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functional food percep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4초

건강 메시지의 독이성과 소통 효과 (Readability of Health Messages and Its Communicative Effect)

  • 유명순;주영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7-36
    • /
    • 2012
  • Objectives: Developing efficient health messages is important for improving health behaviors at a societal level. This study attempts to test a few variables that could constitute the elements for measuring readability of health message. The number of subject-verb relationships in a sentence, placement of jargon, i.e., explication before or after each jargon, and the number of less familiar Chinese characters were manipulated to hypothetically differentiate readability. Methods: In a $2{\times}2$ mixed factorial experiment, 152 college students read two health messages regarding side effect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energy drink. The participants' perceived readability was asked, and eight question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health information. Results: Those who read messages manipulated to have high readability rated the messag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read messages with low readability. Also, the former answered the questions more correctly than the latter, implying the association between readability and knowledge acquisition regarding health. Conclusions: Readability is suggested as a factor determining the effect of health messages in affecting the public's health risk perception and relevant behaviors. Further studies to sophisticate the measurement itself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ctual public messages with different readabilities are suggested.

Dietary supplement us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and Korea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Linxi Huang;Hye-Jong Yoo;Satoko Abe;Jihyun Y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41-355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e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has shown an increase among young people in their 20s. We aimed to compare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between Chinese international and Korean college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SUBJECTS/METHODS: We conducted online surveys of 40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452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January to February 2021. We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by these students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pproximately 65% of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93%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onsumed dietary supplements at least once in the year preceding the survey. The common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consumed by both groups of students were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Lactobacillus products, and red ginseng produc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erception of the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by family and friends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dietary supplements. This effect was higher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an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P < 0.01). Attitude toward dietary supplement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use, and this effect was higher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a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P < 0.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elf-reported health status, interest in health,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ietary supplements, and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it was associated with exercise frequency and attitude toward dietary supplement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between Chinese international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on dietary supplements need to have differentiated content for each group. Such differences also suggest that the industry should consider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ile developing and marketing dietary supplements.

Korean consumers' perceptions of health/functional food claim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cientific evidence

  • Kim, Ji-Yeon;Kang, Eun-Jin;Kwon, O-Ran;Kim, Gun-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428-432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consumers could differentiate between levels of claims and clarify how a visual aid influences consum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claim levels. We interviewed 2,000 consumers in 13 shopping malls on their perception of and confidence in different levels of health claims using seven point scales. The average confidence scores given by participants were 4.17 for the probable level and 4.07 for the possible level; the score for the probabl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the possible level (P < 0.05). Scores for confidence in claims after reading labels with and without a visual aid were 5.27 and 4.43, respectively; the score for labeling with a visual a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labeling without a visual aid (P < 0.01). Our results provide compelling evidence that providing health claims with qualifying language differentiating levels of scientific evidence can help consumers understand the strength of scientific evidence behind those claims. Moreover, when a visual aid was included, consumers perceived the scientific levels more clearly and had greater confidence in their meanings than when a visual aid was not included. Although this result suggests that consumers react differently to different claim levels, it is not yet clear whether consumers understand the variations in the degree of scientific support.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체형 및 체중조절 인식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Control or Functional Health Foods)

  • 이효진;원혜숙;곽진숙;김미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3호
    • /
    • pp.243-254
    • /
    • 2011
  •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1)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 연령 $34.2{\pm}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체중 및 비만 (BMI ${\geq}$ 23)이 64.6%, 정상범주 (BMI < 23.0)인 사람들이 35.4%를 차지하여,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도 상업용 제품을 비교적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2) 체형인식은 73.4%가 '살찐 편'으로, 체형만족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BMI ${\geq}$ 23인 사람들은 '남자'또는 '만 35~44세' 또는 '기혼' 또는 '사무직 등' 또는 '주부'라는 특성을 갖으며, BMI < 23인 사람들은 '여자', 또는 '만 25~34세' 또는 '미혼'또는 직업은 '서비스직 등'와 '대학생 등'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3) 체중조절인식 조사결과, 다이어트시 중점 사항은 '체중감량'이 가장 우선이며, 이를 일반특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남자는 '체지방 감소'에, 여자는 '체중감량'에, 미혼은 '체지방 감소', '건강회복', '몸매개선'에, 기혼은 '체중감량', '체중증가 억제'에, 또한 BMI ${\geq}$ 23인 사람들은 '체중감량'과 '체지방 감소'에, BMI < 23인 사람들은 '건강회복'과 '몸매개선'에 더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어트 동기로는 '정상체중 유지' (25.6%), '산후 체중조절' (7%), '건강관리'(9%) 등의 객관적인 동기는 42.1%, 보다 주관적인 동기인 '남의 시선 의식',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위해'등은 57.9%로 나타났다. 4) 두 제품유형을 섭취하는 사람들 간의 체형인식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상체중 유지' (29.3%)와 '건강관리를 위해' (12.7%) 라는 동기가 우선이었고, '체지방감소', '체중증가 억제'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위해' (35.8%)라는 동기가 가장 높았고, '체중 감량'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레스토랑 이용자들의 건강자각도에 따른 외식 태도 (Healthy Dining Out Attitude of Restaurant Diners by Self-Rated Health Status)

  • 윤혜려;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3-329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lthy dining out attitude of restaurant diners by self-rated health status. Using healthy dining attitude and behavior questionnaire and a single question describing self-rated health status, the needs and importance of healthy dining out was detected. Mean age of the 182 respondents was 38.9${\pm}$11.37 years old and 37.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ir mean monthly income was over 6,000,000won showing the subjects belonged in high income diners. The needs of healthy dining measured by five scales and offering healthy menus(3.80), labeling foods about original country(3.79),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tuffs(3.71) and labeling nutrients on menu board(3.62) show higher score than others. A total of 76.4% of the respondents assessed their health status as 'good-rated Health' and 23.6% was 'poor-rated heal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frequency of eating out by self-perception of health status but, the 'poor-rated health' group need more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 specially for calorie(p<0.05), cholesterol(p<0.05), fiber(p<0.05), functional nutrients(p<0.001)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o 'good-rated health' group. In good-rated health group, selection of Korean cuisine for eating out was more frequent than the poor. The results shows the needs of healthy dining can be varied by diner's health status and therefore restaurateur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diners with various health status.

수단-목적 사슬 이론의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한식에 대한 한국인의 가치체계 연구 (Exploring Motivations of Koreans Towards Korean Foods: Application of Means-end Chain Theory Approach)

  • 이경원;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8
    • /
    • 2017
  • To enrich a country's food culture, it is essential that residents understand and care about that culture. Although various efforts to globalize Korean food have been made outside Korea,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Koreans' perception of and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food has been neglecte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gnitive structures regarding Korean food among 30 Koreans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using in-depth laddering interviews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The most dominant cognitive structures toward Korean food were familiarity (attributes), ease of digestion and health (functional consequenc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will to live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family affe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values). In short, Koreans were found to consume Korean food to achieve perceived high-dimensional values rather than simply for its attributes or benefit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strategies and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Korean food consumption by Koreans, as they suggest that underlying and symbolic values rather than the attributes of Korean food ar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its consumption. Further studies on 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values using a larger Korean population are needed to preserve and further develop Korean food.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 및 이해도 향상을 위한 표시제도 연구 (A Study on Labeling Regulation for Reliability and Understanding Improv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 강은진;김지연;권오란;김명철;김건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1
    • /
    • 2008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비자가 쉽게 건강기능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모를 통하여 인증마크를 개발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등 2000명으로 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의 필요도가 매우 높았고, 텍스트 형태보다 텍스트/그래픽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 기능정보의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인체에 작용하는 기전을 포함한 영양 기능정보가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 음청류의 테이크아웃 음료 개발을 위한 소비자 조사 (A Survey on the Plans to Market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 박은영;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1-508
    • /
    • 2007
  • With the goal of searching for the ways to help market traditional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ver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ir perceptions of importance in choosing traditional beverages and conventional drinks were examined for difference. As a result, taste, reliability, health, flavor, and price were important at general beverage, while taste, health, flavor, reliability, price, and color were in choosing traditional beverages. The participants mentioned recovery from fatigue as the most favorable added feature of traditional beverages, which was followed by beneficial for adult diseases and facilitating digestion. Their preferences toward using them to satisfying a sense of hunger was relatively low. The participants preferred price range was $3,000{\sim}3,500$ won, their favorite ingredients were functional ones, and their favorite shop design was a traditional style. It seems that the marketability of traditional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is high.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efforts should involve marketing to women, differentiation strategies from other drinks, a graceful image, reliable drinks, an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recovery from fatigue and can benefit adult diseases.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국내거주 미국인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연구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Americans in Korea toward Edible Insect-based Pet Food)

  • 김서영;배가은;양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93-502
    • /
    • 2021
  •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성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식품시장 규모가 가장 큰 국가가 미국임을 고려하여 미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재한 미국인 1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토론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자유 연상 인식을 관찰하였고, 이후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관련 언론 정보를 제공한 후 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시하여 구매 맥락에서의 소비자 태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식용곤충 원료에 대해 자유 연상 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과 같은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고 이와 관련한 구체적 언론 정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구매 맥락에서는 오히려 환경적 가치보다 '저 알레르기', '고단백질', '피부/모질 개선' 등과 같은 영양 및 건강기능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용곤충 원료에 대한 거부감'은 일반 식품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식품에서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상황에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의 환경적, 영양적, 건강기능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식용곤충 원료 산업에서 시도하고 있는 반려동물 식품 시장 진출 전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전북지역 일부 학교 영양사의 건강기능식품 인식 및 이용실태 (School Dietitians' Perceptions and Intake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n Jeonbuk Province)

  • 강영자;정수진;양지애;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72-1181
    • /
    • 2007
  • 본 연구는 전북지역 학교 영양사 226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여자가 98.7%였고, 연령은 30${\sim}$39세가 73.5%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대졸이 82.7%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은 기혼이 78.8%를 차지하였다. 현재 자신의 건강상태 인지는 ‘보통이다’가 53.5%, ‘건강한 편이다’ 34.1%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시행 사실을 69.0%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식품과 질병과의 관계 인지도는 ‘매우 관계가 있다’가 68.6%,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가 31.4%로 조사되어 식품과 질병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cdot}$판매 회사의 홍보나 광고에 대해 93.8%가 '허위 과대 선전이 많은 것 같다’고 응답하였고, 유통구조에 대해서도 60%가 '잘 되어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건강기능식품 제조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가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안전성 제고 및 효능 검증이 79.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습관(3.9)>스트레스 해소(3.73)>규칙적인 생활(3.7)>휴식 및 수면(3.66)>운동(3.62)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건강기능식품(2.07)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실태는 61.9%가 섭취한 경험이 있었고, 섭취종류는 영양보충용제품(57.9%)>홍삼제품(52.9%)>클로렐라제품(30.0%) 순으로 섭취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이유는 피로회복(25.7%)>질병의 예방(22.9%)>영양보충(22.1)>주변의 권유(11.4%) 순이었다. 구입방법은 방문판매원을 통해서가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균구입비용은 26만원 이상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 표시 설명서 이해정도는 42.1%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섭취 후 효과는 ‘그저 그러함’이 6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22.1%만이 재구매 의사가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효능을 믿을 수가 없어서’가 68.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부정적인 견해는 ‘비싸게 판매’ 34.3%, ‘과대선전으로 소비자를 속인다’와 ‘안정성에 대한 보장이나 정보가 부족하다’가 각각 27.9%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고려요인은 부작용(4.72)>복용 후 효과(4.59)>청결도(4.51)>회사신뢰도(4.29) 순으로 나타나 부작용과 복용 후 효과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과 섭취의 기회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영양학 분야에 전문가인 영양사조차도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정 및 시행사실 인식부족 및 건강기능식품의 정확한 인식 및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양사의 직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기능식품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건강기능식품 원료 및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능력과 그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효능에 관한 최신 연구들의 정확한 정보 확보와 적용이 필요하며 둘째,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상태 유지 및 질병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므로 식사의 일부로 간주하여 교육을 실시해야하고 셋째, 차후 학교에서 영양상담실을 설치하여 운영할 경우 학생, 일반교사 및 학부모 대상으로 교육을 할 경우 건강기능식품은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주지시키고 전달해야하며 넷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 정보교류 활성화 및 보수교육 등을 통해 영양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많은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