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ag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6초

Chitosan이 치주인대, 두개관 및 치은섬유아세포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ontal ligament, calvaria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 김선희;권영혁;이만섭;박준봉;허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17-35
    • /
    • 1998
  • Chitosan, with a chemical structure similar to hyaluronic acid, has been implicated as a wound healing ag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itosan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calvaria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and to define the effects of chitosan on bone formation in vitro. In control group, the cells were cultured alone with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100unit/ml penicillin, $100{\mu}g/ml$ streptomycin, $0.5{\mu}g/ml$ amphotericin-B. In experimental group, chitosan($40{\mu}g/ml$) is added into the above culture condition. And then each group was characterized by examining the cell proliferation at 1,3,5,7,9,12,15 day, the amount of total protein synthesi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3, 7 day and the ability to produce mineralized nodules of rat calvaria cell at 11 d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t early time both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calvaria cells in chitosan-treated group proliferated more rapidly than in non-treated control group, but chitosan-treated group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t 9 days and calvaria cells at 12days showed lower growth rate than control group. Gingival fibroblast in chitosan-treated group had lower growth rate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2. Both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calvaria cells in chitosan-treated group showed much protein synthesis than in control group at 3 days, but showed fewer than in control group at 7 days. Amount of total protein synthesis of gingival fibroblast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P< 0.01). 3. At 3 and 7 day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calvaria cells was increased in chitosan-treated group, but at 7 days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of calvaria cells (P< 0.01).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gingival fibroblast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P<0.01). 4. Mineralized nodules in chitosan-treated group of rat calvaria cells were more than in control group. In summery, chitosan had an effect on the proliferation, protein systhesi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calvaria cells, and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bone. It is thought that these effects can be used clinically in periodontal regeneration therapy.

  • PDF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1/O/W2) 에멀젼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Water in Oil in Water (W1/O/W2) Emulsion Containing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 서동환;이홍선;윤종혁;김연준;변상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3-313
    • /
    • 2015
  •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은 병풀에서 얻은 난용성 추출물로 상처치유 및 항주름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CA를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_1/O/W_2$) 에멀젼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실험 조건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TECA의 용해도는 UV 흡광도계를 이용하였으며, 디프로필렌글라이콜(40.0 g), 에탄올(20.0 g) 및 정제수(10.0 g)의 조성에서 2.55 g의 TECA가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멀젼($W_1/O$, $W_1/O/W_2$)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W_1/O$ 에멀젼의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수상 조건은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에탄올 : 정제수 : TECA가 40.0 : 20.0 : 10.0 : 2.5%(w/w), 유상 조건은 스쿠알란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 세테아릴알코올이 22.5 : 4.0 : 1.0%(w/w)임을 확인하였다. $W_1/O/W_2$ 멀티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정제수 : $W_1/O$ 에멀젼 : 폴리소르베이트 80 : 카보머 : 트리에탄올아민의 비율이 55.8 : 40.0 : 4.0 : 0.1 : 0.1% (w/w)임을 확인하였다.

유방암세포에서 세포외 소포체 분비 감소를 통한 glabridin의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glabridin by re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secre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최상헌;황진현;백문창;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40-2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세포 라인인 MDA-MB-231 세포에서 GD에 의해 EVs분비 억제에 의한 항암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MDA-MB-231 세포에 GD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률을 억제하는 것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ROS 염색과 apoptosis marker 단백질인 p-JNK단백질의 증가를 통해 GD에 의한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세포사멸에 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wound-healing assay, 세포 침윤 및 VEGF 농도를 측정한 결과 GD가 암세포의 이동, 전이 능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sight를 통해서 MDA-MB-231 세포에서 분비되는 대조군 EVs 및 GD에 의해 변화된 EVs의 사이즈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D를 처리한 MDA-MB-231 세포에서 분비된 EVs보다 GD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분비된 EVs의 단백질 및 particles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을 하였다. 그리고 GD가 MDA-MB-231 세포에서 EVs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대표적인 exosome marker인 TSG101, CD63의 발현 감소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GD가 암세포의 EVs 분비를 감소시켜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D가 인간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EVs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GD가 유방암의 화학요법 약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DTA, 염산 테트라싸이클린, 구연산 처치가 치근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TA, Tetracycline-HCl, and Citric Acid on Diseased Root Surfaces; The SEM Study)

  • 안성희;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61-578
    • /
    • 1999
  • Th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is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by the removal of microorganisms and their toxic products from the periodontally diseased root surface. To achieve periodontal regeneration, root conditioning as an adjunct to root planing has been done. There are low pH etchants such as citric acid, tetracycline-HCl, and EDTA solution which is a neutral chelating agen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conditioning by citric acid, tetracycline HCl, and EDTA. Total 35 root specimens(6${\times}$3${\times}$2mm) were prepared from the periodontally diseased teeth, scaled and root planed. The specimens were treated with normal saline for 1 minute, saturated citric acid(pH 1) for 3 minutes, 50mg/ml tetracycline-HCl(pH 2) for 5 minutes, 15% EDTA(pH 7) for 5 minutes using rubbing technique. The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t 1000, and 3000 magnification. On the microphotographs taken at 1000 magnification, the numbers of opened and patent dentinal tubules per unit area(10,640${\mu}m^2$) were counted. And the diameters of opened dentinal tubules per unit are (10,640${\mu}m^2$) were measured. The differences of number and diameter among all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Kruskal Wallis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pecimens applied with normal saline(control group), the root surface was finely cracked, and was covered by irregular smear layer. Neither exposed dentinal tubules nor any patent dentinal tubules could be seen. 2. In the specimens applied with saturated citric acid(experimental 1 group), the globular collagen fibers were exposed around the peritubular space, and many dentinal tubules were revealed. 3. In the specimens applied with tetracycline-HCl(experimental 2 group), the process-like collagen fibers were exposed around the peritubular space, and some dentinal tubules were revealed. 4. In the specimens applied with 15% EDTA(experimental 3 group), the root surface was covered by the collagenous fibrillar network, and many dentinal tubules were revealed. 5. The numbers of opened and patent dentinal tubules were significantly more in exp. 1 group and exp. 3 group than in exp. 2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 1 group and exp. 3 group. I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opened and patent dentinal tubules could not be counted because any dentinal tubules couldn't be seen. 6 . The diameter of opened dentinal tubules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exp. 1 group and exp. 3 group than in exp. 2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 1 group and exp. 3 group. In control group, the diameter of opened dentinal tubules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any dentinal tubules couldn't be see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oot conditioning with citric acid, tetracycline- HCl, and EDTA is more effective in periodontal healing than only root planing, and 15% EDTA solution can replace low pH etching agents such as citric acid, tetracycline-HCl for root conditioning.

  • PDF

Insulin-like growth factor-I 이 치주인대세포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I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성진;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19-237
    • /
    • 1994
  • 치주조직재생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건으로는 치근면의 상태, 전구세포의 증식, 치유 부의 상피조직배제, 치유부의 안정화를 들 수 있으며 이중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가 치유부에 치주조직재생을 도모할 수 있는 전구 세포가 실수부로 이주하여 부착과 증식, 분화를 통하여 교원질섬유를 포함한 결체조직의 부착과 백악질, 골조직을 재형성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전구세포들을 자극하고 원치 하는 세포들을 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장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조직을 조절하는 인자로 알려진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 (Insulin-like growth factor-I)는 폴리펩타이드계 성장인자로서 골세포의 증식, 기질합성 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IGF- I 의 영향을 잘 규명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IGF- I 을 농도별로 주입하여 세포의 증식능, 교원질 및 단백질 합성능,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해 보므로써 IGF- I 이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IGF- I 을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IGF- I 을 각각 0.1, 1, 10, 100 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DNA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 및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능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1ng/ml를 제외하고는 DNA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10, 100ng/ml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치주인대세포의 총단백질 합성양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을 교원질(collagenase digestible protein : CDP)과 비교원성 단백질(non-collagenous protein : NCP)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때 IGF- I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과 교원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이 교원질 합성양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합성의 상대적 비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군당 별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모든군에서 7일째보다 14일째에서 약간 높은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롤 나타내었으며, 7, 14일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7일째 대조군에 비해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 PD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BB가 치주인대세포의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S OF THE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BB ON THE CELLULAR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오상덕;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303-320
    • /
    • 1994
  • 치주조직의 재생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치주인대세포를 선택적으로 유도하여 증식시키는 방법으로 성장인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배엽세포를 조절하는 인자 중의 하나인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이하 PDGF-AA, BB로 표기)는 폴리펩타이드계 성장인자로써 다양한 세포들에 대해 증식, 이주 및 기질합성에 촉진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혈소판유 래성장인자를 농도별로 주입해서 세포의 증식능, 단백질 및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해 보고, 골형성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표식인자로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를 알아보므로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가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 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PDGF-AA, BB를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PDGF -AA, BB를 각각 0.1, 1, 10, 100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하여 DNA 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 및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능에 미치는 PDGF -AA, BB의 효과는 양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0ng/ml의 PDGF-BB를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다. 치주인대세포의 총단백질 합성양에 미치는 PDGF -AA, BB의 효과는 PDGF-AA, BB투여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단백질 합성양에 대한 PDGF-BB의 효과가 PDGF-AA보다 100ng/ml 투여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총단백질을 교원질(collagenase digestible protein : CDP)과 비교원성 단백질(noncollagenous protein : NCP)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때 PDGF-AA, BB 투여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과 교원질 합성양이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군 모두에서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이 교원질 합성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의 상대적 비율은 양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써 PDGF-AA, BB는 교원질에 특이하게 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음올 나타내었다.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는 7, 14일째에서 PDGF-AA, BB 투여군 모두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한련초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tiaging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clipta prostrata)

  • 이상래;송바름;신혁수;이윤주;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9-362
    • /
    • 2018
  • 한련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국화과 한련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살무사 독에 대한 해독효과, 항산화효과, 발모효과, 상처치유효과 등의 효능들이 확인된 바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련초의 항산화 및 항노화효과를 확인하여 피부보호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련초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지표인 $FSC_{50}$$OSC_{50}$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OSC_{50}$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보다 2.7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시료의 세포 내 활성산소종 소거능과 $H_2O_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1O_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지연효과의 평가에서 $64{\mu}g/m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적혈구 광용혈의 소요시간을 6배 이상 지연시켜 한련초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반영해주었다. 한련초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s68에서 추출한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16{\mu}g/mL$의 두 시료 모두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각각 6.8%와 14.0% 억제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련초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의 소재로 사용됨에 있어 화학적 방부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항균실험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그람 양성 균주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mehyl paraben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한련초는 피부보호 소재 또는 천연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천연소재라 생각되며,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Calcium sulfate와 혈소판 유래성장인자의 혼합사용이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calcium sulfate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김준성;최성호;유윤정;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4호
    • /
    • pp.785-804
    • /
    • 1997
  • It was well known that calcium sulfate was biocompatible, resorbed rapidly in the body, had potential as a good barrier membrane.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was one of polypeptide growth factor that had been reported as a biological mediator which regulates activities of wound healing process including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etabo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calcium sulfate and PDGF 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to use as a regeneration promoting agent of periodontal tissu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Cells were cultured in ${\alpha}-MEM$ contained with 20% FBS, at the $37^{\circ}C$, 100% of humidity, 5% $Co_2$ incubator. Cells were inoculated and cultured into 96 well culture plate with $1{\times}10^4cells/well$ of ${\alpha}-MEM$ for 1 day. After discarding the medium, those cells were cultured in ${\alpha}-MEM$ contained with 10% FBS alone(control group), in calcium sulfate(calcium sulfate group), in calcium sulfate treated with 15ng/ml of PDGF-BB(calcium sulfate+PDGF group), in ${\alpha}-MEM$ contained with 10% FBS treated with 15ng/ml of PDGF-BB(PDGF group) for 1, 2, 3 day respectively. And then each group was characterized by examining of the cell counting, MTT assay, collagen syn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cell proliferation by cell counting, both calcium sulfate group and calcium sulfate plus PDGF group showed no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ther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DGF group and calcium sulfate group at 1, 2 day(P<0.05). 2. In the analysis of cell proliferation by MTT assay in calcium sulfate extracts, both calcium sulfate group and calcium sulfate plus PDGF group showed no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ther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DGF group and calcium sulfate group at 2, 3 day, and between calcium sulfate plus PDGF group and calcium sulfate group at 2 day(P

  • PDF

랫트에서 Chitosan-Trimer가 복강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Trimer o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Rats)

  • Kwon, Eun-ju;Jang, Kwang-ho;Jang, I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7-264
    • /
    • 2001
  • 복강 내 유착은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된 복막의 손상으로 장막표면의 염증반응을 일으켜 창상조직의 혈관투과성이 증가하여 많은 장액성 혈액삼출물이 생산되고, 이 혈액삼출물내의 fibrin이 제거되지 않으면 초기섬유소성 유착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착방지는 섬유소성 부착물의 정상적인 용해를 방해하는 인자들과 관계가 있다. Chitosan은 poly-$\beta$(1$\longrightarrow$4)-D-glucosamine으로 chitin을 탈아세틸화시킨 것으로 복강유착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Hyaluronic acid(HA)와 구조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쥐에서 회장에 유착을 유도한 후 PBS (control group), 1% Chitosan Trimer (CT, 1% CT group), 3% CT (3% group), chitin (chitin group)을 복강내 주입하여서 10일 뒤에 유착방지효과, 유착발생정도, 조직검사, 혈액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총백혈구수, 총적혈구수, PCV, PLT, Total protein은 전군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검사상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 CT군은 다른 군에 비해 Fibrosis와 염증반응정도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혈장섬유소원은 전군에서 수술 후 증가하였으나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율이 낮아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막 (60%), 장막-장간막 (13.3%), 장막-고환쪽 결합조직 (10%), 대망-간 (10%), 장막-대망 (3.3%), 장막-맹장3 (3.3%)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3% CT군이 62.2% 로 대조군 97.7%, 1% CT군 81.8%, chitin군 93.3%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유착 형성은 대조군, 1% CT, 3% CT 및 chitin 투여군에서 각각 2.07$\pm$0.81, 1.03$\pm$0.63, 0.64$\pm$0.53 및 1.67$\pm$0.71로 3% CT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0.001).

  • PDF

혈소판유래성장인자-BB가 성견 치근이개부병변의 조직재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ON THE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OF THE FURCATION INVOLVEMENT OF DOGS)

  • 조무현;박광범;박준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535-563
    • /
    • 1993
  • 치주질환 진행의 최종적인 결과는 하반 지지조직의 소실로 치아상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이상적인 치유형태는 부착상실 예방을 비롯 상실된 조직의 재상 즉 신생 치조골과 백악질이 형성되고 두 조직사이에 치주인대가 재형성되는 것이다. 최근까지의 치주조직재생을 위한 처치법으로 이환된 병소부의 단순제거, 치관변위판막술, 약제의 치근면처리법, 조직유도재생술, 골전도물질 삽입, 골유도 혹 골형성물질 사용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아직 이상적인 치료법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치아지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조골의 재생에 대해 많은 연구들과 아울러 조직화학적 연구에서 Polypeptide Growth Factor(PGF) 가 다양한 종류의 세포증식과 이주 및 기질합성에 촉진효과가 있다고 하여 조직재생에 사용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었다. 이 PGF중 혈소판유래성장인자가 섬유아세포와 골아세포의 유사분열 및 단백질합성에 촉진작용이 있으며 조직재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총 8 마리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치근이개부병변을 형성한 후 혈소판유래성장인자를 처리하고 기존 조직결손부에 사용하였던 Tricalcium Phosphate(TCP) 와 콜라젠을 성장인자 함유매개체로 하여 이개부병변에 병용삽입한 경우 치유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규명하고 실제 임상적용방법을 개발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Pentobarbital Sodium으로 전신마취를 시킨후, 초음파치석제거기등을 이용하여 구강위생을 청결하게 한 다음, 치은열구절개를 이용하여 전층판막을 형성하였다. 피질골과 치조골을 삭제하고 형성된 이개부 결손부에 치근면활택술을 시행하였으며, 구연산으로 치면처리 후, 계획된 재료를 삽입하고, 치관변위판막술과 유사한 형태의 봉합을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을 2, 4, 8, 12 주에 관류고정과 아울러 회생시켜 악골을 채취하고 통법에 의해 후고정, 탈회,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으로 포매한 후 $7{\mu}m$두께로 절편하고 H & E 염색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DGF-BB 만 처리한 군에서는 2주 소견에서부터 결손부 전체에 걸쳐 활성도가 높은 조골세포들이 균일하게 분포하면서 이들로부터 생성된 골양조직이 기초적인 골소주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그후 매우 빠른 골형성이 계속되어 8주 소견에서는 결손부 정상에 이르기까지 성숙된 치밀골이 채워져 있었다. 신생골형성의 전반적 형태는 치근면의 외형에 따라 치근이개부상단부로 형성되는 양상이었다. PDGF-BB 군에서 신생백악질의 형성은 2주소견 에서는 미약하였으나 4주이후 치근면에 수직으로 배열된 교원섬유들과 함께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8주에 이르러서는 비 손상부위에서보다 더욱 두터운 신생백악질이 형성되었고 전형적인 샤피스씨 섬유가 완성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PDGF-BB와 TCP를 병용한 경우 및 PDGF-BB와 콜라젠을 병용한 경우에서는 PDGF-BB군에 비해 신생골 및 신생백악질의 형성, 치주인대강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수술후 초기단계에서 더욱 두드러져 함유매개체로서의 기능을 기대하였던 이들 이식재들이 도리어 급속하게 분화 증식되는 세포들의 이동에 장애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DGF-BB의 치근면 처리가 치근이 개부병변 치료에 있어 전반적으로 조직재생의 속도가 빠르고 그 치유양상도 시간경과에 따라 치주조직 고유형태로 진행됨이 관찰되어 동일 병소치료에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차후 결손부에 주입방법과 성장인자의 관리법 및 적용량 그리고 적응중의 규명을 위해 연이은 연구가 있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