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exposure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9초

밀폐공간 종류별 유해가스 발생 농도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Hazardous gases in Confined Spaces)

  • 박현희;유계묵;함승헌;정광재;신민아;이구용;장경조;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1-389
    • /
    • 2009
  • Confined spaces are inherently dangerous workplace and many fatal and nonfatal accidents have been reported. Even though these accidents occur in various kinds of confined spaces, there has rarely been reported on the health hazard agent, i.e., the types of gases and their concentration r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several toxic and asphyxiating gas concentrations in various confined spaces. We surveyed 57 manholes, 3 sewage treatment plants, 2 yellow radish manufacturing companies and 7 barge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oxygen($O_2$), hydrogen sulfide($H_2S$), carbon monoxide(CO), ammonia($NH_3$). Lower Explosion Limits(LEL)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ose four types of confined spaces occupies 56% of accidents during last 9 years in Korea. In 57 manholes, the concentr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anholes; rainfall and sewage, and by location;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Sewage manhole in industrial area was evaluated as the most hazardous than other types of manhole like rainfall manholes, residential sewage manholes. The highest $H_2S$ concentration and the lowest $O_2$ concentration at sewage manhole in industrial area were 300 ppm, 8.7% respectively. In 3 sewage treatment plants, $H_2S$ and $NH_3$ concentrations were reached up to the 500 ppm and 200 ppm respectively. Two yellow radish manufacturing companies showed the concentrations of 316 ppm, 505.2 ppm, 90 ppm and 15.7% for $H_2S$, CO, VOCs and $O_2$, respectively. Seven barges showed 15.9%~20.9% oxygen concentration. Gas species and concentration ranges varied by the types and location of confined spaces; CO, $H_2S$, $O_2$ could be hazardous in manhole, especially manhole connected to sewage plants. CO, $H_2S$, LEL, $O_2$, $NH_3$ should be controlled in sludge silo and sluge pumping confined spaces in sewage treatment plant. The activity of lifting out radish from the storage tank was evaluated more hazardous rather than the other activities in yellow radish manufacturing industry. The employers must conduct the survey to identify all possible confined spaces in their local workplace prior to performing the tasks. At the national level to reduce the accidents in the confined spaces, we suggest that systemic approach and activ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ossible hazards,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ventilation pla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confined spaces should be implemented.

분화성 갑상선암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시 전리함과 Geiger-Muller계수관에서 방사선량률 측정값 비교 (Comparison of the Measured Radiation Dose-rate by the Ionization Chamber and GM(Geiger-Müller) Counter After Radioactive Iodine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 박광훈;김구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65-570
    • /
    • 2016
  •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는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에서 재발을 감소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키나, 환자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으로 인하여 피폭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것이 방사선안전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 중 전리함과 GM계수관으로 측정된 방사선량률의 감도와 측정효율을 구하였다. 방사성 요오드($^{131}I$)를 150mCi 경구투여 받은 분화성 갑상선암 환자의 상복부로부터 1 m거리에서 경과 시간에 따라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선량률에서의 감도와 측정효율은 GM계수관보다 전리함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저선량률에서의 감도와 측정효율은 GM계수관보다 전리함이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방사성 요오드($^{131}I$) 치료시에 검 교정이 완료된 전리함과 GM계수관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퇴원하는 환자에게 환자가족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는 방사선피폭을 예측하고, 불필요한 예단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Molecular Mechanism of Tetrabromobisphenol A (TBBPA)-induced Target Organ Toxicity in Sprague-Dawley Male Rats

  • Choi, Jae-Seok;Lee, Young-Jun;Kim, Tae-Hyung;Lim, Hyun-Jung;Ahn, Mee-Young;Kwack, Seung-Jun;Kang, Tae-Seok;Park, Kui-Lea;Lee, Jae-Won;Kim, Nam-Deuk;Jeong, Tae-Cheon;Kim, Sang-Geum;Jeong, Hye-Gwang;Lee, Byung-Mu;Kim, Hyung-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61-70
    • /
    • 2011
  • 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are present in many consumer products ranging from fabrics to plastics and electronics. Wide use of flame retardants can pose an environmental hazard, which makes it important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ir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dose-dependent toxicity of tetrabromobisphenol A (TBBPA), a flame retardant, was examined in male prepubertal rats (postnatal day 18) treated orally with TBBPA at 0, 125, 250 or 500 mg/kg for 30 day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between the control and TBBPA-treated groups. However, absolute and relative liver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 dose of TBBPA-treated groups. TBBPA treatment led to significant induction of CYP2B1 and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expression in the liver. In addition, serum thyroxin (T4)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BBPA 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peated exposure to TBBPA induces drug-metabolising enzymes in rats through the CAR signaling pathway. In particular, TBBPA efficiently pro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rough CYP2B1 induction in rats. We measured 8-hydroxy-2'-deoxyguanosine (8-OHdG), a biomarker of DNA oxidative damage, in the kidney, liver and testes of rats following TBBPA treatment. As expected, TBBPA strongly induced the production of 8-OHdG in the testis and kidney.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BBPA-induced target organ toxicity may be due to ROS produced by metabolism of TBBPA in Sprague-Dawley rats.

Mainstream smoke level of harmful substances in korean domestic cigarette brands

  • Choi, Hyun Doc;Song, Seok Ho;Cho, Hoonsik;Kim, Hyung Kyung;Lee, Jin-Hee;Yoon, Soon-Byung;Heo, Seok;Park, Hyoung-Joon
    • 분석과학
    • /
    • 제31권1호
    • /
    • pp.14-22
    • /
    • 2018
  • After signing the WHO FCTC in 2003, South Korea ratified the FCTC in 2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on toxic constituents that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the level of exposure to Korean smokers. Emissions data from five brands of cigarettes were tested under the ISO and "Canadian Intense (HCI)" smoking regimes, respectively. We conducted an analysis of 25 compounds containing nicotine, tar, carbonyls, phenoli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semi-VOC cigarette smoke. Tar and nicotine showed levels of 4.3 to 5.8 mg/cig and 0.4 to 0.5 mg/cig, respectively, which are within the range of tolerance presented in ISO 8243. In the case of carbonyls, formaldehyde was detected within a range of 8.2 to $14.3{\mu}g/cig$, and acetaldehyde was present within a range of 224.7 to $327.2{\mu}g/cig$ under the ISO smoke regime. Crotonaldehyde was not detected under the ISO regime, and all of the carbonyls showed values 2.3 to 4.5 times higher under the HCI regime than those under the ISO regime. Catechol, which showed a level of 47.0 to $80.5{\mu}g/cig$ under the ISO regime and 117.5 to $184.7{\mu}g/cig$ under the HCI regime, was the highest constituent among the phenols. The amount of isoprene was 91.7 to $158.3{\mu}g/cig$ under the ISO regime and 221.0 to 377.0 under the HCI regime. To summarize, most of the constituents showed a tendency to be detected at levels 2 to 4 times higher under the HCI regime than under the ISO regime. Above all, these results represent the first analysis in Korea from an independent institute of tobacco companies under accreditation of ISO 17025.

산업장 화학 손상 환자에서 중증 화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ing Major Burn in Chemical Injury Patients due to Industrial Place Incident : A Retrospective study)

  • 신희준;오세광;이한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32-339
    • /
    • 2016
  • 본 연구는 유해 화학 물질 방출에 의해 손상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증 화상에 관하여 연관된 요인들의 강도를 밝힘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 까지 화학 손상으로 본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총 446명의 환자를 조사 하였다. 중증 화상은 화학 손상의 중증도를 대변하는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중증 화상과 관련이 있는 독립변수들을 밝혀내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 CST)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test, BLRA)이 사용되었다. CST상, 중증 화상에 관하여 여성과 사고 현장에 있던 군, 다발 부위 손상 군이 동시에 연관성을 보였다(p<0.05). BLRA상 사고 현장에 있던 군과 폭발 군에 비하여 누출 군과 입원 군에 비하여 퇴원 군이 동시에 중증 화상과 관련 있었다(p<0.05). 본 연구에서는 사고 현장에 존재 여부가 중증 화상에 관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 이었다. 뿐만 아니라 성별과 손상의 개수, 사고 노출 기전(폭발에 비해 누출), 응급실 진료 후 배치(입원에 비해 퇴원)가 또한 중증 화상과 관련이 있었다.

국내 유통 약용작물 중 카드뮴, 수은, 납, 비소 함량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Cd, Hg, Pb, and As and Risk Assessment for Commercial Medicinal Plants)

  • 김혁수;김권래;홍창오;고우리;정선희;류지혁;조남준;홍진환;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2-287
    • /
    • 2015
  •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d, Hg, Pb and As contaminations in 222 commercial medicinal plants and to estimate the potential health risk through dietary intake of commercial medicinal plants in Korea.METHODS AND RESULTS: The Cd, Hg, Pb, and As in medicinal plants were analyzed by ICP/MS and mercury analyzer.The potential health risk was estimated using risk assessment tools. Total amount of Cd in medicinal plants with 29% samples exceeded the standard limit legislated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while all plant samples were lower than the standard limit value for As, Hg, and Pb. However, when applying the standard limit for root vegetable (fresh weight) in the Food Sanitation Act, four samples exceeded the standard limit of Pb. For health risk assessment, the values of cancer risk probability were 0.3~5.9×10-7which were less than the acceptable cancer risk of 10-6~10-4for regulatory purpose. Also, Hazard quotientvalues were lower than 1.0.CONCLUSION: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uman exposure to Cd, Hg, Pb, and As through dietary intake of commercial medicinal plants might notcause adverse health effects although some medicinal plants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limit values for Cd and Pb.

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Human Health Risk from Arsenic-Contaminated Rice Grown Near The Mining Areas of Korea

  • Paik, Min-Kyoung;Kim, Won-Il;Yoo, Ji-Hyock;Kim, Jin-Kyoung;Im, Geon-Jae;Hong, Moo-K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47
    • /
    • 2010
  • 만성으로 비소에 노출될 경우 암을 비롯하여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광신인근에서 재배된 벼의 백미시료 300점에 함유된 총 비소를 분석하고, 이 백미 시료만을 섭취했을 경우의 인체위험도를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300점의 백미에 함유된 총 비소의 함량은 0.09 mg/kg으로 lognormal 분포형태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와 성별로 나눠 이 백미시료만을 섭취했을 경우 1일 총비소 노출량을 평가하였으며, EPA의 발암력과 기준참고치를 그거로 발암위해와 비발암위해를 정량화하였다. 광산인근 백미 섭취를 통한 발암위해의 평균은 만명기준 남성 2.16명, 여성 1.83에서 1.0 이하로 나타났다. 광산인근 백미만을 섭취하는 경우 전체 인근의 10% 미만이 비발암위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 광산인근에서 재배된 300점 백미시료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도출된 결과로서 우리나라 모든 광신인근 지역의 백미를 대표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위험평가모형($TrophicTrace^{(R)}$)을 이용한 가상 해양오염퇴적물의 쥐노래미와 인체 영향 예비평가 (Potential Human Health and Fish Risks Associated with Hypothetical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a Risk Assessment Model ($TrophicTrace^{(R)}$))

  • 양동범;홍기훈;김경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0-70
    • /
    • 2011
  • 본고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해양오염퇴적물질 관리용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_{HC}$)를 대상으로, $CI_{HC}$은 동일하나 유해 물질별 함량이 다른 해저퇴적물들이 같은 생물위험을 보이는가를 판단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가상 오염퇴적물을 설정하고, 퇴적물 위험평가를 위한 트로픽트레이스 모형($TrophicTrace^{(R)}$ model)을 이용하여, 이 가상 퇴적물이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에 대해 미치는 생물위험을 최대무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NOAEL TQ)와 최소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LOAEL TQ)로 평가하였다. 쥐노래미에 대한 NOAEL TQ의 합계는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0.69~1.54의 범위였고, LOAEL TQ의 합계는 0.111~0.261로 약 2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이는 퇴적물 유해물질 환경기준이 해양저서무척추동물군집에 대한 영향만을 고려하고 사람으로 연결되는 식용의 쥐노래미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인체에 대한 비발암위험지수(HI) 값은 PCB의 경우 9.8~47.1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CB의 발암위험도는 5개 퇴적물에서 $39{\sim}19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s의 경우에도 $8.1{\sim}18.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정화지수가 8로 동일한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비발암위험지수(HI) 및 발암위험도가 서로 매우 다르게 나타난 것은 각 오염물질별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GC/MS에 의한 식품 포장재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Toluene diisocyanate 분석 (Analysis of toluene diisocyanate of adhesives in food contact materials by GC/MS)

  • 오창환;김지영;조천호;박희라;권기성;김미해;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18권6호
    • /
    • pp.511-519
    • /
    • 2005
  • 식품 포장재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우레탄의 주원료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는 인체에 노출될 경우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GC/MS를 사용하여 식품 포장재에 잔류하는 TDI를 분석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 조건과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포장재 중에 포함된 TDI는 n-헵탄, 4%아세트산 등과 같은 식품유사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후,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 (GC/MS)에 의해 분석되었다. 26개의 식품 포장재를 측정한 결과 10개의 시료에서 $0.51{\sim}60.88{\mu}g/ml$ 농도 범위에서 TDI가 검출되었다. 포장재의 절단된 면에 대한 추출 용매의 접촉을 피하고 포장재 면만이 접촉하도록 한 후 추출시간을 달리하면서 실험한 결과 2시간 추출 조건에서도 0.7% 수준으로 감소되어 실제 식품 조리시에 TDI가 다량 검출될 위험은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분석법은 외국의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기준을 만족시키는 정량한계를 확보한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추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분석기술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축사 난방용 할로겐램프의 위험성 및 화재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Halogen Lamp for Pigsty Heating and Fire Prevention)

  • 이재경;서승현;이재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53-5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돈사에서의 난방용 할로겐램프의 위험성과 화재 예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할로겐램프는 경제성과 편의성이 뛰어나 축사 보온에 사용된다. 하지만 안전관리가 허술하고 동물의 움직임에 노출돼 때문에 화재 위험성이 높다. 실제로 오래된 돈사와 축사를 둘러본 결과 화재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에 주목하여 할로겐램프와의 가연성 물질 접촉 및 사용 부주의로 인한 화재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실험은 실제 사용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실제 축사로 사용되는 높이까지 할로겐램프를 설치한 후 바닥에 짚과 톱밥, 왕겨를 두고 적외선 카메라로 온도변화를 관찰했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조건을 가정하여 램프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인화성 물질이 램프 내부의 유리관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할로겐램프를 정상 상태로 사용하면 화재위험은 없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연기가 나거나 발화하기도 한다. 사용이 편리하거나 활용도가 높은 경우에도 화재위험이 높기 때문에 화재 예방대책이나 사용 규제가 필요하다. 철저한 화재조사와 연구를 통해 화재위험을 알리고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화재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