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rainfall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27초

2016년 한반도 장마 강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2016 Changma Rainfall)

  • 김진용;서경환;예상욱;김현경;임소영;이현수;권민호;함유근
    • 대기
    • /
    • 제27권3호
    • /
    • pp.277-290
    • /
    • 2017
  •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2016 Changma period (6/18~7/30) are analyzed in great details. El $Ni{\tilde{n}}o$-induced tropical Indian Ocean (IO) basin-wide warming lasts from spring to early summer and induces the western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WNPSH) circulation anomaly through an equatorial Kelvin wave during the 2016 Changma period. Along the northern edge of the WNPSH, strong precipitation occurred, in particular, over eastern China and southern Japan. During the Changma period, South Korea had the near-normal mean precipitation amount (~332 mm). However, about 226 mm of rain fell in South Korea during 1 July to 6 July, which amounts to 67% of total Changma precipitation in that year. Upper-level synoptic migratory lows and low-level moisture transport played an essential role, especially from 1 July to 3 July, in triggering an abrupt development of fro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astern continent China. The front over the eastern China migrates progressively eastward, which results in heavy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1 to 3 July. In contrast, from 4 to 6 July, the typhoon (NEPARTAK) affected an abrupt northward advance of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NPSH). The northward extension of the NPSH strengthens the Changma front and induces the southerly flow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giving rise to an increase in heavy rainfall. The NEPARTAK is generated due to interaction of the Madden-Julian Oscillation (MJO), equatorial Rossby wave and Kelvin waves.

96년 7월 한탄강유역 집중호우의 특성 분석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Storm of July, 1996 in the Hantan Basin)

  • 윤용남;김재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89-399
    • /
    • 1997
  • 1996년 7월 26일∼28일에 걸쳐 경기북부 및 강원영서 지방에 내린 기록적인 집중호우를 대사으로 연천댐 붕괴의 원인이 된 한탄강유역 호우의 수문기상학적 규모와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한탄강유역 및 인군에 위치한 21개 우량관측소의 시간 우량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 지속시간별 누가우량곡선을 작성·비교함으로써 호우의 공간적 이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천댐유역에 내린 지속시간별 유역 평균 연속강우량을 철원 및 연천우량관측소의 빈도우량과 비교하였을 뿐 아니라, 이 지역의 지속시간별 가능최대수량(PMP)과도 비교함으로써 '96년 7월 호우가 이 지역에서는 기왕 최대기록 호우임을 입증하였다.

  • PDF

국지성 호우 관측을 위한 FPGA 기반의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 (Design of FPGA-based Signal Processing of EWRG for Localized Heavy Rainfall Observation)

  • 최정호;이배규;박형삼;박정민;임상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215-1223
    • /
    • 2020
  • 최근 서울 경기를 비롯한 전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악천후 관련 자연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재 및 물관리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수재해를 관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우량계는 지상의 강우를 연속적·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우량계 미설치 영역에 대한 공간적인 강우 분포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수의 공간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파 기반 센서인 전파강수계(EWRG,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강수계의 FPGA 기반 신호처리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전파강수계의 신호처리는 크게 LFM 파형의 ADC 및 DDC와 펄스압축, 상관 계수 및 강수 파라미터 산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FM 파형과 펄스압축 신호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파강수계 신호처리 설계를 위해서 FPGA 기반의 신호처리 설계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시간강우사상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es of Timely Rainfall Events Above Probability Precipitation on Each Frequency)

  • 오태석;김은철;문영일;안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B호
    • /
    • pp.513-526
    • /
    • 2009
  •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정한 설계빈도에 맞는 치수대책을 수립한다. 일반적으로 설계빈도는 지역의 현황, 중요도뿐만 아니라 확률강우량 등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주요 호우사상에 의해 홍수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속시간별로 최대강우량의 빈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강우사상의 시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과강우량과 초과횟수 및 단위초과강우량을 산정하여 변동성과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강우관측소의 위치와 시간강우량 특성을 이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강우관측소를 군집화 하였다. 군집된 지역을 대상으로 평균초과강우량과 평균초과횟수 및 평균단위초과강우량을 산정하였고, 군집지역별 초과강우량과 초과횟수에 대해 변동성 및 경향성을 분석을 실시하여 시간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강우침투에 의한 산사태 발생 및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Occurrence and Change in the Matric Suction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 서원교;최정해;채병곤;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475-4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모형토조 실험을 통해 강우침투에 의해 나타나는 산사태의 발생특성 및 지반재료의 변화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장치는 모형토조, 강우재현장치, 계측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공사면 상부에서 200 mm/hr의 극한강우를 살수함으로써 산사태를 유발하였다.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 계측장치는 인공사면의 천부(GL-0.2 m), 중부(GL-0.4 m), 심부(GL-0.6 m)의 각 심도별로 3세트씩 설치하였으며, 실험은 화강암 풍화토, 편마암 풍화토, 이암 풍화토 각각에 대한 현장조건과 상대적으로 느슨한 조건 및 조밀한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극한강우에 의하여 실험 초반에는 사면 표층에서 세굴현상이 우세하게 나타나다가 이후 국지적으로 발생한 횡적인 인장균열면을 따라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산사태는 강우침투에 따른 습윤전선(wetting front)의 전이로 인해 천부에서부터 심부로 점차 확장되는 천층파괴(shallow failure)의 형태를 띰과 동시에 사면의 선단부(toe part)에서부터 정상부(crest part)로 점차 전이되는 후퇴성붕괴(retrogressive failure)의 양상을 보였다. 강우침투에 따른 포화영역에서 모관흡수력은 아무런 전조현상 없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에, 체적함수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최대값에 도달하여 이 값을 일정시간 유지한 뒤 산사태 발생 시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산지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_충북 단양1교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Small Mountain Basins Using Rainfall-Runoff Model_Danyang1gyo in Chungbuk)

  • 장형준;이호진;박기순;김성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규모 산지유역을 대상으로 홍수 위험지역에 대한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유출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유역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위치한 단양1교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유역의 수치표고 모형(DEM)을 바탕으로 Q-GIS를 활용하여 유역특성인자를 산정하였다. 또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수문기상자료를 활용 하여 2020년부터 2023년 기간 동안 9개의 호우사상을 선정하였다. 소규모 산지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HEC-HMS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하였으며, 9개의 호우사상과 산정된 유역특성인자를 반영하여 강우-유출 모형 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을 바탕으로 모의된 사상 중 오차율이 크게 발생한 6개의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하여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 후, 소규모 산지 유역인 단양1교 유역에 적합한 매개변수 범위를 0.8~3.4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규모 산지유역에 대한 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역특성에 따른 매개변수 범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실시간 강우자료분석을 활용한 산사태 경보시스템 연구 (Establishment of Early Warning System of Steep Slope Failure Using Real-time Rainfall Data Analysis)

  • 김성욱;최은경;박덕근;박정훈;손성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53-262
    • /
    • 2010
  • In this study, localized heavy rainfall occurred during the collapse of steep slopes adjacent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ensure the safety of residents to build an early warning system was performed. Forecast/Alert range was estimated based on vulnerability landslide map and past disaster history. And established a critical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ainfall and operating a snake line, the study calculated causing and non-causing points. Also, be measured in real-time analysis of rainfall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system before the steep slope failure occurred forecast/Alert System is presented.

  • PDF

Effect of the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ing in Bangga watershed, Central Sulawesi, Indonesia

  • Sutapa, I Waya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87-9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climate change to the level of groundwater recharg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watershed of Bangga by using the Soil Water Balance of MockWyn-UB model. Input data compose of evapotranspiration, monthly rainfall, watershed area, canopy interception, heavy rain factor an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factors (rainfall and temperatu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decreasing trend in annual groundwater recharge observed from 1995 to 2011. The amount of groundwater recharge varied linearly with monthly rainfall and between 3% to 25% of the rainfall. This result implies that rain contributed more than groundwater recharge to runoff and evaporation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and Bangga River discharge depends largely on the rainfall. In order to increase the groundwater recharge in the study area, reforestation programmes should be intensified.

강원지역 산사태발생지의 산불발생이력과 강우특성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forest fire and rainfall on landslide in Gangwon area)

  • 전경재;이승우;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20-1025
    • /
    • 2009
  • Recently, unusual change of weather occurred in world wide region causes localized heavy rainfall and consequently disasters like landslide and debris flow in steep slope area. And the main factors of these disasters are rainfall and forest fire. To verify the existing landslide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information about landslide and rainfall were collected for a data base system and analy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