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al sau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식품과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 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3-439
    • /
    • 2002
  • 식품 12종과 한약재 12종의 에탄을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녹차, 쑥, 민트, 레몬 및 부추 등의 식품 추출물과 인삼, 솔잎, 갈근, 모과 및 귤홍 등의 한약재 추출물 첨가시 시료 소스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 에탄을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이 높고. 과산화물 생성량은 적어 항산화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녹차, 쑥, 인삼 및 솔잎 추출물은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시료 소스에 첨가시 기호도는 높지않았으나 레몬과 모과 등의 추출물은 강한 단맛과 신맛에 의해 기호도도 증가시켰다. 특히 레몬즙은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효과 및 기호도를 높이는데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Proportion Optimization for Manufacture Kochujang Sauce Supplemented with Tonic Herbal Extract and Beef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Yang, Ji-Won;Kim, Sung-Soo;Choi, Sang-Yoon;Choi, Il-Sook;Lee, Young-Sun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3-141
    • /
    • 2012
  • $Kochujang$ is a fermented paste originated from in and $Kochujang$ sauce is a nutritionally and functionally improved version of $Kochujang$ with additions of beef and tonic herbal extracts. The optimization of the ingredient ratios in the manufacturing of $Kochujang$ sauce was investigated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amount of beef ($X_1$) and the amount of tonic herbal extract ($X_2$) were chose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the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The examin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ed water activity, pH, color, viscosity, and soluble solids. The sensory evaluation attributes wer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m,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auce viscosity ($Y_1$)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Y_2$) of the sauc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X_1$= 9.7% and $X_2$= 14.1%. In addition, the predicted values of the multiple response optimal conditions were $Y_1$= 331000 (cP) and $Y_2$= 7.1 (points), and the actual experimental values were $Y_1$= 3316667 (cP) and $Y_2$= 7 (points).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데리야끼소스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eriyaki Sauce by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아;정현아;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06-217
    • /
    • 2011
  • 본 연구는 설탕 간장을 주로 사용하는 데리야끼소스의 간장, 설탕, 가열시간의 최적화를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장, 설탕, 가열시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사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고, 소스의 외관에는 가열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맛은 설탕, 가열시간, 간장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간장, 가열시간, 설탕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종합하면 간장은 1,182.76 g -1,210.11 g, 설탕은 843.97 g - 851.17 g, 가열시간은 174.49 분 - 181.46 분의 범위에서 데리야끼소스를 제조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적은 간장 1,196.44 g, 설탕은 847.57 g, 가열시간은 177.98 분으로 하여 데리야끼소스를 제조함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솔잎분말 첨가 양념 및 양념 돼지갈비의 저장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during Storage)

  • 이지은;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29-638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to which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during storage. The pH value, color valu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lipid oxidation,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to which 0, 1, 2, 3 and 4%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at $5^{\circ}C$. The storage periods for the seasoned sauce were 0, 1, 3, 5, 7, 14, 21 and 30 days, and the storage periods for the seasoned pork ribs were 0, 1, 3, 5, 7 days. We determined that the pH values of both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of pine needle powder and longer storage periods. The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the seasoned sauce were increased and the redness (a) of that de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and longer storage period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whereas the L and b values of that were decreased and the a value in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s.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the seasoned sauce was detected at between $10^2$ to $10^4$ CFU/mL over a storage period of 30 days, regardless of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additionally, the addition of 4% pine needle powder resulted in the lowest active bacterial cell count among the samples.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in the seasoned pork rib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s of pine needle powder, and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influence of pine needle powder contents on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seasoned pork rib were minimal, and the active bacterial cell count of that wa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only 1% pine needle powder. Lipid oxidation in the seasoned pork rib was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more than 2% pine needle powder. We noted no difference in the shear force of the seasoned pork rib to which pine needle powder was added. In our sensory evaluation, the intensity of color (greenish brown), flavor (herbal flavor) and taste (bitter & herbal taste) of the seasoned pork rib in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s, whereas the texture of the seasoned pork rib evidenced no difference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easoned pork rib with 0, 1 and 2% added pine needle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asoned pork rib with 3 and 4% added pine needle powder. Thus, the addition of 2% pine needle powder to seasoned pork rib sauce yielded appropriate results with regard to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sensory properties.

뽕잎과 오디분말을 이용한 육류용 소스 제조 및 품질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and Mulberry Fruit Powder)

  • 김애정;이정애;김민주;강미숙;김현복;임정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3-520
    • /
    • 2016
  •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has increased with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among ratios of 0, 1:0, 0:1, 1:1, 2:1, and 1:2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based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Th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0, 1:1, 1:2, 1:3, 1:4, and 1:5)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were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L2MF1 (2:1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on NO and TNF-${\alpha}$ production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mixing ratios. With respect to color value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s was increased, redness was increased but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 of ML1MF5S (1:5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sauce for meat showed the highest score with respect to color, smell, taste, harmony with meat and the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as the mulberry leaf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increased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refore, by performing further study, the method to increase mulberry leaf powder in the mixing ratio for improving the sensory evaluation should be provided.

송이버섯과 키토산을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의 품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 홍주연;최영준;김미현;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0-67
    • /
    • 2009
  •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기능성이 우수한 송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스의 개발과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버섯을 첨가한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향은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와 송이 및 키토산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키토산 첨가 사과 드레싱 소스가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송이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 및 송이와 키토산을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는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 소스의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의 값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는 저장초기에 약간의 색도(L, a, b 값)의 변화가 있었으나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사과 드레싱 소스의 점도(cP)는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송이 사과드레싱 소스의 저장에 따른 pH의 변화는 $4^{\circ}C$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가 감소하였으나 저장 30일째 pH가 다소 증가하였다. 모든 사과드레싱의 적정산도는 저장 중에 다소 증가하였다. $4^{\circ}C$ 저장 중 사과 드레싱 소스의 총균수변화는 저장초기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이 $1.7{\times}10^{2}CFU/g$ 으로서 가장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군에서 다소 증가하여 저장 60일째에는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가장 높은 $8.7{\times}10^{3}CFU/g$의 균수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한 후 저장성에 따른 여러 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저장성을 나타냄에 따라 우수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석장(간장소금)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ok-jang)

  • 황수정;김예슬;강귀훈;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5-5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석장(간장소금)의 이화학적특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소금소재로써의 적합성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H는 석장이 7.76으로 가장 높았으며, 천일염은 6.40, 간장이 4.35 순서로 낮았다. 환원당은 천일염이 0.052%로 0.045%의 석장보다 약간 높았으며 간장은 2.389%를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천일염이 $11.67^{\circ}Brix$, 석장이 $11.87^{\circ}Brix$로 석장이 천일염보다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간장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58.13^{\circ}Brix$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천일염 0.68%, 석장 0.69%, 간장 3.74%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불용성분 및 사분은 식품공전상의 규격에 준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천일염의 색도 $L^*$, $a^*$, $b^*$ 값은 각각 85.87, 0.52, 4.36을 나타내었고 석장은 58.86, 6.19, 18.2의 값을 나타내어 적색도와 황색도에서 더욱 높은 값을 띠었다. 무기질 함량에서 Mg은 천일염이 제일 높게 나타내었으며, 석장의 P, Na, Fe 및 Al 함량이 천일염과 간장보다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으며, 또한 Ca 함량은 천일염과 석장이 5.17 ppm과 5.18 ppm으로 간장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중금속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식품공전의 규격을 모두 충족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석장은 간장의 가용성 고형분 및 melanoidin 색을 띠는 적색도와 황색도의 특성을 모두 보유하여 간장 소스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되며, 또한 석장의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불용성분 및 사분 등 함량이 천일염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이에 반해 무기질 중 Fe 함량이 아주 풍부한 것으로 보아 새로운 소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 및 표고버섯 첨가 간장의 숙성 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r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김화선;임지민;권혁진;유지연;박필상;최윤희;최지호;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7-474
    • /
    • 2013
  • 본 연구는 전통간장에 표고버섯 및 황기를 첨가하여 3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이화학실험, 항산화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장 식염변화에서 TK을 제외한 실험군 모두 염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기간별 뚜렷한 식염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H 변화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의 pH가 다소 감소하였는데, 이는 첨가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총산도 변화에서 TK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MK과 AMK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의 변화에서는 TK에 비해 AK 및 AMK의 함량이 높았다. AK의 환원당이 TK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지만, MK의 환원당 변화는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에서는 AK가 0.50~0.98%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MK는 1.15~0.67%로 감소하였고 AMK도 0.78~0.64%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 변화에서 AK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25일에 52.24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역시 1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5일에 210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AK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신맛,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서, 표고버섯과 황기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기 간장이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알레르기 비염의 대체의학적 치료에 관한 최근 논문경향 분석 - Entrez Pubmed 위주 (Systemic review : The study on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in Entrez Pubmed)

  • 김자혜;신상호;김미보;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239-249
    • /
    • 2007
  • Background : Allergic rhinitis is the most frequently occuring immunological disorder. It affects men, women and children and represents significant cost in terms of suffering and loss of productivity. Objective & Methods : We referred to the information through Entrex Pubmed from 2004 to 2007 January about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9 treatises. Results : About 9 treatises, 2 treatises were for the acupuncture treatment, I treatise was for the acupuncture and chinese herbal medicine, 2 treatises were for the single substance(butterbur, soy sauce ingredients), 1 treatise was for the homeopathic preparation, 1 treatise was for the ayur-veda herbal treatment, 1 treatise was for the ultraviolet light phototherapy, 1 treatise was for the systematic review of alternative medicine. Except 2 treatises for the acupuncture treatment, 6 treatises used the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methods. As a result, we found 5 treatises that treat group had more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3 treatises that treat group had no difference control group on effect significantly. 1 review article exhibited the most of alternative medical literatures were inadequate methodologically and therapeutic efficacy alternative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was not supported by currently available evidence. Conclusion : We found that treatises about the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were more and more published. We were supposed that many internal treatises were published adequately by methodology to prove Korean medical treatment effects for allergic rhinitis.

  • PDF

콩 종류와 대두 가공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s의 정량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 김정숙;이영선;김진숙;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0
    • /
    • 2000
  • 콩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써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콩은 우리의 식생활과 깊은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한국산 황기와 콩제품인 콩나물, 두부, 콩기름, 메주, 된장, 간장, 대두, 약콩, 완두콩 및 강남콩 등에서 함유된 isoflavone을 5mM $NaH_2PO_4$ 완충용액(pH 4.6)과 메탄올을 혼합한 이동상 (4 : 6) UV 260 nm에서 분석하였다(Table 2). 콩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중 유리 daidzein 양은 콩나물에서 $43.49{\pm}3.41\;mg/kg$, 된장에서 $233.31{\pm}5.81\;mg/kg$, 약콩은 $35.66{\pm}4.70\;mg/kg$이 검출되어 대두 $(14.52{\pm}0.58\;mg/kg)$ 비해 높았다. (P<0.05)간장 및 콩 기름은 함량이 낮았고, 완두콩 및 강남콩의 함량은 측정치 이하였다. 유리 genistein은 콩나물이 $27.631{\pm}1.66\;mg/kg$,메주가 $18.75{\pm}1.33mg/kg$, 된장이 $291.52{\pm}6.81\;mg/kg$ 검출되었고, 대두는 $22.49{\pm}0.93mg/kg$으로 약콩$(61.10{\pm}7.73mg/kg)$ 보다 낮았다(P<0.01). 그러나 formononetin의 함량은 daidzein, genistein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황기는 daidzein과 genistein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formononetin의 함량이 대두$(60.62{\pm}11.35\;{\mu}g/kg)$ 비해 $9629.73{\pm}0.57\;{\mu}g/kg$으로 약 160배 이상 많았고, 약콩은 대두와 유사하였으나, 콩기름, 완두콩, 강남콩에서는 formononetin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통식품인 된장과 메주에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