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xtent of inequality in health outcomes and the distribution of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health need u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terview survey during one month of October, 1994.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0, 875 of the employees and the self-employed selected through cluster, systematic sampl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s in morbidity rates by socio-economic group showed that health inequality in the pro-higher groups existed in all self-reported morbidity indicators. 2. The findings of the conventional use measures showed that the lower socio-economic groups had more ambulatory and inpatient services than the higher groups. In contrast to the level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however, the higher socio-economic groups were more likely to use the high-quality source of care in terms of their treatment place compared to the lower groups. 3. By using the need-based use measures,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each use-disability ration indicator. Using the use-disability ration measured by physician visits per 100 restricted-activity days in the popu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vidence favoring the higher socio-economic groups. In contrast, the use-disability ration based on physician visits per a chronic patient in one year displayed that there was remarkable relative difference by income group as well as the evidence of the pro-higher income groups. 4.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wo-stage estimation method indicated that although the utiliza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ype and duration of insurance coverage, the use or nonuse of service and the volume of physician care consumed is determined by health need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ter than economic status. In s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ysician service is equitably distributed according to health need u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As there were some evidences of inequality including the differential in physician visits of chronic patients by income group, however,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activities to guarantee the equity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at pricing multiple on and incremental explanatory power of equity book value(earnings) increase(decrease) as financial health decrease. Test using a sample of 75 bankrupt firms and test using a cross-sectional, pooled sample both yield inference consistent with predictions. It is thus hypothesized that the more bankrupt time we, the higher(lower) pricing multiple book value of equity(earnings) obtained. Findings are robust to inclusion of for debt/assets ratio, ROA, and ROIC. Overall, the results is the hypothesi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urrent global health education and suggest its future direction for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fter reviewing literature to identify key concepts applicable to global health nursing curricula, the authors analyzed global health curricula from 98 nursing colleges by using a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Results: Among the 201 nursing colleges, 98 (48.8%) schools offered one or more global health-related courses. The titles of these cours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 nursing. Multicultural courses were offered mainly for freshmen (40.5%) or sophomore students (40.5%), whereas international nursing courses were offered mainly for senior students (35.9%). These courses trained nursing students to be culturally competent in providing nursing care for immigrants or foreign travelers living in South Korea. Conclusions: It is evident that interest in global health education is growing in South Korea. However, the scope and content of global health education needs to be broadened beyond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 nursing so that it can prepare nursing students to promote global health equity, reduce global health disparities, and work competently with globally-focused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edical institution's brand equity on the users' trust and brand loyalty and further on price premium with trust and brand loyalty as the parameters. For that purpose, a survey was taken among 448 people that used service at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hospital in Busan. The results show that such brand equity components as the associated image of the brand and perceived qua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lationships with trust with the latte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s. Brand recognition, associated image of the brand, and perceived quality all had significant impacts on brand loyalty. The associated image of the brand had the biggest impacts, being followed b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recognition in the order. Trust had positive impacts on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bout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which suggests that medical institutions can increase their users' brand loyalty and intention for re-use by promoting their trust in them. While brand loyalty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users' price premium, trust did not.
Tania King;Humaira Maheen;Yamna Taouk;Anthony D. LaMontagne
Safety and Health at Work
/
제14권2호
/
pp.193-200
/
2023
Background: International evidence shows that mining workers are at greater risk of suicide than other workers;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this applies to the Australian mining sector. Method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Coronial Information System, rates of suicide among male mining worker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ree comparators: construction workers, mining and construction workers combined, and all other workers. Age-standardized suicide rates were calculated for 2001-2019 and across three intervals '2001-2006', '2007-2011', and '2012-2019'. Incidence rate ratios for suicide were calculated to compare incidence rates for mining workers, to those of the three comparative groups. Results: The suicide rate for male mining workers in Australia was estimated to be between 11 and 25 per 100,000 (likely closer to 25 per 100,000) over the period of 2001-2019. There was also evidence that the suicide rate among mining workers is increasing, and the suicide rate among mining workers for the period 2012-201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worker group. Conclusions: Based on available data, we tentatively deduce that suicide mortality among male mining workers is of concern. More information is needed on both industry and occupation of suicide decedents in order to better assess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mining workers (and other industries and occupations) are at increased risk of suicide.
청소년기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개인의 전반적인 사회·정서적 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 시기 건강관련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형평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20) 자료를 이용하여 39,987명의 청소년을 분석하였다. 건강형평성은 거주 지역, 학생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여건, 가구의 풍요도, 가족형태, 부모 교육수준 등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소 자신의 건강이 어떠하다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에 건강군("매우 건강하다", "건강하다")과 불 건강군("보통이다", "건강하지 않다", "매우 건강하지 않다")으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유의한 요인은 거주 지역(OR=0.865, p=.031), 경제 수준(OR=1.338-2.095, p<.001), 가족 형태(OR=1.245, p=.033)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경제수준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경제수준이 낮은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 is under great controversy. Over the last 30 years, main goal of health policies was to pursue equal access of health care services. However, another goal of health policies laid on efficiency and Quality of care, it had lower priorities. Superficially, controversy stems from priority setting among goals of health care system, equity, efficiency and quality. At a deeper level, arguments arise from disagreement and confusion about the values of Korean health care system. One of the value spectrums believes that health care is the basic right of human beings, therefore it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on need approach, and needs are known to be decided by professionals. If we accept need approach, health care is a pubic good. Another value of spectrums considers that health care should be distributed on demand approach. Demand approach means that health care is a consumption good on the positive economics, while normative judgement believes that health care is a public good. In equity aspect, health care is considered as a public good. Over the last several years, some of scholars proposed health care reform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which is based on demand approach. Others argue that the competition principle based on demand approach is not appropriate for the reform proposal, because health care has to be approached on need base. If we do not make explicit values we should adopt, consensus building for reform is nearly impossible.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will review an ideology and reality in health policies in Korea.
Objectives: Health promotion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s among Korea, Japan and US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and involved overview of health promotion plans, formulation of policy, evaluation, monitoring and research, implementation in each countries. I got the some literatures over the governmental websites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on. The data from each country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Results: The goals of Healthy People 2020 are to attain high-quality, longer lives, to achieve health equity, to creat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to promote quality of life across all life stages. Those of Healthy Japan 21 are increasing the year of healthy life and reducing health disparities. and Those of Health Plan 2020 are prolonging of healthy age and improvement of healthy equity. The number of topic areas and objectives of health promotion in each countries were different. Healthy People 2020 lacks participation of community people and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tation, evaluation. Conclusion: The planning models of health promotion were different among countries. But they reflect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health plan goals of Korea were similar to Japan. but were different from USA.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ystems of USA and Japan were systematic and performed well than those of Korea.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