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risks from tap wat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Drinking Water and Changes During Storage

  • Kim, Jong-Gyu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17-521
    • /
    • 2007
  • To assess possible risks from the consumption of drinking water from various sources, a survey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tap water, commercial bottled drinking water which is exploited from natural mineral water, and natural spring water was conducted. A total of 4 different brands of commercial bottled drinking water, and 4 types of spring water from different sources, and tap water from 4 private houses were tested for four index microorganisms, and the microbial quality changes of the water during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or refrigerated temperature for 7 days. Aerobic plate counts of all of the initial water samples were still within 100 CFU/ml (drinking water standard of Korea). Total coliforms, fecal coliforms, and E. coli were not detected in all of the water samples at initial. However, aerobic plate counts of three types of spring water and three types of bottled drinking water stored at room temperature showed higher levels than the standards in 5 days. Total coliforms were detected in three types of spring water after one day's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in one type of bottled drinking water after 5 days'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of the spring water surveyed are not safe to drink, and the spring water and bottled drinking water after opening the lid should not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if they are used for drinking.

비시장재에 대한 WTP와 WTA 격차에 대한 실증분석 : 실험시장접근법을 이용한 음용수 건강위험을 사례로 (Empirical Analysis on the Disparity between Willingness to Pay and Willingness to Accept for Drinking Water Risks : Using Experimental Market Method)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5-166
    • /
    • 2008
  • 비시장재의 변화에 의한 후생변화 측정치로서 쓰이는 지불의사(WTP)와 수용의사(WTA) 개념은 경제이론적으로는 소득효과가 크지 않다면 서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실증분석결과들은 WTA 측정치가 WTP의 측정치보다 훨씬 큰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실험시장접근법을 사용하여 비시장재의 하나인 먹는 물에 잔류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비소, 납, 트리할로메탄 중의 하나)로부터의 건강위험변화에 대한 WTP와 WTA를 측정하고 이 두 측정치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들 15명씩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총 여섯 번의 실험시장을 개설하였다. 시장거래경험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사적 시장재인 캔디바 실험경매도 도입하였고, 반복경험에 따른 학습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20번의 실험경매를 시도하였고, 정보제공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10번째 경매 후에 객관적 건강위험에 관한 확률정보를 제공하였다. 시장재 비시장재의 구분없이 첫 번째 실험경매에서는 WTA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WTP를 초과하였다. 실험경매가 진행됨에 따라 사적 시장재는 WTA와 WTP의 차이가 사라지고 시장평균가격에 수렴하였다. 그러나 비시장재인 건강위험변화에 대한 결과는 혼재되어 있었다. 건강위험이 가장 큰 비소에 대해서는 건강위험 감소에 대한 WTP가 건강위험 증가에 대한 WT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반면에 건강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납과 트리할로메탄에 대해서는 WTP와 WTA의 평균이 같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었다. 실험참가자들은 실험경매 중간에 제공된 건강위험정보에 대해 합리적으로 반응하였고, 실험경매가 진행됨에 따라 경험획득에 의한 학습효과도 긍정적이었다. WTP는 실험 초반에 학습효과가 주로 관찰된 반면에 WTA 측정치는 실험경매 후반에 학습효과가 관찰되었다.

  • PDF

수돗물에서의 대장균군 재생장과 손상 대장균군 (Coliform Regrowth and Injured Coliforms in Public Water Supply)

  • 박성주;조재창;김상종
    • 환경위생공학
    • /
    • 제9권2호
    • /
    • pp.50-57
    • /
    • 1994
  • Densities of total and injured coliforms in treated water( TW ) and three tap water salt pies( Taps Kl, K2 and K3) of Ku- eui water treatment plant and one tap water sample( Tap T) of Tuk- do water treatment plant were measured 23 times from 1991 to 1992. Coliform regrowth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occurred three times during the study period. When the regrowth episode occurred, injured coliforms were always but total coliforms were not always detected in treated water. Mean densities of total coliforms in TW, and Taps Kl, K2, K3 and T were 0.8, 2.3, 1.9, 1.4 and 2.1 cfu/100mℓ by membrane filtration method using m- TF agar and those of injured coliforms were 3.4, 2.8, 2.5, 2.7 and 2.9 c1u/100mℓ using mondo- LES agar. The injury rates of TW and Taps Kl, K2, K3 and T were 89.5,77.4,67.9, 82.8 and 75.9%, respectively. The high injury rate of coliform bacteria in Seoul water supply can cause regrowth problems in distribution systems due to the repair of injured cells under an appropriate condition. It is recommended the injured coliforms should be measured in drinking water since they can lead to a significant underestimation of total coliforms and result in an inaccurat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health risks.

  • PDF

소비자들의 수돗물에 대한 주관적 위험인지와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진술선호 분석 (Consumers' Subjective Risk Perceptions of Tab Water and Stated Preferences for Safe Drinking Water)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7-175
    • /
    • 2006
  • 본 연구는 환경오염물질로부터의 건강위험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세 가지 요소인 위험인지(perceptions), 자기보호행동(behavior) 그리고 가치평가(valuation)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소비자들의 수돗물 음용과 관련한 건강 위해 가능성에 대한 염려와 우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나아가서 건강상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를, 정책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유해물질인 비소를 사례로 조건부행동접근법(contingent behavior method)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라북도 지방에 거주하는 50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수돗물에 잔류된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위험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우려와 염려의 심각성이 산발적이고 임의적이라기보다는 나이, 성별 그리고 가족수 등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이질적이지만 체계적으로 반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주관적인 위험인식은 또한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응답자들에게 제시된 객관적 건강위험정보는 단독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실제 위험회피행동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와의 상호작용이 허용되자 안전한 음용수의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물론 실제 시장구매상황에서 익숙한 가격의 차이 역시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진술된 선호를 설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였다. 또한 가상선택에 참여하지 않은 무응답자들을 제외할 경우 표본선택편의의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이러한 표본선택편의는 특히 가격변수의 계수추정치에 영향을 미쳤으며, 결과적으로 건강위험 감소에 대한 지불의사 추정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에서 수돗물 사용 중에 방출되는 chloroform에 대한 흡입노출 (Inhalation Exposure to Chloroform Released from Household Uses of Chlorinated Tap Water)

  • 신혜숙;김희갑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0-125
    • /
    • 2004
  • Exposure to volatile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such as chloroform included in chlorinated tap water can occur during household activities via inhalation as well as ingestion and dermal absor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inhalation route of exposure since humans are unintentionally exposed to volatile DBPs while staying home. Two set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n apartment to measure: 1) the variation of chloroform concentrations in the living room air following kitchen activities (cooking and dish-washing); and 2) the variation of chloroform concentrations in the bathroom and living room following showering. Cooking, dish-washing, and showering all contributed to the elevation of household chloroform levels. Even a few minutes of natural ventilation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chloroform levels to the background. Estimates of daily chloroform doses and lifetime cancer risks suggested that inhalation of household air during staying home be a major route of exposure to chloroform and that ingestion be a minor one in Korean people. It is also suggested that ventilation be a simple and important measure of mitigating human exposure to volatile DBPs indoors.

실험시장접근법을 이용한 먹는 물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 측정 (Valuing Drinking Water Risk Reductions Using Experimental Market Method)

  • 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9권4호
    • /
    • pp.747-771
    • /
    • 2000
  •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study to elicit willingness to pay (WTP) for changes in health risks from exposure to As, Pb, THM in tap water using experimental market method. The experimental market method, compared with other non-market valuation methods, allows us to use incentive compatible demand revealing scheme, to acquire market-like experience through repetitive auctions, and to incorporate learning process by providing new information during the session. Participants seemed to utilize the objective risk information in a 'rational' manner, and to change their WTP bids accordingly. Moreover they were able to reduce the 'ambiguity' in risk perception processes when objective risk probabilities provided are quite different from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Nonetheless, anchoring effects appeared to be still persistent in spite of market-like experience and learning opportunity. And implicit values entailed by WTP bid/risk tradeoffs indicate a wide variation in values across alternative risk reductions and overrated responses to very small risk reductions.

  • PDF

환경성 발암물질의 용량-반응모델의 이론적 근거와 응용에 관한 연구 - 음용수 중 chloroform을 중심으로 (Scientific rationale and applicability of dose-response models for environmental carcinogens)

  • 신동천;정용;김종만;이성임;황만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27-41
    • /
    • 1996
  • This study described methods to predict human health risk associated with exposure to environmental carcinogens using animal bioassay data. Also, biological assumption for various dose-response models were review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risk estimate using relevant dose-response models such as Log-normal, Mantel-Bryan, Weibull and Multistage model, we used four animal carcinogenesis bioassy data of chloroform and chloroform concentrations of tap water measured in large cities of Korea from 1987 to 1995. As a result, in the case of using average concentration in exposure data and 95% upper boud unit risk of Multistge model, excess cancer risk(RISK I) was about $1.9\times10^{-6}$, in the case of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umulative exposure data and unit risks, those risks(RISK II) which were simulated by Monte-Carlo analysis were about $2.4\times10^{-6}\;and\;7.9\times10^{-5}$ at 50 and 95 percentile, respectively. Therefore risk estimated by Monte-Carlo analysis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nput variables may be more conservative.

  • PDF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유창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7-601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