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enzyme activities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초

간기능강화제의 수침이 간손상 유발견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quapuncture with Hepatonics on the Recovery in Artificially Induced Hepatic Damaged Dogs)

  • 유명조;조성환;윤원기;김덕환;유기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8-318
    • /
    • 1997
  • The present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know the treatment effect of aquapuncture with hepatonics on recovery in artificially induced hepatic damaged dogs by carbon tetrachloride.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aquapuncture with taurine into Gan-su acupoint: Aa-I group and aquapuncture with taurine into blank acupoint in the thigh: Aa-II group). The changes of serum enzyme activities (ALT, AST and ALP), serum total protein contents, protein fractions and pathohistological findings of the liver were examined after application of aquapunctiuf treauen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erum ALT activities tendeded to decrease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Significances were detected at 5th (p<0.05) and 7th (p<0.05) day in Aa-I group and 7th day (p<0.05) in Aa-II group, respectively. Low value was fecund in Aa-I group compared with Aa-II groups but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The serum AST activitie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Significances were observed at 2nd (p<0.05) and 5th (p<0.05) day in Aa-I group and 2nd (p<0.05) day in Aa-II groups respectively. Aa-I group showed lower values than those of Aa-II groups however, no significance was detected between experimental groups. The serum ALP activitie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light decrease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among all groups. The serum total protein cont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endency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ce was found at 2nd day (p<0.05) in Aa-I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Aa-II group. Further significant increase of total protein content was seen at 1st day (p<0.05) in Aa-I group compared with Aa-II group. The change of serum albumin cont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endency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Significant increases were detected at 1st (p<0.01) and 2nd (p<0.01) day in Aa-I group, respectively. Aa-II group showed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but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Further significant increase was at 1st day (p <0.05) in Aa-I group compared with Aa-II group. The change of ${\beta} $-globulin in Aa-I group was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a-II group was similar to controls but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among all groups. The change of P-globulin content in Aa-I group showed tendency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and Aa-II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decrease compared with control. The change of ${\gamma}$-globulin content experimental group showed tendency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among groups. The change of A/G ratio in Aa-I group showed tendency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Aa-II group was similar to controls but no significance was found among groups. As for patho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grade of hepatocellular vacuolized degeneration and necrosis in Aa-I group was milder than those of control and Aa-II groups and the change of Aa-II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Considering above finding collectively, it was thought that aquapuncture of Gan-su acupoint with hepatonics was more effective than aquapuncture of blank acupoint for the recovery of hepatic damage.

  • PDF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ROS 생성 및 소거계 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cken Treated with Hwangki-Beni Koji Sauces on ROS Generating and Scavenging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 김재원;김순동;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05-612
    • /
    • 2010
  • 황기열수추출물(WEH)과 홍국 70% 에탄올추출물(EEB) 및 Monascus pilosus 액침배양액(LBK)을 동결건조한 등량 혼합물을 일반 닭고기 베이스소스에 0.225% 첨가한 황기홍국소스(HBS)를 처리한 계육의 식이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흰쥐의 ROS 생성 및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대조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베이스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BS)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HBS)으로 구분하여(5마리/군) 5주간 사육하였다. 체내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xanthin oxidoreductase O type 활성은 HFC군에 비하여는 31.84%가 HFCBS군에 비하여는 24.57%가 각각 감소되었다.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25.17-64.50% 및 19.29-62.89%가 증가 하였다. 활성산소에 소거에 관여하는 glutathione의 함량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53.30% 및 25.11%가 증가하였으며,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각각 20.29% 및 24.19%가 감소되었다.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은 각각 41.29-41.87% 및 22.91-23.44%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하에서도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 활성을 감소함과 동시에 소거계 활성을 높힘으로서 간조직 손상을 예방 및 치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나린진과 나린진-사이클로텍스트린 포접화합물의 지질대사에 대한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yclodextrin-Naringin Inclusion Complex with Naringin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Fat Diet)

  • 전선민;최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항고지혈, 항당뇨, 항동맥경화 등의 기능성이 잘 알려진 naringin을 이용하여 빛, 열, 산소 등의 산화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지질대사 개선에 대한 유용성이 증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불안정한 naringin 등의 flavonoid를 cyclodextrin 분자의 소수성 공동에 포접시켜 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질대사가 naringin 단독 보충에 비해 개선되는지를 분석하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건강 기능식품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20% 고지방식이에 0.02% naringin 및 naringin이 0.02% 첨가되도록 CD-naringin 량을 조절하여 10주간 C57BL/6 mice에 보충한 결과, 체중 및 식이 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HFC 군에 비해 CD-N군 및 N군에서 백색지방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CD-N군 및 N군에서 혈장 총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 혈당 및 간 조직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가 HF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및 간조직 지질 농도는 간 조직 지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도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는데, CD-naringin 및 naringin 보충은 지방산 산화 증가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간 조직 지방산,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에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질대사 관련 호르몬 및 adipokine 농도 비교결과, 혈장 인슐린 농도는 CD-naringin 및 naringin 보충에 의해 유의 적으로 감소되었으나, leptin, adiponectin, resistin, IL-$1{\beta}$, IL-6 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췌장 lipase 억제제로서 비만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는 orlistat에 비해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orlistat와는 다른 기전에 의한 지질대사 개선 효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CD-naringin inclusion complex 및 naringin 단독 보충은 장기간의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질대사 이상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기대해 볼 수 있으나, 혈장 leptin, resistin, IL-$1{\beta}$ 등의 염증성,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호르몬/adipokine 농도 감소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또는 항염증성 adipokine인 혈장 adiponectin 및 IL-6 농도 증가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두 물질의 효능 차이 또한 나타나지 않아 건강기능식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산화 효과에 대한 CD-naringin의 유용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LB/C Mice에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보충이 LPS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 (Effect of Hericium erinaceus Mycelia Supplementation on th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Processes Stimulated by LPS and Their Mechanisms in BALB/C Mice)

  • 장지현;노경희;최지나;진경숙;신진혁;온준호;조정원;정우식;김묘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7-236
    • /
    • 2010
  • 본 연구는 in vivo에서의 6주령의 BALB/C 생쥐(평균체중 $24.73\pm0.11$ g)에게 1주일 간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Hericium erinaceus mycelia)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후 내독소인 LPS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5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정상 대조군(NC)과 양성 대조군(LC)은 chow를, HMP 10%군과 HMP 3%군은 chow에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각각 3%와 10%를 첨가하였으며 HMP 대조군(HMP-C)은 chow에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10% 첨가하여 pellet 형태로 조제하여 1주일 간 각각의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LC군과 HMP 3% 및 HMP 10%군은 각각 LPS(100 mg/kg BW)를 투여하였으며 NC군과 HMP-C군은 생리식염수를 LPS와 동일한 농도로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효율은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보충한 군에서 저하되었으며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의 보충군에서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다.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10%를 보충한 HMP-C군과 HMP 10%군은 분변의 배설량이 가장 많았고 분변 중 총지방 양은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섭취한 군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섭취량에 따른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혈장 TG 함량은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1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분변 100 g 당 $\beta$-glucan의 함량은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3%를 보충한 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장의 ALT 수준은 LPS를 투여한 후 8시간 경과 후에는 LC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HMP 3%와 HMP 10%군에서는 유의적으로(p<0.05) 저하되어 NC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간에서의 SOD, GSH-red, GSH-px 활성은 LPS 투여 후 LC군에 비해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섭취한 군에서 증가하였으며 GSH-red의 단백질 발현과 GSH 함량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의 보충은 내독소인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저항하여 간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전으로는 항산화 효소계 활성과 GSH-red 단백질 발현 증가, 그리고 GSH 수준 향상 등을 열거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Curcuma longa Linn.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via Upregulation of Nrf2

  • Lee, Hyeong-Seon;Li, Li;Kim, Hyun-Kyung;Bilehal, Dinesh;Li, Wei;Lee, Dong-Seok;Kim, Y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331-1338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ly protective effects of Curcuma longa Linn. extract (CLE) on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pretreated with 50 or 100mg/kg of CLE or 100mg/kg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for 14 days before $CCl_4$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CLE control group was pretreated with 100mg/kg CLE for only 14 days. Three hours after the final treatment, a single dose of $CCl_4$ (20mg/kg) was administrated intraperitoneally to each group. After the completion of this phase of the experiment, food and water were removed 12 h prior to the next step. The rats were then anesthetized by urethane and their blood and liver were collected. It was observed that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serum, and the hepatic malondialdehyde level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LE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Cl_4$-treated group.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addition to glutathione content, had increased considerably in the CLE group compared with the $CCl_4$-treated group.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LE group as opposed to the $CCl_4$-treated group. The content of Nrf2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Pretreated CLE increased the level of nuclear translocated Nrf2, and the Nrf2 then increased the activity of the antioxidant and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LE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via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and through the activation of nuclear translocated Nrf2.

뽕잎 당단백질의 혈중지질 저하 효과 및 항산화 효과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Enhances Detoxicant Enzyme Activities and Lowers Plasma Cholesterol in ICR Mice)

  • 심재웅;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1-695
    • /
    • 2008
  •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밝혀진 뽕잎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과산화지질 라디칼 억제능력 및 생쥐의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과 간 해독효소 활성의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In vivo에서 생쥐에게 뽕잎 당단백질을 20 mg/kg의 농도로 섭취시킨 후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알아보고, 한편, Triton WR-1339를 투여한 생쥐 그룹에서 혈액 및 간 조직을 적출하여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 변화 및 해독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 mg/kg의 농도로 뽕잎 당단백질을 섭취시킨 생쥐그룹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HDL의 경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iton WR-1339를 투여한 고지혈증을 유도한 생쥐 그룹에서도 뽕잎 당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의 해독효소 중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SOD, CAT 그리고 GPx의 활성은 뽕잎 당단백질의 섭취에 의해 모두 증가하였으나 특히 SOD, CAT의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그에 비하여 GPx는 그 유의적 차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의 변화 뿐이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당단백질은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런 항산화제는 동맥 혈관조직이나 백혈구를 손상시키는 체내에서 발생된 ROS를 제거하고 체내 혈장지단백질 수준에 있어서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억제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4,25,26).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미루어볼 때, 뽕잎 당단백질 역시 간 내해독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의 ROS 수준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추었으므로 뽕잎 당단백질의 역할이 다른 천연물 유래의 당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지단백질과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항산화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HMG-CoA reductase에 의한 콜레스테롤 생성과 그게 관련된 유전자 발현 및 그 기전을 분자생화학적인 수준에서 보충적인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문상필;고진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88-94
    • /
    • 2004
  •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숫쥐의 성장률, 장기무게, 지질 대사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7주령의 흰쥐 (255.3$\pm$20.2g)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15% 돈지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 식이에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20% 및 30%로 혼합 급여한 군(20% 및 30% 운지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은 30% 운지버섯군이 고지방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다.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그리고 간, 신장, 비장 및 췌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고지방군과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군 및 운지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운지버섯 섭취에 따른 감소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군에 비해 3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과 간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과 고지방군,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고지방군에 비해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고지방군에 비해 20% 및 3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정상군과 각 실험군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30% 급여 시 체중증가량과 장기 무게는 정상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새로운 번데기 동충하초의 수집, 동정 및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Hepatic Effect of Native Cordyceps militaris)

  • 이기원;남병혁;조월순;오수정;강은영;최영;이재윤;천상철;정민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수집, 동정된 새로운 동충하초의 간에 관한 기전연구 및 기능향상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번데기 동충하초를 버섯채집회 등을 통해서 수집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유전자은행에 등록된 번데기 동충하초와 계통발생학적인 비교를 통해 동일종으로 확인하였다. 추출조건 및 방법을 다양화시켜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법으로부터 얻어진 분획중에서 간관련 효소활성 시험을 통해 효능이 있는 추출물 분획을 찾아내고,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의 대사효소인 ADH, ALDH의 활성증가가 시판되고 있는 의약품, 천연차, 혼합음료, 드링크 등의 6종류의 제품과 비교 실험하여 $500\;{\mu}g/m{\ell}$의 동충하초 추출물이 월등한 활성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체에 투여하여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해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및 대사가 촉진되고 정상상태로 빠르게 회복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설치류 단회독성시험 및 유전독성시험을 통하여 시험물질의 무독성을 확인하였고, 간을 손상물질인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급성손상에 대한 혈액생화학변화(GOT, GPT) 및 조직에서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한 보호 및 회복작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데기 동충하초의 추출물이 독성물질에 대한 급성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저독성의 오랜기간 노출로 인한 만성간장해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방간 등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57BL/6 Mice에서 이소플라본의 지질강하, 항산화, 항염증효과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Anti-atherogenic Effect of Isoflavone through Hypolipidemic,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in C57BL/6 Mice)

  • 조혜연;양정례;노경희;김진주;김영화;허경혜;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6-283
    • /
    • 2007
  • 5주령의 C57BL/6 mice종 암컷 40수를 2주간의 적응기를 거쳐, 평균 체중 $17.9{\pm}0.9\;g$인 실험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수씩 4군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는 동맥경화식이(control)에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각각 8주간 급여하면서 사육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은 식이 100 g 당 10 mg(IF-10)과 40 mg(IF-40) 및 100 mg(IF-10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는 체중증가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섭취에 의한 혈장 TG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주 후의 농도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세포부착물질인 MCP-1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의 생성량은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의 TG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간의 항산화 영양소인 glutathione 함량은 이소플라본을 100 mg 제공한 IF-100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간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소플라본 100 mg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IF-100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혈장의 중성지방을 저하하고 항염증, 항산화효과를 보여 동맥경화예방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사료된다.

Bromobenzene 간손상에 대한 Diallyl Disulfide의 예방효과 (Protective Effect of Diallyl Disulfide on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이상일;윤종국;허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5-192
    • /
    • 1990
  •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 예방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mouse에 bromobenzene을 투여해 간 손상의 model을 만든 다음 실험을 행하였을 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간손상의 정도가 경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예방 효과 기전을 구명할 목적으로 bromobenzene의 활성화 및 해독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검토하였을때 활성화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와 해독 효소의 일종인 epoxide hydrolase의 활성은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해 변동이 없었으나, 나머지 해독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은 유의 하게 증가되었고 이의 포합인자인 glutathion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diallyl disulflde에 의한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 증가현상이 어떠한 기전으로 나타나는지 검토 하였을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 함으로서 Km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Vmax치는 대단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험관내에서 diallyl disulfide의 첨가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에는 효소활성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한 bromobenzene이 유도한 간손상의 예방효과는 diallyl disulfide가 bromobenzene의 독성 중간 대사산물인 bromobenzene 3,4-oxide를 해독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단백의 합성을 유도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어지나 이점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행해져야 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