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icidal respons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Differential Effects of herbicidal Compounds on Cytoplasmic Leakages of Green- and White-Maize Leaf Segments

  • Kim, Jin-Seog;Park, Jung-Sup;Kim, Tae-Joon;Yoonkang Hur;Cho, Kwang-Yu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8권2호
    • /
    • pp.61-66
    • /
    • 2001
  • Using maize green- and white-leaf tissue,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hemicals on cytoplasmic leakage with respect to the light requirement or chloroplast targeting for their activities. Oxyfluorfen, oxadiazon, diuron, and paraquat, which are known as representative herbicides acting on plant chloroplasts, caused the electrolyte leakage only in the green tissues, whereas 2, 4-dinitrophenol, rose bengal (singlet oxygen producing chemical) and methyl-jasmoante (senscence-stimulating chemical) play a role both in green- and white-tissue. Benzoyl(a) pyrene, generating superoxide radical upon light illumination, functions only in white tissues. Tralkoxydim, metsulfuron-methyl and norflurazon showed no effect in two tested plant samples. In terms of light requirement in electrolyte leakage activity, diuron, oxyfluorfen, oxadiazon, rose bengal, and benzoyl(a) pyrene absolutely require the light for their functions, but other chemicals did not.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classify into four different response types according to whether chemicals require light or chlroplasts for their action. This classification is likely to be applied to simply and rapidly identify the requirement of light and chlroplasts for the actions of chemicals, thereby it makes easy to characterize many new herbicides that their action mechanisms are unclear, and to elucidate the mode of action of them.

  • PDF

Selectivity of Tefuryltrione between Rice and Eleocharis kuroguwai

  • Song, Jong-Seok;Park, Yong Seog;Park, Min-Won;Lee, Jeong Deug;Kim, Do-Soo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91-195
    • /
    • 2016
  • Tefuryltrione is a new 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HPPD) inhibitor, which has been recently registered for the use for paddy rice, Korea. Dose-response stud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rice safety and weed control efficacy of tefuryltrione against Eleocharis kuroguwai. When rice and E. kuroguwai were applied at a range of doses of tefuryltrione, $GR_{90}$ values (the dose required to inhibit weed growth by 90%) of E. kuroguwai were $82.38-93.39g\;a.i.\;ha^{-1}$ in two independent experiments. The $GR_{10}$ values (the dose required to inhibit rice growth by 10%) of tefuryltrione for rice were $297.77-471.54g\;a.i.\;ha^{-1}$. As a result, the selectivity indices ($GR_{10}$ for $rice/GR_{90}$ for E. kuroguwai) of tefuryltrione were 3.19-5.72.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efuryltrione has a relatively high selectivity between rice and E. kuroguwai with a high herbicidal activity against E. kuroguwai and a good rice safety.

재배양식별(栽培養殖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Patterns on the Growth and Herbicidal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 박태선;박재읍;이인용;임은상;김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5
    • /
    • 1997
  • 벼 직파(直播) 및 어린모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제초제(除草劑) 약효(藥效) 약해(藥害)에 영향(影響)을 마칠 수 있는 경작지(耕作地)의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대한 벼와 피의 반응(反應)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토양수분함량별(土壤水分含量別) 벼와 피의 생장(生長)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이 40%일 때 가장 컸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토양수분(土壤水分) 50% 에서 가장 심하였다. 2. 파종심도별(播種深度別) 벼와 피의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은 3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가장 길었으며,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의 생육(生育)은 1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억제(抑制)되었으나 피의 경우에는 전파종심도(全播種深度)에서 심하게 억제(抑制)되었다. 3. 벼의 초엽(coleoptile)장(長) 및 피의 중배축(中胚軸)(mesocotyl)장(長)은 파종(播種)깊이가 깊을수록 길었고, 제초제(除草劑) 처리시(處理時) 1cm 파종(播種)깊이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가 가장 켰다. 4. 담수(湛水) 표면산파재배(表面散播栽培)에서 제초제처리후(除草劑處理後) 누수(漏水) 시기별(時期別) 벼의 생육억제(生育抑制)는 누수(漏水)가 지연(遲延)될수록 심하였으며, 5. 이앙심도별(移秧深度別) 제초제처리시기(除草劑處理時期)에 따른 벼의 생육(生育)은 이앙심도(移快深度)가 얕고 약제처리시기(藥劑處理時期)가 빠를수록 억제정도(抑制程度)가 컸다.

  • PDF

강아지풀 종류별 종자발아특성과 제초반응 차이 (Studies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l Responses to Herbicides in Setaria Spp.)

  • 김진석;김태준;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3
    • /
    • 1996
  • 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강아지풀 종자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차이를 조사하여 시험재료로서 발아력이 양호한 종자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조건들을 찾음은 물론 종간 발아특성 차이와 제초제에 대한 반응차이간의 관련성 여부를 검토하여 보았다. 금강아지풀의 경우 실온건조에서, 가을강아지풀 및 강아지풀의 경우는 저온습윤에서 가장 빨리 휴면타파 되었다. 휴면의 정도는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순으로 강한 경향이었다. 금강아지풀의 경우 휴면타파된 종자를 저온습윤 또는 저온건조에 보관하더라도 발아력에 변함이 없었으나 가을강아지풀 및 강아지풀의 경우는 저온건조에 두면 발아속도가 늦어지며 초기발아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50% 이상의 발아력(2개월째)은 유지하였다. 금강아지풀 종자를 실온건조에 보관할 경우 6년 이상이면 발아력이 감퇴되었다. 발아는 세 종류 모두 $30^{\circ}C$ 14시간/$20^{\circ}C$ 10시간의 온도조건에서 양호하였으며 광의 유무에 따른 발아율 타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Cycloxydim, sethoxydim, primisulfuron 처리에서는 종간 반응차이가 없었으나, fenoxapropethyl은 가을강아지풀과 강아지풀에서, fluazifopbutyl은 가을강아지풀에서, clorimuron-ethyl은 금강아지풀파 가을강아지풀에서 감수성 정도가 약간 높았을 뿐이었다. 반면에 EK-2612는 반응 차이가 현저하여 강아지풀보다 금강아지풀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로 볼 때 동일 작용메카니즘을 가지는 약제들간에도 종간에 일관된 반응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합물에 의존하는 반응을 보였으며, 종간 발아특성 차이와 제초반응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없었다.

  • PDF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제초제살초 Spectrum 분류와 효과적인 사용법 (A New Approach for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erbicide and for Effective Use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 김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59
    • /
    • 1983
  • In general, herbicide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selectivity, mobility. time of application, methods of application, mode of action and chemical property and structure. However, there was no generally accep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cal use in the field. The primary processes affected by the majority of herbicides are the growth process through cell elongation and/or cell division, the photosynthetic process specifically the light reaction,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the integrity of the membrane systems. The usual approach in the study of the mechanism by which herbicides kill or inhibit the growth of plants is to initially determine the morphological phototoxicity systems, The mechanism by which a herbicide kills a plant or suppresses its development is actually the resultant effect of primary and secondary(or side) effects. In most instances, the death of the plant is due to the secondary effects. To induce the desired response, a herbicide must be able to gain entry into the plants and once inside, to be transported within the plant to its site(s) of activity in concentrations great enough. Obstacles to the entry and movement of herbicides in plants are generally classified by leaf and soil obstacles, translocation obstacles and biochemical obstacles, and these obstacles are also strongly influenced by plant species an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temperature, rainfall and relative humidity. And hence, in most instances, results obtained from laboratory or greenhous vary from those of field experiment. Author attempted to classify herbicides from the field experiment using the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to obtain practical information for selecting effective herbicides or to choose effective herbicide combinations for increasing herbicidal efficacy or reducing the chemical cost. Based on this two-dimensional diagram, desired herbicides or combinations were selected and further investigated for the interaction effects whether these combinations are synergistic, additive or antagonistic.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se new approach could possibly be give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s about effective use of herbicide than any other systems.

  • PDF

재배조건(栽培條件)의 차이(差異)가 수도(水稻)어린묘(苗의)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IV. 시비량(施肥量)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약해반응(藥害反應) (Herbicidal Phytotoxicity of Early Rice Seedlings a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IV. Response of Phytotoxicity with Application Rate of Fertilizer and Organic Matter)

  • 한성욱;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6-110
    • /
    • 1991
  • 달관평가결과(達觀評價結果)와 생장지표(生長指標)인 초장(草長), 분벽수(分蘗數) 및 건물중(乾物重) 변이(變異)에서는 다소 일치되지 않은 경향(傾向)으로 조사(調査)되었으나 공시약제(供試藥劑) 대부분(大部分)이 시비량(施肥量) 증대(增大)로 생육이상(生育異.常)이나 지연(遲延)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생장(生長)의 종합지표(綜合指標)인 건물중(乾物重)을 중심(中心)으로 평가(評價)한 결과(結果), pretilachlor는 모든 시비수준하(施肥水準下)에서 일률적으로 낮은 건물중(乾物重)을 나타내었으나, pyrazolate와 함께, 시비량 증대로 건물중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bensulfuron-methyl은 무비수준(無肥水準)에서 오히려 회복이 빨랐으며 dimepiperate는 시비(施肥)에 관계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안전성(安全性)이 유지되었다. 유기물시용(有機物施用)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약해반응(藥害反應)은, 시용량증대(施用量增大)로 약해(藥害)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고, 특이한 것은 dimepiperate와 pyrazolate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도 안전(安全)하였던 반면(反面) pretilachlor와 bensulfuron-methyl은 1000 Kg/10a 수준(水準)에서까지도 유의적(有意的)인 생육억제(生育抑制)가 되었다.

  • PDF

재배조건(栽培條件)의 차이(差異)가 수도(水稻)어린묘(苗의)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III. 담수심(湛水深) 및 감수심(減水深) 차이(差異)에 따른 약해반응(藥害反應) (Herbicidal Phytotoxicity of Early Rice Seedlings a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III. Response of Phytotoxicity with Water Depth and Drainage Level per Day)

  • 한성욱;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0-105
    • /
    • 1991
  • 공시약제(供試藥劑) 모두가 천수조건하(淺水條件下)에서는 경미(輕微)한 정도(程度) 이상(以上)의 약해(藥害)가 있었으며, 특(特)히 bensulfuron-methyl은 3cm에서 그리고 pretilachlor는 1cm 천수(淺水)에서 약해(藥害)가 커졌으며 계량적(計量的)(초장(草長), 분벽수(分蘗數), 건물중(乾物重))으로는 처리후(處理後) 40일(日)까지도 생육억제(生育抑制)가 있었으나 달관적(達觀的)으로는 처리후(處理後) 15일(日) 경(傾)부터 빠른 회복을 나타내었다. 일당(日當) 감수심(減水深)이 증대(增大)됨으로써,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의 전반적인 약해(藥害)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특히 dimepiperate는 감수심(減水深)이 적은 곳에서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서만 다소의 생육지연(生育遲延)이 있었고 감수심(減水深)이 큰 사양토(砂壤土) 등지에서 사용(使用)이 제한(制限)되고 있는 bensulfuron-methyl은 어린묘(苗)의 경우, 감수심(減水深)과 관계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약해(藥害)를 나타내었다.

  • PDF

Sulfonylurea계(系)와 pyrazol계(系) 제초제(除草劑)의 벗풀에 대(對)한 살초기작(殺草機作) (Effect of Sulfonylurea and Pyrazol Herbicides on the Control of Sagittaria Trifolia)

  • 신현승;박재읍;이한규;류갑희;이정운;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19
    • /
    • 1994
  • 본(本) 시험(試驗)은 벗풀 우점도(優占度)의 지속적(持續的) 증가(增加) 원인인(原因)과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법(防除法)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1. Sulfonylurea계(系) 제초제(除草劑) 관행처리시(慣行處理時) 벗풀은 일정(一定) 기간(期間)동안 생육억제(生育柳制) 후(後) 재생(再生)되었다. 2. Pyrazolate에 의한 벗풀의 살초범위(殺草範圍)는 7엽기(葉期) 전개(展開) 이전(以前)이었다. 3. Pyrazolate에 대한 벗풀의 살초범위(殺草範圍)와 괴경(塊莖)의 크기 및 탄수화물(炭水化物) 소비량(消費量)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4. Pyrazosulfuron-ethyl과 pyrazolate 일차(一次) 처리(處理) 후(後) 이들 제초제(除草劑)의 체계처리시(體系處理時) 벗풀 괴경형성(塊莖形成)이 95% 이상(以上) 억제(抑制)되었다.

  • PDF

Screening을 위한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제초제(除草劑) 반응성(反應性) (The Initial Growth of Scirpus planiculmis and its Herbicidal Response for the Screening)

  • 황인택;최정섭;이병회;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5-251
    • /
    • 1994
  • 새섬매자기 방제(防除)는 간척지(干拓地) 면적(面積)의 증가(增加)와 함께 더욱 중요성(重要性)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되어 이들의 방제실험(防除實驗)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새섬애자기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대한 토양(土壤), NaCl 등의 영향(影響)을 일반(一般)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와 비교하였고, 기존(旣存)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1. 새섬매자기의 토양별 초기생육(初期生育)은 일반토양조건(一般土壤條件)에 비하여 벼 재배(栽培)가 불가능한 지역(地域)의 토양(土壤)(A)에서 32%의 생육량(生育量)을, 벼 재배가 가능(可能)한 지역(地域)의 토양(土壤)(B)에서 86%의 생육량(生育量)을 나타내었다. 동일(同一) 토양(土壤)에서의 동진벼 초(初) 기생육(期生育)을 조사한 결과 토양(土壤) A에서는 직파(直播) 및 이앙(移秧)벼 모두 파종(播種) 또는 이앙(移秧) 1주일 후(後)에 고사(枯死)되었고, 토양(土壤) B에서는 일반토양(一般土壤)에 비하여 직파(直播)벼 50%, 이앙(移秧)벼 91%의 생육량(生育量)을 보였다. 2. 초기(初期) 생육기(生育期)의 NaCl에 대한 내성(耐性)은 새섬매자가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미, 벗풀, 가래 순(順)으로 나타났다. 초기(初期) 생육속도(生育速度)는 새섬매자기가 너도방동사니보다 빨랐다. 3. 새섬매자기의 구경(球莖)을 분할(分割)하여 파종(播種)하면 출아된 개체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이 20-40% 감소(減少)되었고, 출아(出芽) 후(後) 구경(球莖)을 제거(除去)하는 시기(時期)가 빠를수록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약하여 초기생육(初期生育)에 있어서 구경(球莖)에 대한 의존력(依存力)은 대단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재(現在) 사용중(使用中)인 14개 제초제(除草劑) 단제(單劑)들 중(中)에서는 bentazone이 새섬매자기 방제효과(防除效果)가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직파(直播)벼에 대한 안전성(安全性)도 우수(優秀)하게 나타났다.

  • PDF

Sulfonyurea계 제초제 저항성 올챙이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의 제초제 반응과 방제 (Herbicidal Response and Control of Scirpus juncoides Roxb. Resistant to Sulfonylurea Herbicides)

  • 박태선;강동균;김길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0-261
    • /
    • 2005
  • 본 연구는 7년 동안 연속적으로 sulfonylurea(SU)계 제초제를 사용한 남부지역의 논에서 발생한 들에 대한 저항성 잡초 올챙이고랭이의 제초제 반응과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온실 조건에서 SU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 생태형을 파종 후 10일에 azimsulfuron, bensulfuron, imazosulfuron 그리고 pyrazosulfuron을 처리하였을 때 감수성 생태형은 각 제초제의 추천량에서 완전히 방제되었으나 저항성생태형은 추천량의 10배량에서도 $20{\sim}30%$ 생존되었다. 생체중 50%를 억제하는 각 제초제의 농도($GR_{50}$)는 두 생태형 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사된 4종류의 각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GR_{50}$는 감수성 생태형에 비해 $53{\sim}88$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SU계 제초제 저항성 및 감수성 생태형의 올챙이고랭이로 부터 추출한 acetolactate synthase(ALS)에 대한 bensulfuron-methyl과 pyrazosulfuron-ethyl의 50%억제 저항성 생태형이 감수성 생태형보다 각각 498 및 126배 높게 나타났다. SU계 제초제 저항성 올챙이고랭이는 조기진단법에 의하여 적어도 3일 이내에 저항성 진단이 가능하였다. 올챙이고랭이 $1.5{\sim}2.5$엽기에서는 조사된 대부분의 비SU계 제초제들이 효과적이었으나 3.5엽기에서는 carfentrazone-ethyl, pyrazolate, simetryne가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azimsulfuron+carfentrazone-ethyl+pyraminobac 입제와 pyraminobac+pyrazosulfuron+carfentrazone 입제는 벼에 약해 없이 SU계 저항성 올챙이고랭이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SU계 혼합 제초제를 처리 후 생존한 저항성 올행이고랭이는 경엽처리제인 bentazone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