • 오형석;김동휘;전현식;박현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71-878
    • /
    • 2017
  • 사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사물인터넷 관련 기기와 프로토콜이 발전하고 있다. 상호 운용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시스템 사업자와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시장과 사물인터넷 표준 정립은 혼란을 겪게 됐고,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은 서로 다른 플랫폼에 의해 방해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발과 이기종 플랫폼과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각각의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제한적이며 일반화된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HTTP, CoAP, MQTT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와 플랫폼 사용의 일반화를 위해 RESTful API를 적용한 자원을 설계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빠른 처리와 안전성을 위한 Database 모델링 과정을 진행하여 사물인터넷 데이터 수집 플랫폼을 구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이 한 플랫폼에서 연동되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선택적 프로토콜 기반의 사물인터넷 데이터 수집 플랫폼을 제안한다.

Screening and Chacterization of Bacteriocinogenic Lactic Acid Bacteria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ish Food

  • Lee, Na-Kyong;Jun, Song-Ae;Ha, Jung-Uk;Paik, Hyung-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423-428
    • /
    • 2000
  • Bacteriocins are classified as proteins which are produced by heterogeneous groups of bacteria, having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closely related organisms. Recently, bacteriocins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and other food-related organisms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on potential food biopreserva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creen and characterize the bacteriocinogenic lactic acid bacteria from Jeot-gal(commercial fermented fish foods). All bacteriocinogenic isolates were identified a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s NK24, NK34, and SA72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according to the API 50 CHL kit database. All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ed from four lactic acid bacteria isolates completely lost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fter being treated with some proteases, indicating to their proteinaceous nature. The bacteriocin produced from isolates NK24, NK34, and SA72 showed a broad spectrum of activity when compared to those produced from isolate SA131. All bacteriocins isolated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showed a bactericidal mode of inhibition.

  • PDF

GCN 아키텍쳐 상에서의 OpenCL을 이용한 GPGPU 성능향상 기법 연구 (A Study on GPGPU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on GCN Architecture Using OpenCL API)

  • 우동희;김윤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5
    • /
    • 2018
  • 현재 프로그램이 운용되는 시스템은 기존의 싱글코어 및 멀티코어 환경을 넘어서 매니코어, 부가 프로세스 및 이기종 환경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의 경우 NVIDIA 벤더에서 나온 아키텍쳐 및 CUDA로의 병렬화가 주로 이루어졌고 AMD에서 나온 범용 GPU 아키텍쳐인 GCN 아키텍쳐에 대한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점을 고려해 본 논문에서는 GCN 아키텍쳐의 GPGPU 환경인 OpenCL 내에서의 성능향상 기법에 대해 연구하고 실질적인 성능향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행렬 곱셈과 컨볼루션을 적용한 GPGPU 프로그램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성능향상 기법을 통해 최대 30% 이상의 실행시간을 감소시켰으며, 커널 이용률 또한 40% 이상 높였다.

OSGi 미들웨어 기반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for Healthcare Robot based on OSGi Middleware)

  • 권기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7
    • /
    • 2015
  • 본 논문은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OSGi 미들웨어에 기반한 S/W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기존에 헬스 보조 로봇 개발은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표준화 된 로봇 프레임 워크가 없었기에 개발사 마다 독립적으로 개발되어왔다. 그렇기에 중복 개발되었고 재사용되지 못하며 비효율적으로 개발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프레임워크인 OSGi를 기반 프레임워크로 활용하여 그 위에 헬스 보조 로봇운영에 필요한 API와 모듈들을 서비스 단위의 독립적 번들 형태로 구성한 OSGi번들 형태의 개방형 로봇 미들웨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헬스 보조 로봇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 했다.

REST 웹서비스 조합을 위한 객체변환 기법 (Object Conversion Technique for RESTful Web Service Composition)

  • 최민;문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24
    • /
    • 2012
  •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웹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분산 구조의 웹서비스 시스템 구조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대중화 되면서, 웹 서비스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웹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 프로시저를 정의한 인터페이스가 규정되어야 하며, 기존에는 W3C에서 정의한 WSDL를 사용하여 웹서비스를 기술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웹서비스 기술 및 사용방법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오버헤드가 큰 이유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REST 웹서비스의 활용이 확산되는 추세다. SOAP 기반 웹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 조합에 대해서 충분히 다루어 졌으며, 어느정도 정리된 연구분야이다. SOAP 웹서비스는 기계가 인식하기 쉽도록 엄격한 규약과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REST 웹서비스는 최근 이기종(heterogeneous) 시스템 통합 및 스마트폰에서 서버 측 데이터를 접근하는 가장 유리하고 편리한 방법이다. 따라서, 그 활용방법에 대하여 많은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잘 소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논문에서 REST Web Service Open API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활용방법을 소개한다.

계산과학 시뮬레이션을 위한 HPC 작업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PC Job Management Framework for Computational Scientific Simulation)

  • 유정록;김한기;변희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4-557
    • /
    • 2016
  • 최근, 슈퍼컴퓨터 시스템은 교육, 의료, 국방 등은 물론 계산과학 시뮬레이션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등 이종의 계산 자원을 연동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은 시간,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연구 환경으로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종 슈퍼컴퓨팅 환경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부재로 터미널 접근을 통해 계산 작업을 수행하는 단조로운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는 이종 컴퓨팅 자원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슈퍼컴퓨팅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계산과학 시뮬레이션을 위한 웹 기반 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작업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그리드 등의 다양한 이기종 자원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기반 표준 인터페이스 및 번들 플러그-인을 제공하며, 플러그-인 관리자를 통해 손쉽게 자원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시뮬레이션 작업의 생성, 제출, 제어, 상태 모니터링 등의 전주기적인 작업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해 HTTP 표준 방식의 RESTful endpoints들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