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n egg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재래닭 5계통의 종 조성 후 생산능력 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roduction Performance of 5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after Establishment of Varieties)

  • 김기곤;강보석;박병호;추효준;권일;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3-204
    • /
    • 2019
  • 본 연구는 1992년 이래 지난 25년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집하여 계통 조성한 한국재래닭 5계통에 대한 생산능력의 변화추이를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총 38,026수를 대상으로 생존율, 체중, 시산일령, 산란지수 및 난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재래닭의 270일간 평균 생존율은 $87.9{\pm}0.8%$로 계통간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연간 생존율의 변화도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재래닭 5계통의 150일령 평균체중은 $1,609.7{\pm}21.3g$이었고, 계통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흑색종의 체중이 가장 높았으며, 회갈색종과 백색종이 가장 낮았다. 년도 별 체중의 변화 양상은 2004년 이후 거의 모든 계통의 체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재래닭 5계통의 평균 시산일령은 $146.9{\pm}1.1$일 정도로서 흑색종이 가장 늦었고, 백색종이 가장 빨랐다. 연간 시산일령의 변화 추이는 2004년부터 급격히 늦어졌다가 2008년 이후 점차적으로 빨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재래닭의 270일 평균 산란지수는 $77.3{\pm}1.7$개이고, 계통 별산란능력간에 있어 황갈색종이 가장 높았고, 흑색종과 회갈색종이 가장 낮았다. 연간 산란지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일관된 변화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한국재래닭의 270일령 평균 난중은 $51.2{\pm}0.3g$으로 흑색종이 가장 무거웠고, 백색종이 가장 가벼웠다. 연간 난중의 변화 추이는 2008년 이후 유의하게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은 2002년 계통조성 이래 지금까지 계통 별 외모형태 및 깃털 색의 고정이 이루어졌고, 더불어 산육능력이 다소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Estimating total lysine requirement for optimised egg production of broiler breeder hens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

  • Kim, Eunjoo;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Shin, Taeg Kyun;Cho, Hyun Min;Kim, Hyeun Bum;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521-532
    • /
    • 2020
  •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hens in response to different levels of total lysine during the early laying period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26 Ross 308 parent stock hens were offered one of seven dietary treatments formulating elevated contents of total lysine ranging from 0.55% to 0.79% (0.04 scale; 133 g of feed) from 23 to 29 weeks of age. Each treatment had six replicates with three birds per pen. Body weight was recorded triweekly and eggs were collected and weighted at 9:00 am daily. One hen from each pen was euthanized to collect blood samples and visceral organs were harvested and weighed.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mass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5%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higher total lysine.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0.75%, and 0.79% total lysine had greater (p = 0.008) egg production rate compared to those offered a diet containing lysine less than 0.71%. The number of total eggs produced tended to be greater (p = 0.083)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and 0.75%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able egg production was higher (p < 0.001) in hens offered a diet contacting 0.79%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lower levels of total lysine. The relative weights of oviduct and ovary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9%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No difference found in body weight, the number of total eggs, double-yolk eggs and abnormal shell eggs among the treatments. The urea nitrogen, estradiol-17 beta and progesteron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Based on linear- and quadratic-plateau models, total lysine requirements for egg production, settable egg production and egg mass at the early laying period were to be 0.73%, 0.77%, and 0.71%, respectively. Modern broiler breeder hens likely require higher total lysine than NRC recommendation in a diet for enhancing productivity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

동절기 산란피크 육용종계 산란기의 에너지 공급체계가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Energy Regimens on Egg Production and Feed Cost of Broiler Breeders Peaked in Winter Season)

  • 함영훈;김상인;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9-175
    • /
    • 2003
  • 동절기에 산란피크 기간의 대부분이 해당되는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에너지공급체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로스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2년 10월부터 2003년 7월까지 40주간(24∼64주령) 표 3과 같은 4가지 에너지공급체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 종란 산란율 및 평균난중은 전반적으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55∼64주령의 산란후기에만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에너지 공급수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2) 사료요구율과 ME 요구량 및 사료비는 모두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CP 요구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P<0.05)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일 ME 공급량을 24주령에 280 kcal로부터 30∼34주령에 400 kcal까지 증가시키고 35주령 이후 380 kcal를 공급하여 전반적인 에너지공급량이 가장 적었던 Tl처리가 산란능력에 지장 없이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 및 사료비를 낮출 수 있었다.

산란계 사료에 대한 Alfalfa Meal의 첨가가 난황 콜레스테롤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Alfalfa Meal on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and Productivity in Laying Hens)

  • 안병기;정태영;김종민;이상진;김삼수;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5-136
    • /
    • 1992
  • 본 연구는 alfalfa meal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난황 착색도, 난황 cholesterol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falfa meal을 밀기울와 대체하여 0, 3.5, 7% 첨가하는 3개 처리에 총192수의 갈색 산란계를 공식하였고, 공시계는 완전임의 배치하여 철제 cage에서 사육하였으며 1991년 7월23일부터 10월 7일까지 10주간에 걸쳐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 기간을 통해 산란율은 alfalfa meal 3.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2. 난중은 alfalfa meal 3.5, 7%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3.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일산란양은 alfalfa meal 3.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4. 1일 사료 섭취양은 alfalfa meal 3.5% 첨가시 가장 많았으나 사료 요구율은 가장 낮았다. 5. 산란 kg당 사료비는 alfalfa meal 3.5% 첨가구가 유의하게 타구에 비해 낮았다(P<0.05). 6. 난질 및 난각질에 있어서 난각후도와 난각중은 alfalfa meal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7. 난황 착색도는 alfalfa meal의 첨가량이 증가할 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8.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난황 cholesterol 함양은 밀기울만을 급여한 구와 비교해서 alfalfa meal을 3.5%, 7% 급여한 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Nutrition Practice to Alleviate the Adverse Effects of Stress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in Peak Producing Hens: I. The Humate Supplementation

  • Hayirli, Armagan;Esenbuga, N.;Macit, M.;Lacin, E.;Karaoglu, M.;Karaca, H.;Yildiz,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310-1319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age density (CD) and humate supplementation (HS)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during the peak production period in hens. Lohman layers (n = 180, 46 wks of age) were block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ages and then allocated randomly to two levels of CD (4 or 6 hens per cage or 540 vs. 360 $cm^2$/hen) and three levels of HS (0, 0.15, and 0.30%). Egg production (EP) and feed consumption (FC) were measured daily; egg weight was measured bi-weekly; and BW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lood and additional egg samples were obtain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for determination of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s repeated measures. Except for FC, CD did not affect laying performance parameters. Hens placed in high-density cages had lower FC than hens placed in normal-density cages. Increasing HS level linearly increased FC, EP,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ere was a CD by HS interaction effect on FC and EP. Hens placed in high-density cages had greater serum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Ca, and P concentrations and tended to have greater serum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than hens placed in normaldensity cages. Increasing HS level linearly increased serum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creatine, and Ca concentrations and linearly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and very low-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s. There was a CD by HS interaction effect on serum glucose and albumin concentrations. There were no alterations in egg quality parameters in response to increasing CD.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decreased linearly and other egg quality parameters did not change as HS level increased. In conclusion, increased caging density adversely affected metabolic profile, despite insignificantly deteriorating laying performance. Moreover, benefits from humate supplementation seem to be more noteworthy for hens housed in stressing conditions than for hens housed in standard conditions.

Low-density Lipoprotein Improves Motility and Plasma Membrane Integrity of Cryopreserved Canine Epididymal Spermatozoa

  • Prapaiwan, N.;Tharasanit, T.;Punjachaipornpol, S.;Yamtang, D.;Roongsitthichai, A.;Moonarmart, W.;Kaeoket, K.;Manee-in,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5호
    • /
    • pp.646-651
    • /
    • 2016
  • Cryopreservation of caudal epididymal spermatozoa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conserve genetic potentials of superior dogs when it is not possible to collect ejaculated spermatozoa. Although hen egg yolk is commonly supplemented into the semen extender, active substances within the egg yolk which protect sperm against cryoinjury remain to be discovered. Among its compositions, low-density lipoprotein (LDL) has been reported to have a cryoprotective property for sperm cryopreservation. However, the effects of LDL on dog epididymal spermatozoa during cryopreservation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DL on epididymal spermatozoa quality following cryopreservation and thawing. After routine castration of 12 dogs, caudal epididymides from individuals were separated from the testes and cut into a few pieces in a Tris-buffer. Spermatozoa recovered from each sample were examined at once for sperm quality and divided into six groups of extender: no LDL, 20% egg yolk, 4%, 8%, 16%, and 24% LDL, before cryopreservation. The sperm aliquots were then equilibrated and conventionally frozen. After thawing, sperm motility, morphology, plasma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integ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4% LDL and 20% egg yolk yielded significantly higher sperm motility (57.69% and 52.69%, respectively, p<0.05) than other LDLs. In addition, 4% LDL yielded the significantly highest plasma membrane integrity (70.54%, p<0.05).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4% LDL in Tris-glucose extender could be applied for cryopreservation of canine epididymal spermatozoa.

닭의 인공수정에 관한 연구 III. 희석정액의 주정량과 주정간격이 수정율, 부화율 및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Artificial Insemination of Hen III. Effects of dosage and insemination interval of diluted semen on fertility, hatchability and egg production)

  • 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8-34
    • /
    • 198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effects fo dosage and insemination interval on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whole semen and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and skim milk dilutor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Whole semen showed higher fertility than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and skim milk dilutors. In case of diluted semen, the fertility was higher in 0.04$m\ell$ dosage than 0.02$m\ell$ and in skim milk than yolk skim milk dilutor. 2. The average fertility in inseminational intervals of 6, 5, 4 and 3 days was 52.4, 35.5, 48.7 and 44.2% in whole semen and 40.6, 17.2, 13.9 and 20.5% in 0.04$m\ell$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dilutor. The fertility was not improved by shortening of insemination interval. 3.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 among the dosage of 0.02$m\ell$ of whole semen, 0.02$m\ell$ and 0.04$m\ell$ of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and among the insemination intervals of 6, 5, 4 and 3 days. 4. Some differences in fertility among the passed days after insemination were decreased in the whole semen by shortening insemination interval from 6 and 5 days to 4 and 3days and also decreased in the diluted semen by shortening it to 3 days and by increasing dosage from 0.02$m\ell$ to 0.04$m\ell$. 5.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passed days during 6 days insemination interval both in the whole semen and the diluted semen. 6. The whole semen and the diluted semen with skim milk had not considerable difference in fertility among the passed days during 3 and 4 days insemination intervals, but the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had. 7.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 from the whole semen diluted semen with yolk skim milk and skim milk dilutor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passed days during 3 and 4 days insemination intervals.

  • PDF

란각질과 란각파열과의 관계 및 란각파열에 영향하는 제요인 (Relationship Between Egg Shell Quality and Shell Breakage and Factors that Affect Shell Breakage)

  • 이유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80
  • 연중 산란수의 6-8%가 산란시부터 소비자에게 이르는 사이에 파란으로 된다. 이들 파란의 대부분은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생물적, 환경적, 관리적 요인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이제까지 논의된 몇 가지 파란발생 요인들을 보면 닭의 연령, 계사의 온도와 습도, 케이지 씨스템과 케이지바닥의 설계, 케이지에 사용된 재료의 종류, 1일 채란회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각종 기구의 원활한 작동여부와 정비상태이다. 이 중에서 닭의 연령, 유전적 체질, 환경온도, 기구의 설계와 정비유지의 양부가 파란생성에 영향하는 중요 요인이라 하겠다.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 간에는 곡선관계에 있으므로 난각질의 조그마한 차이가 파란발생빈도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바. 이제까지 보고된 문헌에 의하면 파란발생 빈도는 l-2%의 낮은 수준에서 35%의 높은 수준에 이르기까지 넓은 변이를 보여주고 있다.

  • PDF

Salmonella enteritidis의 편모항원에 대한 난황항체의 ,생산 x Production of Egg Yolk Antibodies against Flagella Antigen of Salmonella enteritidis

  • 김정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1-167
    • /
    • 1998
  • 가금 및 가축의 살모넬라중을 일으키는 에서 편모항원을 순수분리하고 이를 면역원으로 산란계에 면역하여 난황 중에 형성된 항체와 혈청간에 면역 반응을 조사하고 생산된 에 대한 특이난황 항체의 특이성 검사와 항체회수율 검사를 실시한 결과S. enteritidis는 다음과 같다. 1. S. enteritidis에서 순수 분리한 flagella protein 의 분자량은 54.6 kDa으로 나타났다. 2. 산란계의 혈청중 항체가 형성은 면역 후 2주경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경에 최고의 항체가 수준에 도달하였다. 반면에 난황중 항체가는 면역 후 4주경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경에 혈청항체가 수준과 동일하게 도달되며, 10주 이후에는 혈청항체가 수준보다 높게 형성되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3. S. enteritidis의 flagella protein을 면역원으로 산란계에 면역하여 생산된 난황항체는 주로 S. enteritidis 균주에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E. coli (Kl2:K99, K88+, 987P) 균체에서는 반응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한개의 난으로부터 분리한 IgY의 함량은 106 mg이었으며 회수율은 88.3%였다.

  • PDF

성 감별 유전자를 도입한 다산계계통 신품종 육종에 관한 연구 II. 우량 교배조합 선발 시험 (Breeding of New Synthetic Egg Production Line in Domestic Chicken by Introducing Sex Linked Gene II. Selection of Superior Lines from Cross Breeding)

  • 오봉국;손시환;조윤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
    • /
    • 1993
  • 본 연구는 반성 은색유전자(S:silver gene)를 도입하여 성 감별용 산난종계 계통으로 육성하여 이를 모계통으로 이용함으로서 깃털에 의한 자웅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종강세(heterosis)를 이용한 우수실용계 (commercial chicken)를 작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은 암수감별용 계통으로 조성된 계통을 이용하여 1차년도에는 생산능력이 우수한 계통으로 육종하기 위해 폐쇄군 육종방법 (colosed flock breeding)을 사용하였고, 2차년도에서는 새로 조성된 계통을 활용하여 실용계 작출을 위한 우량 교배조합 선발을 실시하였다. 합성종 계통의 상업용 실용계로서의 산난능력 검정을 위한 교잡시험에서 B$\times$A, B$\times$C 교잡구와 외국도계 2계통, 그리고 국산계 2계통을 대조구로 삼아 56주령까지의 일반능력을 비교한 결과 생존율, 체중 등에 있어서는 교잡구와 대조구간에 차이를 발견하기 못하였다. 산란능력에 있어 초산체령은 170일 전후로 Manina White의 153일을 제외하고는 약 10여일 지연되었으나, 시험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산난지수는 B$\times$A, B$\times$C 교잡구가 각각 186.3, 191.3으로 외국도입계인 ISA 계통보다는 낮았지만 다른 대조구보다는 양호하였다. 산난율의 경우 교잡구가 각각 75.7%, 76.8%로서 ISA계통을 제외한 다른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난중에 있어서는 B$\times$C 교잡구가 64.5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초생추들은 깃털색에 의해 완전하게 자웅감별이 가능함에 따라(99%) 이미 조성된 합성종의 유전적 조성이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교잡시험의 결과를 살펴볼 때 B$\times$A, B$\times$C 교잡구의 산난능력은 다른 외국 도입계와 국산계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시험을 통하여 암수감별용 계통으로 조성된 합성종의 능력은 우수하였으며 앞으로 산난계 개량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