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zardous factor analysi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건설현장 작업자의 내면적 안전의식 수준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 이왕기;박성용;손기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53
    • /
    • 2017
  • 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n 2015. 66% of those serious accidents are due to falling occurring from construction sites when they work. Therefore, causes and recommendations of each accident should be deeply thought and analysed The indirect causes are directly related to safe consciou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Actually, their safety consciousness are not high, even very low, it is thought. Questionnaire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Seoul, Incheon, and Gyunggi-Do area, first. And then, the authors have collected those directly at sites, in order to increase collection rate of the sheets. The totally, collected sheets are 295 sheets. And, they a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9 package program. Workers internal consci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rate, crossed, and correlated analysis. And finally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Heavy weight worth a crew of more than two workers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advanced safety plan and needed for making a highly potential hazard group at construction sites. Safety consciousness, earing p.p.e, workman ship should be mainly considered for investing safety costs with an aspect of human factor.

다양한 수생태계에 적용 가능한 유해물질의 영양확대계수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연구 - 생활화학제품에서 기인한 성분과 어류조사를 중심으로 (A Direction of the Monitoring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s: The Necessities for a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Research on Fish)

  • 원은지;조하은;김도균;홍성진;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185-200
    • /
    • 2022
  • 수환경 내 다양한 유해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관심은 환경 매체 내 물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복잡한 먹이단계를 통한 어류 체내의 축적과 어류를 통한 인체 위해성으로 이어진다. 국내의 경우 2016년 이후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제품(생활화학제품) 기인 위해 우려물질의 관리를 위한 등록과 평가 등에 관한 법률 개정과 함께 이들 물질의 환경 배출이 주목받게 됨에 따라 수생태계 내 잔류여부에 대한 조사도 수행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물질의 관리를 위한 생태계 내 분포 조사 및 배출 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사업이 수행되고 있는데 해당 연구 사업에서는 세정제, 접착제, 염색제, 방향제 등을 비롯한 화장품이나 세제 등에 포함되는 성분과 살균·소독제를 대상으로 영양단계 내 축적과 전달을 이해하기 위한 물질의 축적과 확대를 포함한다. 본 논문은 최근 발표된 생활화학제품기인 유해물질의 수환경 유입 및 분포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그 과학적 의미를 제시하며 또한 국내외 수행되고 있는 수환경 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연구의 예를 바탕으로 현재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내 잔류 농도 및 분포,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서 국내 수역에 서식하는 주요 어류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대상 어류 선정의 필요성과 인체 위해성 연구의 필요성 등 시기적으로 요구되는 연구를 위한 영양단계 해석과 생물확대계수 연구의 방향을 소개하며 향후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생물상 모니터링과 화학물질 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한다.

위험물저장탱코밑판의 부식 성향분석 및 부식예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Tendency of Bottom Plates and Corrosion Prevention Measures in Hazmat Tanks)

  • 최정수;노경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38-152
    • /
    • 2008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maintenance of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is related with deterioration and corrosion. Leakage of hazardous materials is likely to occur because the confirmation and maintenance of bottom plates are very difficult while the bottom corrosion of the massive hazmat-storage facilities is most dangerous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osion locations, areas, usage condition of 287 hazmat-storage tanks on this syudy, it is concluded that the main external corrosion factors are the inflow of moisture and the materials inducing corrosion in the air such as sodium chloride and the main internal corrosion factors are corrosion react caused by stay of seawater, sulfur and moisture in hazmat for a long time without appropriate discharg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rrosion of bottom plates can be restrained effectively by establishing the proper measures for the each corrosion cause.

  • PDF

다구찌 방법을 이용한 석재표면처리장치의 최적표면가공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The Optimal Parameter Design of the stone surface equipment Using the Taguchi Method)

  • 김득주;서장훈;박명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1-262
    • /
    • 2004
  • There is boner process of stone manufacturing to become quality down of stone to consolidated micro crack appearance of stone surface and biotite by fire that is to be route process in stone surface by flame of LPG. And then, it is develop that stone surface process equipment by automation for the work method of boner process can be substitute work method by shotball blasting. To developement of equipment, There is to be down noise and dust. Acording to remove calamity growth hazardous substance in the work environment, there is to solve workplace avoidance factor. We have taken Taguchi's parameter design approch, specifically orthogonal array, and determined the optimal levels of stone surface through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IN ratio.

국제교역에 있어 환경보호를 위한 규제조치의 내용 분석 (Analysis of regulatory a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International Commerce)

  • 이재영
    • 통상정보연구
    • /
    • 제11권1호
    • /
    • pp.379-40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blems of trade restriction for an environment protection. Environmental regulation relate to trade ar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 Flora,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Kyoto Protocol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 Their Disposal, Cartagena Protocol on Biosafty and WTO Agreement. Regulatory a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economics instrument, command & control, liablity, damage compensation, voluntary agreement. In the case of our country, impact of regulatory a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s low. Because is recognized position of developing country yet. For in the balance rules of trade and enviroment, First must satisfy WTO's basic principles and principle of quantitative restrictions prohibition, Second, operation of protection action must reasonable and objective standards Third, must satisfy GATT article 20 (b) clause and (g) protestation each essential factor To grow for environment advanced country, we should do i) using of FTA ii)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engthening for developing country position iii) construction of environment information network

  • PDF

건축물의 실내건축 재료에 관한 화재안전성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Performance of Interior Surface Materials in a Building)

  • 서수은;신승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 /
    • pp.275-290
    • /
    • 2013
  • The main cause of building fire fatalities occur in the combustible material heat, smoke and toxic gases are.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etc., especially as much of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nd, used in domestic architecture wallpaper, ceiling, and other plastics, built-in foam insulation also analyzed recognition of fire hazards approach to test the conkalrorimiteo test, choedaeyeolbangchulryul through, chongbal heat, mass loss rate, generates carbon monoxide gas hazard ratio tests, analysis and evaluation rigid foam index testing the toxicity of hazardous material generated by performing a gas clean up and assess the material test results, the minimum order to provide data to quantify the risk of fire. Ensure fire safety of building materials, composite materials in order to test the various risk factors could be considered organic to the introduction of testing and evaluation is needed urgently.

  • PDF

CRITICAL FACTORS AFFECTING SAFETY IN THE SINGAPORE CONSTRUCTION INDUSTRY

  • Sze Ming Woo;Charles Y.J. Cheah;Wai Fan Wo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59-768
    • /
    • 2007
  • Construction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industries due to its unique nature. Recent occurrences of highly publicised and criticized construction site accidents have highlighted the immediate need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ddress safety hazards. Safety used to be addressed as an isolated issue in the past, but the problem of safety is an emergent property of a system. In general, it seems that both industrial practitioners and government officials have tended to address safety by focusing on technical aspects and looking for immediate causes of accidents after they have taken pla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ssues and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the safety standards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The job of making worksites safe should not just fall squarely on the contractors but should be shared by all parties in the value chain of construction activities.

  • PDF

시험연소결과에 근거한 플라즈바 아크방식 유리화 시험 설비의 제염성능 평가(I) - 배기가스중의 유해중금속, 방사성핵종 모의물질 및 방사성핵종 제염특성 - (Decontamination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Plasma Arc Vitrification pilot plant on the basis of Trial Burn Results(I) - De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for Hazardous Metal, Radioactive surrogate and Radioactive Tracer in Off-gas)

  • 채경선;박윤환;민병연;장재옥;박준용;정원익;문병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99-107
    • /
    • 2000
  • 플라즈마 아크 용융방식 유리화 시험설비의 계통내 기체 및 최종배출구 전단의 배기체를 분석함으로써 배기체중에 포함된 분석용 첨가물의 거동 및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제염성능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물질(Pb, Cd, Hg), 방사성 모의물질(Co, Cs) 그리고 방사성핵종($^{60}Co,\;^{137}Cs$)을 분석용 첨가물로 사용한 실험결과로부터 첨가물질의 거동에 따른 유리화 설비 배기체처리시스템의 제염특성 및 제염제수를 구하였다.

  • PDF

남해-화개지역 1차 수계 하상퇴적토의 환경유해원소 분산특성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of Primary Channels in the Namhae-Hwngye area)

  • 박영석;박대우;김종균;홍인희;임성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6호
    • /
    • pp.107-117
    • /
    • 2007
  • 남해-화개지역 하상퇴적토 환경유해원소들의 분산특성 및 환경유해성을 알아보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하상퇴적토는 오염의 우려가 없고,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채취하였다.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주성분원소 및 환경유해원소를 분석하였다. 산분해법은 1차로 $HClO_4$와 HF를 혼합하여 $200^{\circ}C$에서 분해시킨 후,2차로 $HClO_4$, HF, HCl를 혼합한 후 $200^{\circ}C$에서 분해시켜 이를 1% $HNO_3$ 용액으로 만들었다. 남해지역 환경유해원소의 함량은 Cu $5.66{\sim}168\;ppm$, Pb $18.0{\sim}40.7\;ppm$, Cr $21.6{\sim}147\;ppm$, Co $4.86{\sim}25.3\;ppm$ 범위이고, 화개지역에서는 Cu $16.4{\sim}41.2\;ppm$, Pb $26.5{\sim}37.5\;ppm$, Cr $79.6{\sim}153\;ppm$, Co $15.7{\sim}29.5\;ppm$ 범위를 보였다. 상관 분석에서는 하상퇴적토의 $SiO_2$ 함량이 높아질수록 구리(Cu)와 코발트(Co)의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지역의 E.I.는 비부화 되어 있으며, 평균값은 남해지역 0.35와 화개지역 0.56이였다. 조사대상 하상퇴적토들은 납 > 크롬 > 코발트 > 구리 순으로 부화되어 있으며, E.F.의 평균값은 $0.46{\sim}2.84$이다. E.F값은 구리와 코발트에서 거의 비슷한 부화특성을 보이나, 크롬에서는 남해지역보다 화개지역에서 보다 큰 부화특성을 보인다. 납은 연구지역 모두에서 상당히 부화되어 있었지만, 토양 및 퇴적물의 환경오염 허용 한계치(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는 환경유해원소의 오염에 특별히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공사 근로자의 현장내 이동작업시 발생하는 재해위험도 (Construction Workers' Occupational Risk of On-Site Travelling Activities)

  • 이규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20-127
    • /
    • 2005
  •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상당부분은 근로자가 작업과관련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재해의 예방과 저감을 위하여 최근 3년간의 중대재해보고서에서 근로자가 이동시 발생한 재해를 대상으로 하여 직종별로 어떠한 위험요인에 의해 재해가 발생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종과 위험상황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점이 있음이 파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각 직종별로 이동과정에서의 리스크의 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근로자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직종별 리스크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진도계획 및 안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관리과정에서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건설현장 근로자과 안전관리자에게 이동작업시의 위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공사계획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