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zon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using GIS

  • Kim J. H.;Kim K.T.;Park J. S.;Choi Y.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64-667
    • /
    • 2004
  •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soil erosion hazard zone in farm land. RUSLE was used for an analysis of soil erosion amount, and for the spatial data of basin, soil erosion amount was calculated by extracting the respect topography space related factors of RUSLE using DEM, Landuse, Soil map as base map.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alculated soil erosion amount according to land use type,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soil erosion occurred in orchard area, i.e., 40.08ton/ha/yr at average. It was classified into 5 classes depending on the calculated soil erosion amount. of which Class V was decided as soil erosion hazard zone, and for this area, 72.5ha or so, $2.4\%$ of the entire farm land was assessed as erosion hazard zone.

  • PDF

철강 제조업에서의 유해.위험구역 출입 관리 방안 (Improvement on Access Control of Hazard Zone in a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 서성화;김민;원종일;우흥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3-68
    • /
    • 2011
  • Access-control of hazard zone in a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is studied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risk evaluation for hazard zone, three risk zones with low, middle and high level are categorized. These zones have different color door and locking shape depending on their risk levels. At the high level, red door and key-based locking system are employed to accessed-controled path. Furthermore, tagout, lockout, interlock system for emergency stop, warning and flashing are also introduced. New standardized procedure of access-control for various hazard zones, which could help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advance, is proposed considering the risk level and the condition of given hazard zones. The standardized procedure of access-management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take an effective role as one of safety guide lines for hazardous workshop of manufacturing industries.

지역계수 설정을 위한 지역별 지진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Seismic Characters for Establishing Seismic Zone Factor)

  • 권기혁;황완선;서치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8
    • /
    • 2006
  • 지진 지역계수는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의 기록을 기초로 한 지진의 지역성이 고려된 지역적 지진특성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진다. 본 연구는 국내 지진자료의 분석을 통해 지역별 지진발생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의 지진환경 특성을 검토하여 지진지역 계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에 각각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이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Inundation Hazard Zone Created by Large Lahar Flow at the Baekdu Volcano Simulated using LAHARZ

  • Park, Sung-Jae;Lee, Chang-W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7
    • /
    • 2018
  • The Baekdu volcano (2,750 m a.s.l.) is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Yanggando Province in North Korea and Jilin Province in China. Its eruption in 946 A.D. was among the largest and most violent eruptions in the past 5,000 years, with a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of 7. In this study, we processed and analyzed lahar-inundation hazard zone data, apply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gram with menu-driven software (LAHARZ)to a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30 m digital elevation model. LAHARZ can simulate inundation hazard zones created by large lahar flows that originate on volcano flanks using simple input parameters. The LAHARZ is useful both for mapping hazard zones and estimating the extent of damage due to active volcanic erup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evacuation plans for nearby residents without field survey data. We applied two different simulation methods in LAHARZ to examine six water systems near Baekdu volcano, selecting weighting factors by varying the ratio of height and distance.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uniform and non-uniform ratio changes in the lahar-inundation hazard zone maps, particularly as slopes changed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the Baekdu volcano. This result can be used to improve monitoring of volcanic eruption hazard zones and prevent disasters due to large lahar flows.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by Cropland)

  • 김경탁;김주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7-117
    • /
    • 2005
  • 토양침식은 강우분포, 토양, 토지이용과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런 요인들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토양침식량 계산은 RUSLE를 이용하였고, RUSLE의 지형 및 공간정보 관련 인자들은 DEM,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한강수계 제1지류인 경안천 유역의 농경지로 하였으며, 토양침식량 분석결과 보통, 특수작물(1210) 재배지역, 과수원(1220), 미경지정리답(1120), 경지정리답(1110)의 순으로 가장 큰 토양침식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재배지역의 평균 토양침식량 또한 보통, 특수작물 재배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토양침식량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농경지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5등급의 경우 전체 농경지의 2.4%에 해당하는 72.5ha정도가 침식위험지역으로 판단하였다. 이 침식위험지역은 밭작물재배지역이 72.4ha이고 과수원이 0.1ha로 분석되었으며, 기타의 농경지역에서는 5등급의 위험지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토지이용 상황에 관계없이 2등급(1~50ton/ha/yr) 지역이 전체 농경지의 70.2%로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 PDF

Job Hazard Analys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Pressing Operations of Dry-cleaning Establishments

  • Park, Jung-Keu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4호
    • /
    • pp.389-393
    • /
    • 2016
  • Job hazard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exposure to musculoskeletal disorder (MSD) risk factors in seven workers of three dry-cleaning establishments. In accordance with the Washington State Ergonomics Rule, the analyses were performed in two separate steps: (1) observation and checklist approaches were made to identify a "caution zone job" in the seven workers' pressing operations across the three shops; and (2) detailed posture and motion analyses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a "MSD hazard" in one worker's operation using a video technique. One "caution zone job" was identified and it was the pressing operation job in which five physical risk factors were found in the pressing operations. The detailed analyses confirmed that one "MSD hazard", i.e., awkward posture in shoulders, was prevalent in the pressing operations of the three dry-cleaning facilities. It would be desirable to reduce MSD risk factors including awkward shoulder posture in the dry-cleaning industry.

실태조사를 통한 연안역 안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안전기준 (Some Thoughts on the Issu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Coastal Zone Safety through Field Survey-Safety Standards)

  • 이규세;성익현;배상원;임남형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3-57
    • /
    • 2011
  • 최근 해양 레포츠와 관광의 활성화로 연안역에서의 안전사고 위험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역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안전사고의 증가속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연안역의 환경은 육역과 해역의 특성이 혼재된 복합 환경 조건이므로 연안역 안전사고 대책방안 수립 시에는 육역과 해역의 특성이 적절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실태조사를 통해 연안역 안전에 대한 현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연안역 안전의 개선방향을 근거로 연안역 안전기준 정립방향을 제안하였다.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한 울릉도 라하르 수치모의 (Lahar Simulation on Ulleung Island Using Laharz_py Program)

  • 장철우;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2
    • /
    • 2017
  • 화산지역에서 발생하는 라하르는 인명과 재산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재해이다. 라하르 위험 지역을 산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aharz_p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울릉도에서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영향 지역에 대한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울릉도의 근위위험지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DEM에 400 m의 추가고도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H/L비는 0.45와 0.5로 결정하였다.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부피는 30,000, 50,000, 70,000, $100,000m^3$로 설정하였다. 근위위험지역 경계와 인접하여 라하르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하천은 울릉도 동쪽 저동천, 남동쪽 사동천과 옥천천, 남서쪽의 남양천, 북쪽의 용출수인 추산천이며, 집중호우시 나리 분지에서의 라하르 발생 가능성도 고려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울릉도에서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영향 범위에 대한 예측을 통해 화산재해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SWAT 모형을 이용한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유출량 저감 효과분석 (Efficiency of Riparian Buffer Zone on Removing Sediment Yield Using SWAT Model)

  • 최대규;박무종;김재철;김상단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1-118
    • /
    • 2008
  • 수변완충지대는 토지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질의 하천으로 직접유입을 차단하고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유역에서의 저감효과를 분석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Arcview GIS상에 병성천 유역 모형을 구축하고 SWAT모형에서의 filter strip기능을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 유출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의결과 저감효과가 큰 곳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토사유출량 관측지점인 유역 출구지점과 가까운 소유역에서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보였다. 또한 수변완충지대의 폭을 달리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한 결과 5-10 m의 수변완충지대 폭이 그 저감효율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한 라하르 범람지역의 예측: 백두산 화산에 적용 (Prediction of Lahar Flow Inundation Areas Using LAHARZ_py Program: Application for the Mt. Baekdu Volcano)

  • 윤성효;장철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4호
    • /
    • pp.277-286
    • /
    • 2017
  •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전형적인 산지 지형으로 잠재적 분화 가능성이 있는 화산이다. 화산지대에서 발생하는 라하르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주요 화산 재해 중 하나이다. 백두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라하르에 의한 영향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Laharz_p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침수영역을 수치모의 하였다. 백두산의 근위위험지역경계(proximal hazard zone boundary; PHZB)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치표고모델(DEM)에 추가적인 750 m의 고도를 가정하여 수치모의에 필요한 H/L비를 0.10으로 설정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하여 발생 가능한 라하르의 부피를 각각 $1{\times}10^6$, $5{\times}10^6$, $1{\times}10^7$, $5{\times}10^7$, $1{\times}10^8$, $5{\times}10^8$, $1{\times}10^9m^3$으로 설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압록강(남쪽), 두도송화강, 금강하, 화피하(이상 서-남서쪽), 송강하, 소사하, 조자하, 삼도송강하(이상 서-북서쪽), 두도백하, 이도백하, 삼도백하(이상 북쪽), 오도백하 및 그 지류에 해당하는 3개의 하천(북동쪽), 그리고 두만강(동쪽) 등 15개의 하천이 근위위험지역경계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백두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산 재해에 의한 피해 저감 대책수립을 위한 재해위험도를 작성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