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period

검색결과 622건 처리시간 0.029초

시화지구 인공습지에서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 흡수 (Uptake Patterns of N and P by Reeds (Phragmites australis) of Newly Constructed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 노희명;최우정;이은주;윤석인;최영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59-364
    • /
    • 2002
  • 시화지구 인공습지에 식재된 정수식물인 갈대(Phragmites australis)의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 흡수 제거 양상과 갈대 생장과 관련된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지 조성 초기에 갈대의 생장은 토양 염농도에 의해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유기물 함량은 갈대 비생육기 동안 고사체의 집적에 의해 증가하였지만, 서서히 분해되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대의 건물중과 질소 및 인 흡수량은 생장기인 여름과 가을에는 증가하였지만, 비생육기인 가을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생장기 동안 갈대의 흡수에 의해 상당한 양의 질소와 인이 제거되었지만, 비생장기 동안 갈대 고사체의 형태로 토양에 환원되어 미생물의 분해에 의해 영양염류가 재방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공습지 조성의 목적인 수질 정화와 생태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위해서는 갈대를 생육기간 중에 수확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

예취주기가 White Clover의 질소고정과 질소 및 탄수화물 분배에 미치는 영향 ($N_2$Fixation and Partitioning of Nitrogen and Carbohydrate in White Clover as Affected by Defoliation Interval)

  • 강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6-32
    • /
    • 1995
  • White clover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계속방목에 대한 적응력이 낮아 존속연한이 짧은 것이 결점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white clover 혼파초지관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주기의 장단(7일, 14일, 28일)이 28일의 재생기간 동안 잎의 크기가 다른 white clover 품종(Osceola, Huia, S184)의 질소고정, 각부위(잎과 엽병, 포복경 및 뿌리)별 total nonstructural carbohyd-rate(TNC) 및 질소의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pot 시험으로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NC 함량은 포복경과 뿌리에서 예취주기를 7일에서 28일로 늘임으로써 증가하였고 대엽종인 Osceola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중엽종인 Huia와 소엽종인 5184은 각부위간분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 질소함양은 전부위에서 이상의 포복경과 뿌리의 TNC 함량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3. TNC 함량은 뿌리보다는 잎과 엽병 또는 포복경에서 많은 반면, 질소함량은 엽병, 뿌리, 포복경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예취로 인하여 전부위의 TNC 및 질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재생기간이 길어짐으로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예취주기에 따라 재생기간 중 각부위간 TNC 및 질소 분배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질소고정은 예취주기가 7일에서 28일로 증가함으로써 증가하고 대엽종일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취 3일후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증가하였다.

  • PDF

레토르트 살균한 육류 볶음밥 제품의 유통기한 예측 (Estima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Fried Rice Containing Meat)

  • 정세희;하지형;정영길;조병철;김동호;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9-213
    • /
    • 2011
  • 육류를 원료로 하여 레토르트 포장한 4개 볶음밥 제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하고자 6개월 동안 15, 25, 35$^{\circ}C$의 온도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각각의 온도에서 시료의 TBA가, 산가, pH를 측정한 결과 TBA가는 저장기간의 경과 및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산가 및 pH는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 총균수, 내열성 세균, Bacillus cereus는 모두 음성으로 4개 볶음밥 제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검사는 색상, 풍미, 조직감 및 외관을 7점 척도법으로 평가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하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관능품위도 감소하였으나, 모두 한계점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아 유통기한 동안 상품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가를 품질지표로 설정하고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상온에서 쇠고기 볶음밥은 1,408일 (46개월), 햄볶음밥은 1,353일 (44개월), 치킨 카레볶음밥은 1,164일 (38개월), 베이컨 참치볶음밥은 1,182일 (39개월)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볶음밥 시료 모두 상온에서 3년 (36개월) 이상 유통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저장기간에 따른 당함량의 변화 (Changes of Sugar Content by Different Storage Durations in Sweet Corn and Super Sweet Corn)

  • 박승의;차선우;손영희;손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9-84
    • /
    • 1994
  •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출사후 이삭의 성숙정도와 당함량, 이삭부위별 당도, 저장기간에 따른 당류의 변화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작물시험장 전작시험포장에서 GCB 70과 NES를 1991년 3월 5일에 비닐하우스에서 파종육묘하여 4월 1일에 본포에 이식후 소형 비닐턴넬로 재배하였다.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5일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생육특성 및 당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이삭의 부위별 당함양은 출사후 25일에 1회 조사하였다. 저장중의 당류조사 는 냉장고(4$^{\circ}C$)에 9일간 저장하였다가 2일간격으로 5회에 걸쳐 HPLC를 이용하여 총당함량중의 당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CB 70과 NES 두 품종 모두 간장, 이삭무게, 100입중 등은 출사후 30일 까지 증가경향이었으나 출사후 25일과 30일 사이에는 증가폭이 좁았다. 2. 두품종 모두 출사후 15일에 당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삭의 발육정도는 출사후 30일가지 증가 경향이나 25일부터 당함량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단 옥수수는 출사후 15~20일경, 초당옥수수는 출사후 20~25일경이 수확적기로 보였다. 3. 이삭부위별 당함량은 두 품종 모두 이삭하단>이삭중간>이삭상단 순위로 높았다. 4. 초당옥수수는 수확당시의 저장후 9일까지의 당도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단옥수수는 저장 3일후 부터는 당도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5. 총당중에서 Sucrose, Glucose, Fructose 등은 단옥수수보다 초당옥수수보다 단옥수수가 높았다.

  • PDF

곰팡이 독소 오염 경감을 위한 옥수수 재배법 (Corn Cultivation to Reduce the Mycotoxin Contamination)

  • 김양선;강인정;신동범;노재환;정진교;허성기;심형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6-261
    • /
    • 2017
  • 살충제와 살균제 처리가 옥수수의 독소 오염을 경감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데옥시니발레논(DON)과 제랄레논(ZEN)은 약제처리시 높은 경감효과를 보였으나, 아플라톡신(AFT), 오크라톡신(OTA), 푸모니신(FUM)과 티-2(T-2 toxin)은 약제처리에 의한 효과가 없었다. 약제처리는 Fusarium verticillioides, F. graminearum, 그리고 F. equiseti 같은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수확 시기에 따른 곰팡이 독소의 검출량을 비교하였는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DON과 ZEN의 검출량이 증가하였고, Fusarium 속의 병원균 또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옥수수 종자의 주요 영양성분은 수확 시기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옥수수의 곰팡이 오염을 줄이기 위해, 살균제와 살충제의 약제처리가 필요하며 수확시기를 늦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수도작에 있어서 물관리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rrigation Water Control in the Cultivation of Rice Plants)

  • 이창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3-1199
    • /
    • 1966
  • More stable and higher yields in rice paddy depend mainly upon an adequately balanced supply of water for higher yield. Rice paddy is supplied naturally by rainfall but inevitably requires artificial supplenental irrigation for higher yields. Even though it may be true that the water requirement of rice plants is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crops, the submerged condi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rice. The moisture requirements of rice vary according to its growing stag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se the irrigation efficiency by means of lessening the loss due to percolation and evapolation in the f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various amount of water supply and different irrigation periods for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most suitable irrigation method and to increase the irrigation efficiency for higher yields in rice padd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was employed where the 3 levels of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120% moisture contents), unirrigated (90~100%) and more un irrigated candition (80~90% moisture content), and levels of the various irrigation periods; usual, initial, intermediate and final periods, being treat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1. As for the physical and chemical and soil properfies, and other characteristics,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enough to be effective for the growth of rice plants. 2. Culm length was measured after harvest as shown in table 2. 3. Difference of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did not change the culm length and ear length, however it also indicated more apparent increase in final treatment plots thatn that of usual. 3.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ars and number of ears pers per hill was founded treatments both in the difference of water supply and in the various irrigation periods. 4.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turing rate and 1000 grains weight. 5. The number of panicles and grains and more increased in 80~100% moisture contents soil than those of 120%. and it shows in un irrigated plots, more irrigated plots and control plots in turn. Other wise according to the period\ulcorner of irrigation the trend is appeared in turn initial, usual, final and intermediate treatments.6. Yield as shown in table 7. 8 was more increased in unirrigated plots(90~IOO%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plots (120% moisture content) by up to 8.2% and also 3. 2% in more unirrigated plots than that of control by periods is shown: usual plots final, initial, inter mediate treatment plots in turn. 7. The above resut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yields and soil properties are made by the unirrigation.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is treatment has .some advantages in the points that one could spare the amount of water supply for irrigation with more increase in yield. In addition, a higher temperature and a brisk oxygen supply would be possible throug h this treatments. Accordingly, these treatment would be a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cultivation method of rice for the better harvest.

  • PDF

미래 서울의 여름날씨 전망과 도시농업에의 영향 (Projections of Future Summer Weather in Seoul and Their Impacts on Urban Agriculture)

  • 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2-189
    • /
    • 2015
  • 기후이탈이 예상되는 2041-2070년 기간의 서울지방 여름(6월1일-9월30일) 날씨를 기상청 시나리오 기후자료(RCP8.5 기반) 가운데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측면에서 전망하고, 이것이 도시농업의 주작목인 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시기의 일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평균값은 과거평년(1951-1980)의 극한기후 기준(90분위)에 근접하였다. 반면 폭염과 열대야의 경우 기후이탈시점까지 가기 전인 가까운 미래1평년(2011-2040) 기간에 이미 최빈값이 과거에 관측된 변동범위를 벗어났다. 기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본 기후이탈시점은 2040년 이후이지만, 폭염이나 열대야 같은 기후 극한지수 차원에서는 기후이탈이 이미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농업의 주작물인 고추의 생육을 대상으로 시나리오기후를 적용한 결과, 기후이탈시점과 거의 함께 노지고추 최초 정식일, 최종 수확일 등 주요 농업기후도 이탈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최초 정식일로부터 최종 수확일까지 전 기간, 즉 노지고추 재배 가능기간은 과거평년 변동 범위로부터 이탈시기가 정식일이나 수확일보다 30년 일찍 시작되었다.

온수배관을 이용한 시설딸기 부분난방기술 개발 (Spot Heat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Strawberry Cultivated in a Greenhouse by Using Hot Water Pipe)

  • 문종필;강금춘;권진경;백이;이태석;오성식;남명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5호
    • /
    • pp.71-79
    • /
    • 2016
  • The effects of spot heating for growing the strawberry cultivated in a plastic greenhouse during the winter that were estimated in Nonsan strawberry experiment station located in Chungnam. The temperature of water for heating was controlled by a electric hot water boiler and kept at the range of $22{\sim}24^{\circ}C$. Heating pipes were set up in root zone for root zone heating and very close to crown for crown heating. Spot heating effects were estimated by applying spot heating system in three test factors of heating root zone, crown only and crown plus root zone. The material for crown heating pipe was whit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e nominal diameter of that pipe was 16 mm. The material for root zone heating pipe was flexible stainless steel and the nominal diameter of that pipe was 15A. The flow rate of heating water circulation was 480 L/h and water circulation lasted for all day long. Temperatures, harvest yield by test beds were surveyed from Nov. 10, 2013 to Apr. 29, 2014. The temperature of crown spot for crown heating bed was at the range of $13.0{\sim}17.0^{\circ}C$ during the night and that of crown spot in control bed was at the range of $8.0{\sim}14.0^{\circ}C$. Also, the temperature of root zone for root zone heating bed was at the range of $18{\sim}21.0^{\circ}C$ and that of root zone in control bed was at the range of $13.0{\sim}15.0^{\circ}C$. The cumulative yield growth rate in earlier harvest period (from Dec. 20 to Mar. 15) of crown heating bed was 43%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bed and the cumulative yield of crown plus root zone heating bed was 39 % and that of root zone heating bed was 39 %.

양파의 연작지(連作地)에서 질소(窒素) 및 가리비종별(加里肥種別) 생육반응(生育反應) (Effect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Types on Growth Responce of Onions Under Continuous Cropping)

  • 신복우;유철현;이상복;정지호;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1998
  • 양파의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질소비종(窒素肥種)(요소, 유안)과 가리비종(加里肥種)(염화가리, 황산가리), 그리고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석회)시용시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과 생육 그리고 수량성을 검토하고자 전남 무안군의 용계통(龍溪統)에서 천주황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체중(植物體中) N P K 흡수량(及收量)은 요소 및 염화가리시용구보다 토양진단시비(土壤診斷施肥)에 의해 유안과 황산가리 혼합시용(混合施用)으로 흡수량이 높았다. 토양중(土壤中) 황함량(黃含量)은 수확기(收穫期)보다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식물체중(植物體中) 황함량(黃含量)은 수확기(收穫期)에 가장 높았으며 구중(球中)보다는 경엽(莖葉)에서 높았다. 양파구중(球中) 당도(糖度)는 7.43~8.23 Brix로 차이가 있었으며 구(球)의 크기별로는 소구(小球)보다는 대구(大球)에서 높았다. 토양진단시비(土壤診斷施肥)에 의한 유안과 황산가리 혼용시용(混用施用)으로 건물중(乾物重)의 증가 및 구(球)의 상품율(上品率)이 높아 관행에 비해 2~6% 증수되었다.

  • PDF

복숭아 과실의 발육 중 세포벽성분 및 Glycosidase 활성의 변화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Glycosidases Activity during Development of Peach Fruits)

  • 장경호;김대현;변재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미백도', '대구보' 및 '유명' 과실의 발육단계별로 과실의 경도, 세포벽성분 및 g1ycisidase 활성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수확후의 저장중 과실에서와 같이 발육중인 과실의 연화에서 도 $\beta$-galactosid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5월 13일, 6월 16일, 7월 16일, 8월 5일이었으며, 수확기가 늦은 '유명'은 8월 28일에 한번 더 조사하였다. Total sugar와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은 각 품종의 세포벽물질을 증류수, 0.05M CDTA 0.05M $Na_2$CO$_3$, 4% KOH, 2.4% KOH로 차례로 분획하여 조사하였다. 과실의 발육에 따라 경도는 세 품종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유명' 과실의 경도는 모든 발육단계에서 '미백도'와 '대구보'보다 높았다. 발육단계에 따른 각 분획별 total sugar의 함량 변화는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세 품종의 세포벽 물질과 각 분획중의 주요 중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였다. '미백도'와 '대구보'의 수확일인 8월 5일의 증류수 가용성 분획의 rhamnose의 mol % 변화는 품종별 경도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용성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세 품종 모두에서 파실 발육초기에는 높았으나 초기 이후에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세포벽결합형 $\beta$-galactosidase는 세 품종 모두에서 발육초기에 높았던 활성이 수확기가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glycosidase의 활성들도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