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osomatic index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노닐페놀을 주사한 조피볼락의 간장 cytochrome P450과 EROD의 반응 (Responses of Cytochrome P450 and EROD Activity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dminister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4-nonylphenol)

  • 전중균;이지선;손영창;심원준;정지현;홍경표;김병기;한창희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71-176
    • /
    • 2004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많이 쓰이는 알킬페놀류의 하나인 노닐페놀(nonylphenol)이 해산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려고 주요 양식어종인 조피볼락에게 복강주사로 10 및 25 mg $kg^{-1}$을 1회 투여하였다. 한편 용제인 DMSO만을 주사한 sham구를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사 후 7일간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또한 간장 미크로좀 중 대표적인 약물대사효소인 cytochrome P450 (CYP) 농도와 ethoxyresorufin 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25 mg $kg^{-1}$) 주사구에서는 HSl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NP가 간장에 독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약물대사효소 중 CYP 농도는 유도되었지만 EROD 활성은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에 주사한 농도는 우리나라 연근해 해수 중의 NP 농도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본 실험에서는 NP가 조피볼락에 게간장 독성을 보였고, 간장의 약물대사효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radiol-17\beta$의 복강주사에 따른 미성숙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혈장 VTG, ALPP, Ca, GPT 및 HSI의 일시적 변동 (Temporal Changes of Plasma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Hepatosomatic Index (HSI) in the $Estradiol-17\beta-Administered$ Immatur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황운기;심정민;박승윤;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1-198
    • /
    • 2004
  • $estradiol-17\beta$ ${E_2}$에 노출된 미성숙 조피볼락의 혈장 내 vitellogenin (VTG), alkaline-labile protein phosphorus (ALPP), calcium (Ca),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및 hepatosomatic index (HSI)의 일시적인 변화가 조사되었다. 70% 에탄올에 녹여진 ${E_2}$ (5 mg/kg B.W.)를 조피볼락 치어의 복강에 주사한 후 0, 1, 3, 6, 9, 12 및 15일에 혈장이 수집되었다. 전기 영동상에서 주사 후, 3일째 약 170 kDa의 위치에 염색성을 나타내는 VTG 밴드가 검출되었다. 밴드의 염색성은 6일째 더욱 강하게 나타났지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흐려져 15일째에는 노출 전 처럼 VTG 밴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 내 ALPP와 Ca는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VTG 변동과 유사하게 6일째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점 감소해 15일째는 노출 전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PT는 투여 1일부터 급격히 증가해 3일에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HSI의 경우도 1일째부터 증가해 3일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후, 점점 감소해 ${E_2}$ 투여전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E2에 노출 된 이후 조피볼락의 혈장 내 ALPP, Ca, GPT 및 HSI는 혈장 VTG와 유사한 증․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PP, Ca, GPT 및 HSI는 VTG와 더불어 연안 생태계 내에서 외인성 ${E_2}$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붉은쏨뱅이(Sebastiscus tertius)의 생식 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 임상구;김광수;김철원;김정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01-708
    • /
    • 201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eductive cycle of the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The analysis was based on annual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hepatosomatic index (HSI), histology of the gonadal structure, and plasma sex steroid hormone levels of adult fish from April 1997 to April 1998. GSI of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February and peaked ($10.8{\pm}2.72$) in May. HIS levels ($3.41{\pm}0.49$) peaked in February and elevated plasma steroid hormones ($1.47{\pm}0.75$ ng/mL for estradiol-$17{\beta}$ ($E_2$) and $230.7{\pm}27.6$ pg/mL for testosterone (T)) were observed in April. However, in male fish, GSI levels started to increase in August and remained high until November ($0.21{\pm}0.05$). T levels were was also elevated in August and peaked in October ($188.1{\pm}43.5$ pg/mL) and November ($186.8{\pm}28.0$ pg/mL), but started to decline 1 month than the GSI.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ovoviviparious periods span from April to June and amle mating periods occur from November to February.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Venus Fish, Aphycypris chinensis)

  • 이성규;최신석;염동혁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95-404
    • /
    • 2000
  • 1997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모세올 지역의 농수로에서 채집한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를 대상으로 생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간 생식소숙도지수(GSI), 간숙도지수(HSI), 난경조성과 생식소 발달과정 및 다른 번식특성들을 조사하였다. GSI 변화, 생식소의 발달과정 및 난경조성에 대한 분석결과, 1${\sim}$2월은 정체기, 3${\sim}$5월은 2차 성장기 및 성숙기, 6월에서 7월 사이는 완숙 및 산란기, 8${\sim}$9월은 퇴화 및 휴지기, 10${\sim}$12월은 1차 성장기로 나타낼 수 있었다. HSI는 연간 2개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GSI의 변화와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점에서의 왜몰개 암컷의 포란수는 체중과 1차 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r$^{2}$ =0.91, n = 347), 성비는 1.4 : 1 (암컷 : 수컷) 이었다. 생식가능한 최소 체장(fork length) 범위는 암컷에서는 38 mm, 수컷에서는 33mm로 조사되었다.

  • PDF

수산부산물 발효어분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의 간 및 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ffects of Fishery By-product Fermented Fishmeal on the Liver and Muscle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보람;김지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35-124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발효어분이 넙치의 증체율에 미친 조직학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입어분에 대한 발효어분의 대체비율 0, 25, 50, 75 및 100%로 사육한 넙치로부터 간 및 근육을 적출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5% 대체군에서 간중량지수가 가장 높고 간 지방함유율이 가장 낮은 점으로부터 25% 대체군의 간의 우수한 건강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근섬유의 단면적도 25% 대체군이 가장 넓게 나타나, 운동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즉 간 및 근육의 우수한 건강 상태가 높은 증체율을 나타내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증체율이 낮은 75% 및 100% 대체군에서는 간건강 및 근섬유의 발달이 좋지 못했는데, 이는 발효어분이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될 경우 넙치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tissue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 구인본;김영수;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315-322
    • /
    • 2020
  • 메기(Silurus asotus)의 기아 시 생존율,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와 신장세포, 장 상피세포 및 간세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섭이군이 92.2±0.47%, 기아군이 74.4±2.59%를 보였으며, GSI, HSI 및 ISI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신장세포 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간세포 핵의 크기 및 간세포의 크기는 섭이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신장세포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 핵의 크기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멜라닌대식세포(melano-macrophages; MMs)는 기아 동안 신장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신장의 MMs 증가 및 간세포의 수축현상은 메기의 기아 상태를 식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메기의 영양 상태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해산 박대, Cynoglossus semilaevis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emale Tongue Sole, Cynoglossus semilaevi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강희웅;임한규;강덕영;한현섭;도용현;박종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87-93
    • /
    • 2012
  • 박대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의 월간 변화는 2월에서 7월까지는 아주 낮은 값을 보였으나, 8월부터 생식소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9월에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이후 10월부터 점차 낮아져 11월에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도(condition factor, CF)의 월간 변화도 9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의 월간 변화는 6월에 최대값을 보인 후 7월에 급격히 낮아져 최저값을 보인 후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난소발달은 미성숙기(2~7월), 초기 성숙기(7월 말), 성숙기(8월), 후기 성숙기(8월 말), 완숙 산란기(9~10월), 회복 휴지기(11월)의 6단계로 구분되었다. 박대의 포란수를 조사한 결과, 총 포란수(fecundity, F)와 전장(total length, TL)과의 관계는 $F=251.43TL^{0.1264}$($r^2$=0.4027)이었으며, 총 포란수와 체중(body weight, BW)과의 관계는 F=1130.4BW-880848($r^2$=0.677)로 나타났다. 박대 암컷의 50%가 성숙하는 전장은 46.87 cm로 조사되었다.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의 생식에 미치는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영향 (Effect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on the Reproduction of the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Teleostei: Cyprinidae))

  • 정선영;진영국;이정식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59-166
    • /
    • 2004
  • 본 연구는 PCBs가 칼납자루의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0, 3.4, 9.3 그리고 25.8 ${\mu}g\; L^{-1}$의 PCBs에 8주 동안 노출 실험한 결과, PCBs에 의한 행동과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해볼 때 PCBs에 노출된 어류들은 생식소발달, 생식소중량지수 (GSI), 간중량지수 (HSI), 혼인색지수(NCI) 및 산란관지수(OLI)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PCBs가 이들 어류의 정상적인 생식소 발달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산 꺽지 Coreoperca herzi (농어목 꺽지과)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Perciformes: Centropomidae))

  • 임상구;김계원;정규화;한창희;강기영;김정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68
    • /
    • 2011
  • 꺽지, Coreoperca herzi의 생식 년주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4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경남 산청군 경호강에서 실험어를 채집하여 수온, 일장, GSI, HSI,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GSI는 2월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4월에 최대치를 나타내고 5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다가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혈중 E2, testosterone의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는 GSI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방란, 방정 후 난소 소낭 내에서는 짧은 퇴화기가 관찰되며, 어린 난모세포가 계속 성장하여 난황합성 전기의 상태에서 저수온기에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수온 상승기에 일제히 성장한다. 정소 역시 짧은 퇴화기(7월)와 오랜 휴지기(10~2월)를 가진다. 본 종의 생식 년주기는 성장 및 성숙기(2월~4월 초순), 완숙 및 산란기(4월 하순~6월 초순), 퇴화 및 정체기(7~8월), 회복기 (9월~11월 초순), 휴지기 (12월~1월)로 나누어지며 주 산란기는 5월이었다.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성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2-236
    • /
    • 1994
  • 1991년 7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Hexagram mosagrammus를 대상으로 성성숙에 관련된 제반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추계인 9월부터 증가하여 11월에 년중 최고값인 암 4.31, 수 1.61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춘하계 동안 낮은값을 유지하였다. 2. 간숙도지수(HSI)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는 않으나, 암컷은 생식소숙도지수와 동일하게 변화하여 생식소가 활성화되는 9월부터 중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2.32의 년중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3. 군성숙도는 암수 모두에서 표준체장 11.0~11.9 cm에서 50 % 이상, 13.0~13.9 cm에서 100 %로 전 개체가 생식에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숙 및 산란기인 9월에서 12윌사이 난소내 난경조성의 결과에서 노래미는 한 산란기에 3회 이상의 산란을 행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밝혀졌다. 5.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전중과의 관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비만도는 성장기인 9월에 암수 각각 15.32, 15.14로 최고값을 보인 후 산란기를 지나며 크게 감소하였으며, 3월부터는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만도의 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