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ight estimation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34초

비행안전구역 건물 높이 평가에서 수치지형도로 제작한 DEM의 활용성 (The Utilization of DEM Made by Digital Map in Height Evaluation of Buildings in a Flying Safety Area)

  • 박종철;김만규;정웅선;한규철;류영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8-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보간 방법으로 다양한 공간해상도를 갖는 여러 가지 DEM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한 다양한 DEM의 수직정확도를 network RTK GPS survey를 통해 획득한 다수의 검사점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인 RMSE 값, 토지 유형별 RMSE 값 및 단면 평가(profile evaluation) 결과 등을 고려할 때 TIN 기반의 Terrain 방법으로 제작한 DEM이 비행안전구역에서의 신축건물 고도제한 평가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비행안전구역에서의 신축건물 고도제한 평가에 적합한 DEM의 공간해상도는 3m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작한 DEM으로 획득한 지형고도 값(elevation value)은 점 추정 값(point estimation value)이 아닌 구간 추정 값(interval estimation value)이다. 이는비행장 주변의 잠재적인 신축 예정 건물의 높이가 그 지역에 설정된 제한 고도 값(height limitation value)에 저촉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 추정 값인 신축건물의 높이 값이 제한 고도 값에 저촉될 가능성을 3단계로 나누어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1) 저촉 가능성 매우 높음, 2) 저촉 가능성 매우 낮음, 3) 저촉 가능성 판단 어려움. 본 연구의 결과는 비행장 주변 건물 고도제한 평가 관련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아울러, 연구지역에 한정된 값이기는 하지만, 2차원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제작한 DEM의 수직정확도 값은 DEM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A STUDY OF TROPOSPHERIC EFFECT ON HIGH PRECISION GPS HEIGHT DETERMINATION

  • Wang, Chuan-Sheng;Liou, Yuei-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382-385
    • /
    • 2007
  • Constantly enhancing positioning accuracy by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chnique is of great importance, but challenging, especially after the GPS positioning technique has been improved considerably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associated main error sources have been reduced substantially, if not eliminated. Troposhpeic influence with its highly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appears to be one of the major error sources. It is hence an increased interest among GPS researchers to reduce the tropospheric influence or delay. Two techniques have been commonly implemented to correct the tropospheric impact. The first technique, known as parameter estimation, characterizes the path delay with empirical models and the parameters of interest are determined from the GPS measurements. The second strategy, termed as external correction, involves independent path delay measurements. The present study is an integration of both techniques in which the parameter estimation as well as external correction are used to correct the path delay for $110{\sim}210$ km range baselines. Twenty-four parameters have been obtained in 24 hours solution by setting the cutoff angle at 3 and 15 degrees for parameter estimation strategy. Measurements from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water vapor radiometer (WVR) are applied in the GPS data processing, separately, as an external strategy of present research work. Interesting results have been found, indicating more stable repeatability in baseline when the external correction strategy is applied especially with the inclusion of WVR observations. The offset of an order of 1 cm is found in the baselines determined by the two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parameter estimation exhibits more stable in terms of GPS height repeatability. The offset in the GPS height determined by the two strategies is on the order of few centimeters.

  • PDF

An Optimality Criterion for Median-unbiased Estimators

  • Sung, N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176-181
    • /
    • 1990
  • Sung [1990] presented an analogue of the classical Cramer-Rao inequality for median-unbiased estimators with continuous multivariate densities depending upon a vector parameter. In the process, diffusivity, a new dispersion measure relevant to median-unbiased estimators, was defined to be a function of median-unbiased estimator's density height. In this paper we shall elaborate these ideas by defining a second kind of diffusivity and discuss the role of model-unbiasedness in median-unbiased estimation in connection with this seconde kind of diffusivity. In addition, median-unbiased estimation will be compared to mean-unbiased estimation.

  • PDF

차량무게중심의 측정 및 추정에 관한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Vehicle Center of Gravity)

  • 이명수;김상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91-99
    • /
    • 2010
  • The center of gravity on vehicle is a fundamentally important point for assessing and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dynamics. Especially, the center of gravity height on vehicles is the closest factor with respect to rollover accidents in a social issue nowadays. In this paper, the center of gravity height in conjunction with vehicle parameters of vehicle weight, driving axle and roof height after measured by vehicle weight and loading location by means of VCGM developed by KATRI with good performance that the accuracy was less than 0.6% and repeatability 0.3% for vehicles being used in the whole world was observed. As a result of study, the location of center of gravity height on vehicle was able to be estimated with only roof height on vehicle.

키넥트를 이용한 실내에서의 키 추정 방법 (Height Estimation using Kinect in the Indoor)

  • 김성민;송종관;윤병우;박장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43-350
    • /
    • 2014
  • 객체 인식은 지능적이고 다양화된 범죄 예방을 위해 감시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사람의 신체 정보인 키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인 특징으로 신원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RGB-Depth 카메라, 키넥트를 활용한 새로운 키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사람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키넥트의 높이를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키넥트에서 머리와 발까지의 거리를 키넥트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키를 추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실내에서 사람의 키를 추정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한다.

쪼그려 앉은 작업자세에서의 작업부하 평가 (Workload Evaluation of Squatting Work Postures)

  • 이인석;정민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7-173
    • /
    • 1998
  • Many workers like welders work in squatting postures with the object on the ground during an entire work shift. It is suspected that such prolonged squatting without any supporting stool would gradually cause musculoskeletal injuries to worker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ysical stress caused by the prolonged squatting and to recommend a safe work/rest schedule for a welding task with squatting posture based on the lab experiments. In this study, 8 healthy student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maintained a squatting work posture for 16 minutes with 4 different stool height conditions: no stool; 10cm height; 15cm height; and 20cm height. Every 2 minutes, the discomfort was subjectively assessed with the magnitude estimation method for the whole body, lower back, upper leg and lower leg. Based on discomfort ratings, we found that a 10cm height stool relieved the workload most. Discomfort rating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 20cm height stool showed the highest workload, and the there were no difference in workload between a 15cm height stool and no stool. We recommend to use low height stools and to maintain such working postures no longer than 6 minutes for prolonged squatting tasks.

  • PDF

EXTRACTING OUTLINE AND ESTIMATING HEIGHT OF LAND FEATURES USING LIDAR DATA

  • Lee, Woo-Kyun;Song, Chul-Ch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81-183
    • /
    • 2006
  • Digital topographic map in Korea contains layers of spatial and attribute data for 8 land features such as railroads, watercourses, roads, buildings and etc. Some of the layers such as building and forest don't include any information about height, which can be just prepared by interpretation of remote sensed data or field survey.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using active pulse and digital camera provides data about height and form of land features. LiDAR data can be used not only to extract the outline of land features but also to estimate the height. This study presents technical availability for extraction and estimation of land feature's outline and height using LiDAR data which composes of natural and artificial land features, and digital aerial photograph which was taken simultaneously with the LiDAR. The estimated location, outline and height of land feature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survey data, and we could find that LiDAR data and digital aerial photograph can be a useful source for estimating the height of land features as well as extracting the outline.

  • PDF

드론 영상을 이용한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 작물 높이의 노지 표현형 분석 (Field Phenotyping of Plant Height in Kenaf (Hibiscus cannabinus L.) using UAV Imagery)

  • 장규진;김재영;김동욱;정용석;김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74-284
    • /
    • 2022
  • 국내 환경에 적합한 케나프 육종을 위해선 비용, 정확도, 속도가 최적으로 설계된 정량적인 고속탐색법(high-throughput)에 기반한 표현형 분석법이 필요하다. 최근 UAV 기반의 원격탐사 기법의 발달로 노지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인자들에 대한 대량 데이터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얻을 수 있으며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요구되는 케나프의 섬유와 가축 사료로서 육종을 위해 해당 목적과 부합한 케나프 높이를 주요 표현형 인자로 선정하여 UAV-RGB에 SfM 알고리즘 기반의 사진 측량 기술을 적용함으로 높이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기존 방법으로 예측한 작물 높이는 바람에 의한 작물의 흔들림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키가 2 m 이상 크게 자라 실측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고정 구조물을 설치하여 기준점을 이용한 모델식으로 기하 보정을 통해 높이 예측성능을 개선하였다. 그 결과 R2는 0.80으로 나타났으며, 보정 전(R2 = 0.80, slope = 0.87, offset = -2.51) 보다 높은 신뢰성(R2 = 0.80, slope = 0.94, offset = -1.62)을 확보하였다. 품종별로 생육단계에 따라 측정한 높이 지도를 통해 얻어진 케나프 키 정보는 품종 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해당 방법으로 예측한 케나프 높이가 섬유와 가축 사료 목적의 육종 선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Detection of Site Environment and Estimation of Stand Yield in Mixed Forest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 정성엽;임종수;이선정;송정은;박효근;이정빈;염규진;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83-92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혼효림에 대한 산림 입지조건을 탐색하고 임분의 생장 및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혼효림의 생장은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을 변수로 하는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여 식을 도출하였으며, 수확량은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임령, 입목밀도 등의 인자를 단계적회귀분석 적용으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국내 혼효림은 다양한 입지에 생육하고 있었는데, 기후대별로는 온대중부권역에 과반수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별로는 101~400 m 지역에 약 62%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 하는 혼효림 생장모형의 적합도(FI)는 흉고직경 0.32, 수고 0.22, 흉고단면적 0.18로 도출되어, 다소 낮은 적합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정식의 실측치와 추정치 간의 관계 그래프 및 잔차 등을 고려할 때, 임령을 설명변수로 이용하는 추정모형의 사용은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혼효림의 수확모형은 여러 생장인자 중 흉고단면적(BA), 지위지수(SI), 임령(Age)이 단계적으로 투입되는 회귀식 Stand volume =-162.6859+6.3434 ∙ BA+9.9214 ∙ SI+0.7271 ∙ Age이 도출되었으며, 식의 설명력 (R2)은 약 96% 였다. 앞서 도출된 최적의 생장 및 수확모형을 이용하여 임시 임분수확표가 만들어 졌다. 또한 임시 임분수확표 자료를 활용하여 혼효림의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