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patocyte primary culture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814 seconds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 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도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ion Extracts on Mercury-Induced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임상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수은 농도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0, 1, 5, 10, 30 및 50 ppm의 다양한 농도의 $HgCl_2$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간세포 독성과 생존율은 배양액의 GOT와 LDH 활성 및 MTT 값으로 결정하였고, 지질과산화는 TBARS 농도로 측정하였다.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catalase, GSH-Px, GSH-Rd 활성 및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으로 결정하였다. 1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GOT 활성을 증가시켰고 %MTT 감소를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TBARS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3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LDH 활성을 증가시켜 수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간세포 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촉진시켰다. 6시간 동안 30 ppm 농도의 $HgCl_2$,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수은 독성에 대한 양파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30 ppm의 수은 존재하에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0.05 mg/ml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30 ppm 농도의 수은에 의해 증가된 GOT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MTT 감소를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수은에 의해 증가된 LDH 활성과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0.05 mg/ml와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수은에 의해 각각 억제된 catalase와 GSH-Px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GSH-Rd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양파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증가하여 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pyrogallol 용액의 흡광도 감소를 100%로 기준하였을 때 93%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수은은 간독성 증가,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 촉진 및 catalase, GSH-Px, GSH-Rd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 감소를 유발시켰으며, 양파추출물은 catalase와 GSH-Px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free radical을 소거시켜 수은에 의해 유발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세포에서 PAH의 구조 의존적 작용기전 (Structure-dependent Mechanism of Action of Poly Aromatic Hydrocarbons in Cultured Primary Hepatocytes)

  • 김선영;홍성범;양재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23-30
    • /
    • 2006
  • Among poly aromatic hydrocarbons, dioxin and PCBs are the most controversial environmental pollutants in our modern life. These pollutants are known as human carcinogens, and liver is the most sensitive target in animal cancer models.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focused on the mechanism of carcinogenesis in hepatocytes and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 among these diverse environmental chemicals. Because key mechanisms of dioxin-induced carcinogenesis in human epithelial cell model are the alteration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 and PKC isoforms, the alteration of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carcinogenesis were studied. Rat hepatocytes cultured under the sandwich protocols were exposed with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dioxins and PCBs,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protein kinase C isoforms, oxidant stress, and apoptotic nuclei were evaluated. Si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 among these chemicals to properly assess the carcinogenic potentials, the study analyzed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carcinogenic processes, based on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PKC isoforms involved in inhibition of UV-induced apoptosis were also analyzed to elaborate the tumor promotion mechanism of these chemicals. Induction of apoptosis by UV irradiation was optimal at $60\;J/m^2$ in primary hepatocyte in culture. Compared to non coplanar PCBs such as PCB 114 and PCB 153, coplanar PCBs such as PCB 77 and PCB126 showed a stronger inhibition of apoptosis induced by UV irradiation.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more stimulated by non-coplanar PCBs than coplanar PCBs with the most potent induction of ROS by chlorinated non-coplanar PCB. As compared to the level of induction by PCB126, non-coplanar PCB153 showed a higher increase of intracellular concentrations. Besides the alter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translocation of PKC from cytosolic fraction to membrane fraction was clearly observed upon the exposure of non-coplanar PCB.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potent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mong PCB congeners and the mechanism of PAH-induced carcinogenesis is structure-specific. The study suggested that more diverse pathways of PAH-induced carcinogenes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eyond the boundary of Ah receptor dogma to assess the health impact of PAH with more accuracy.

Thioacetamide처리한 백서간세포의 in vitro 상에서의 재분열 (In Vitro Regeneration of Carcinogen Thioacetamide Treated Rat Hepatocytes)

  • 유소영;김규원;이혜정;최용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9-406
    • /
    • 1996
  • Thioacetamide는 non-genotoxic 발암제로서 세포단백의 변형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단기간 처리하면 핵소체의 비대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thioacetamide를 처리한 간세포를 in vivo와 in vitro 상태에서 관찰하였다. In vivo상태로서 thioacetamide를 쥐의 복강에 7일간 주사하면 (50mg/kg), 핵소체 비대와 B23 및 MAP kinase와 같은 신호전달분자들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vitro 상태로서 쥐의 간장을 collagenase로 분리하여 유전자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배양조건으로 간세포를 배양하여 핵소체를 관찰한 결과 핵소체 비대가 현저하였으며, B23의 양도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간세포는 핵소체 비대 수용능력이 약 100배 이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thioacetamide 처리에 의하여 라이보좀 생성과 핵소체 증가 능력이 증폭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뱀장어의 in vitro Vitellogenin 합성에 대한 Estradiol과 뇌하수체 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Estradiol and Pituitary Hormones on in vitro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 권혁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2-290
    • /
    • 1997
  • Vitellogenin 합성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뱀장어의 간세포배양계를 이용하여 Vg합성에 대한 $E_2$ 및 뇌하수체호르몬들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비롯한 난생 척추동물들의 Vg은 $E_2$의 자극에 의해 간장에서 합성분비되어 지나 뱀장어 Vg은 $E_2$으로는 충분한 합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E_2$와 GH 및 PRL을 함께 첨가하면 Vg합성이 활발하게 유도되어 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E_2$ 만으로 Vg이 합성되어지지 않는다면 세포내에 Vg합성 및 $E_2$ 의 활성을 억제하는 내인성 요소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세포를 8일간 호르몬 첨가없이 preculture하여 시행하였으나, $E_2$만으로 Vg합성은 유도되어 지지 않고 GH 및 PRL의 도움이 필요했다. 또한 $E_2$ 만으로 10일간 배양하여 장기간 $E_2$ 로 노출시켜 Vg합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바, 약 10일간의 $E_2$ 노출에 의해 Vg합성은 전기영동상의 확인에 의해 양적으로 다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E_{2}+GH$$E_{2}+PRL$의 첨가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뱀장어의 Vg합성 유도에는 뇌하수체 호르몬들이 직접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_{2}+GH+PRL$을 함께 첨가하여 6일간 배양하여 Vg이 왕성하게 합성되어 질때에도 계속해서 GH 및 PRL들이 필요한가를 조사하였는데, 3일간 관찰한 결과 Vg의 합성 정도는 GH 및 PRL등의 첨가유무에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평가는 0.005였다.5IU/ml의 배지에서는 대조구의 배란율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E_2$를 제외한 스테로이드와 HCG는 동자개의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을 in vitro에서 유도할 수 있으며, $17\alpha\;20\alpha\;OHP$와 HCG는 다른 스테로이드에 비해 높은 율의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을 유도하였다.체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전반적인 계절별 공간분포는 다양도 분석 결과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hlorella sp., yeast를 rotifer에 먹이로 투여했을 때 $S\;\pi-I$에서 lysine이 가장 높았고, PSB, Chlorellaal sp. 순으로 분석되었다. yeast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TEX>, betaine류$(0.1\~0.9\%)$의 순이었다. 연어 엑스분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nserine과 creatine이 중요한 함질소 성분으로서 엑스분 질소에 대한 양 성분질소의 비율은 anserine이 평균 $38\%$, creatine이 평균 $31\%$로서 이 두 성분만으로 엑스분질소의 $60.9\~76.5\%$에 달하였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 PDF

양파(Allium cepa)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 (The Hepatot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임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52-6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t-BHP (1.5mM) 존재하에 간세포를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1시간 동안 일차배양하였다. 간세포 독성과 생존율은 배양액의 GOT와 LDH 활성 및 MTT 값으로 결정하였고, 지질과산화는 TBARS 농도로 측정하였다.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catalase, GSH-Px, GSH-Rd 활성 및 DNA strand breaking assay로 결정하였다. t-BHP는 GOT와 LDH 활성 및 TBARS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MTT값은 감소시켰다. 0.05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1.5 mM 농도의 t-BHP에 의해 증가된 GOT 및 LDH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MTT 값을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1시간 동안 1.5 mM 농도의 t-BHP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감소된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atalase 활성은 t-BHP 무첨가군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nton 시약의 존재하에 plasmid DNA를 양파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양파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single-strand 절단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또한 t-BHP에 의해 억제된 GSH-Px, GSH-Rd 및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효소, 특히 catalase의 활성 증가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산화억제 및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파(Allium cepa)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 (The Hepatot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상철;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70-47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t-BHP (1.5 mM) 존재하에 간세포를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1시간 동안 일차배양하였다. t-BHP는 GOT와 LDH 활성 및 TBARS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MTT값은 감소시켰다. 0.0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GOT 및 LDH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MTT 값을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t-BHP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감소된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atalase 활성은 t-BHP 무첨가군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nton 시약의 존재하에 plasmid DNA를 양파추출물과 함께 배양한 결과 양파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single-strand 절단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또한 t-BHP에 의해 억제된 GSH-Px, GSH-Rd 및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효소 특히 catalase의 활성 증가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산화억제 및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배양 간세포에서 Vitellogenin 합성에 미치는 Calcium ionophore의 영향 (Effects of Calcium Ionophore on Vitellogenin Production in the Culture of Hepatocytes in the Rinbow Trout, Oncorhynchus mykess)

  • 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1-248
    • /
    • 1998
  • Vitellogenin(VTG) 합성에 미치는 A23187의 영향을 무지개송어의 배양 간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간세포는 2일간 배양한 후, Estradiol-$17^{\beta}$($E_2$, $2{\times}10^{-6}$M) 및 A23187 ($10^{-7)$~$10^{-5}$M)을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E_2$에 의한 VTG 합성시의 A23187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A23187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A23187 ($10^{-7)$~$10^{-5}$M)의 첨가에 의해 간세포에서의 VTG 합성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E_2$에 의해 합성된 VTG는 A 23187 ($10^{-5}$M)의 첨가에 의해 대조군($E_2$만의 첨가)의 약 18%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E_2$제거로는 대조군의 약 47% 밖에 감소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세포내의 저장 Ca은 번역 단계 또는 번역 후 단계를 조절함으로써, VTG 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omato Extracts

  • Rhim, Tae-J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49-654
    • /
    • 2006
  •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 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omato extracts.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antioxidant response were 5.5 and $19.8{\mu}g$ Trolox equivalent per mg of tomato extract,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omato extracts ($10mg\;ml^{-1}$) was 70% as compared to 100% by pyrogallol solution as a reference. The effect of the tomato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was examined using rat liver mitochondria induced by iron/ascorbate. Tomato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5mg\;ml^{-1}$ significantly decreased TBARS concentration. Tomato extracts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 of the tomato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was examined using cell-free system induced by $H_2O_2/FeSO_4$. Addition of $1mg\;ml^{-1}$ of tomato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dichlorofluorescein (DCF) fluorescence. Tomato extracts caused concentration-dependent attenuation of the increase in DCF fluorescence, indicating that tomato extracts significantly prevented ROS generation in vitro. The effect of tomato extracts on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was examined using hepatocyte culture.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were incubated with 1mM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for 90 mi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omato extracts. MTT values by addition of tomato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2, 10, and $20mg\;ml^{-1}$ in the presence of t-BHP were 13, 33 and 48%, respectively, compared to 100% as control. Tomato extracts in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omato extracts suppressed lipid peroxidation and t-BHP-induced hepatotoxicity and scavenged ROS generation. Thus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omato extracts seem to be due to, at least in part, the prevention from free radicals-induced oxidation, followed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과병 열수추출분획물의 간보호 및 혈중 알콜 저하 작용 (Hepatoprotective and Blood Alcohol Lowering Effects of Fruit Peduncle Extract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in the In Vitro and in Vivo Animal Models)

  • 나천수;정남철;양규환;김세현;정하숙;동미숙
    • 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4-40
    • /
    • 2004
  • Hovenia dulcis which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is known to show hepatoprotctive effect and reduce the acute alcohol toxicity. In this study, the hepato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hemically induced experimental liver injury models and lowering effect of blood alcohol level in animal models acutely administered alcohol by the peduncle extract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were investigated. HdfHW-1, and HdfM-1 which are the extracts of fruit peduncles and young branches with hot water or 70% methanol and followed with 100% methan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CCl_4$ or D-galactosamine/LPS induced damage in sliced liver. The hot water or methanol extracts of fruit peduncle protected dose-dependently against $CCl_4$ induced toxicity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 and particularly, the amount of LDH release was reduced to the control level at 500 $\mu\textrm{g}$/ml of hot water extracts. HdfHW-1 also decreased the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 in rats. The active components of HdfHW-1 seemed to be high molecular weights because 0.2 M NaCl HdfHW-1 fr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NaCl fractions of HdfHW-1 elu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NaCl on DEAE 650C column chromatography. HdfM and HdfHW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blood alcohol in rats and mice administered 40% alcoh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t water or methanol extracts of fruit peduncle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have hepatoprotective effect and may be reduce alcohol toxicity.

The roles of growth factors and hormones in the regulation of muscle satellite cells for cultured meat production

  • Syed Sayeed Ahmad;Hee Jin Chun;Khurshid Ahmad;Sibhghatulla Shaikh;Jeong Ho Lim;Shahid Ali;Sung Soo Han;Sun Jin Hur;Jung Hoon Sohn;Eun Ju Lee;Inho Cho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1호
    • /
    • pp.16-31
    • /
    • 2023
  • Cultured meat is a potential sustainable food generated by the in vitro myogenesis of muscle satellite (stem) cells (MSCs). The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properties of MSCs are of primary interest for cultured meat production. MSC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re influenced by a variety of growth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1 and IGF-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fibroblast growth factors (FGF-2 and FGF-21),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by hormones like insulin, testosterone, glucocorticoids, and thyroid hormones. In this review, we investigated the roles of growth factors and hormones during cultured meat production because these factors provide signals for MSC growth and structural stabilit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important idea about different growth factors such as FGF (enhance th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GF-1 (increase the number of myoblasts), PDGF (myoblast proliferation), TGF-β1 (muscle repair) and hormones such as insulin (cell survival and growth), testosterone (muscle fiber size), dexamethasone (my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thyroid hormones (amount and diameter of muscle fibers and determine the usual pattern of fiber distributions) as media components during myogenesis for cultured meat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