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steer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8초

한우 거세우의 계절 및 군 두수별 행동 특성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ason and Group Size of Hanwoo Steer)

  • 하재정;이용준;조재희;장원진;김연욱;;송영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4
    • /
    • 2008
  • 본 시험은 두당 동일한 면적에서 비육전기 한우 거세우의 계절별 개체유지 및 사회적 행동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5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48두를 공시하여 두당 사육면적은 동일한 상태에서 각각 4두, 8두, 12두씩 2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행동측정은 15개월령, 17개월령, 19개월령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섭식행동(FD) 중 섭취시간은 가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름철이 가을, 겨울철 보다 유의적으로 짧은 섭취시간을 나타냈다(p<0.05). 2. 기립행동(ST)은 여름철이 유의적으로 가장 짧은 시간을 보였다(p<0.05). 3. 횡와행동(LD)은 여름철이 가을, 겨울철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p<0.05). 4. 음수행동(DR)에서는 겨울철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5. 개체유지 행동 중 함기행동(SG)과 긁기행동(SR)은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6. 사육공간별 행동 특성에서는 마리당 평균시간에서 걷기행동(WA)이 군 두수가 가장 큰 그룹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마리당 평균빈도에서는 군 두수가 가장 작은 그룹에서 자기몸핥기(SG)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계절 및 군 두수별로 한우 거세우의 행동 특성이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향후 보다 더 많은 개체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험조건 하에서 시험을 수행한다면 시설 및 환경을 연계해 친환경 축사조건을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Color Stability, Lipid Oxidation and Reducing Abi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eef during Retail Display

  • Lee, Sung Ki;Kim, Yong Sun;Liang, Cheng Yun;Song, Young H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529-1534
    • /
    • 2003
  • The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control; 200 IU/head/day, 500 IU/head/day and 1,000 IU/head/day) on color stability, lipid oxidation and total reducing ability in M. longissimus and M. semimembranosus from Hanwoo (Korean cattle) steer during retail display ($3{\pm}1^{\circ}C$, 1,200 lux) were investigated. The $L^{*}$, $a^{*}$, $b^{*}$, $C^{*}$, R630-R580 values and TRA (total reducing ability) of 1,000 IU group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a^{*}$, $C^{*}$, R630-R580 and TBARS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 longissimus than in M. semimembranosus. The $a^{*}$, $C^{*}$, R630-R580 values and TRA for two beef muscles declin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decline was more rapid in control and 500 IU groups. Hue angle and metmyoglobin (%) for two beef muscles increased (p<0.05) as display time increased, and 1,000 IU group had a lower rate of metmyoglobin accumulation during retail display. The TBARS values for two beef muscle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1,000 IU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over time. Consequently, the meat from 1,000 IU vitamin E-supplemented Hanwoo steer extended retail display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and 500 IU/head/day.

Effects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the Beef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 Kim, Do-Hyung;Oh, Young-Kyoon;Jang, Sun-Sik;Kwon, Eung-Gi;Seo, Yong-Joo;Ok, Ji-Un;Park, Keun-Kyu;Lee, Sung-Sill;Kim, Kyoung-Ho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32-83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using forty-eight Hanwoo steers. Each steer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catechins, wheat bran, and catechins+wheat bran (CW).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hemoglobin and iron concentration, and then steers were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Catechins, wheat bran, and CW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Percentage of myoglobin in M. longissimus dorsi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Percentage of oxymyoglobin was increased (p<0.05) by CW and maintained at the highest level (p<0.05) for CW during meat display time up to 24 h. Percentage of metmyoglobin was the lowest (p<0.05) for CW between 5 and 24 h during display time. Although blood iron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total concentration of muscle iron was the lowest (p<0.05) for CW compared with that of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W may provide good protection against oxidation of myoglobin, and might be an effective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meat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한우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and Steers of Different Slaughtering Ages)

  • 김병기;정대진;이지홍;황은경;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5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의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후 13개월령의 비육한우 36두(비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6두; 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두)를 공시하여 생후 26개월, 28개월, 및 30개월령까지 비육한 후, 도체특성,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도체의 냉도체중은 도축월령이 길어짐에 따라 비거세우와 거세우 모두 증가하였다(p<0.05). 등지방 두께에서 비거세우군은 28개월령이, 거세우군은 30개월령이 가장 두껍게 나타났고(p<0.05), 배최장근 단면적에서 비거세우군과 거세우군 모두 28개월령 때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p<0.05). 근내지방도, 가열감량 및 보수력은 양 처리군 모두 30 개월령 도축할 때 가장 높았고(p<0.05), 비육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전단력의 경우 비거세우군은 30개월령일 때에, 거세우군에서는 28개월령에 높았다. 도체의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양 처리군에서 28개월령과 30개월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우의 장기비육에 있어서 늦게라도 거세를 실시하면 뚜렷한 도체등급의 개선 효과가 있으며, 거세비육우의 도축월령은 육질적측면(마블링 스코어와 보수력)에서 생후 28개월과 30개월령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Analysis of Myosin Heavy Chain Isoforms from Longissimus Thoracis Muscle of Hanwoo Steer by Electrophoresis and LC-MS/MS

  • Kim, Gap-D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56-66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yosin heavy chain (MHC) isoforms in bovine longissimus thoracis (LT) muscle by liquid chromatography (LC) and mass spectrometry (MS). LT muscles taken from Hanwoo (Korean native cattle) steer (n=3) used to separate myosin bands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eptide queries were obtained from the myosin bands by LC-MS/MS analysis following in-gel digestion with trypsin. A total of 33 and 43 queries were identified as common and unique peptides, respectively, of MHC isoforms (individual ions scores >43 indicate identity or extensive homology, p<0.05). MHC-1 (IIx), -2 (IIa), -4 (IIb), and -7 (slow/I)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Mowse score (5118, 3951, 2526, and 2541 for MHC-1, -2, -4, and -7, respectively). However, more analysis is needed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MHC-4 in bovine LT muscle because any query identified as a unique peptide of MHC-4 was not found. The queries that were identified as unique peptides could be used as peptide markers to confirm MHC-1 (14 queries), -2 (8 queries), and -7 (21 queries) in bovine LT muscle; no query identified as a unique peptide of MHC-4 was found. LC-MS/MS analysis is a useful approach to study MHC isoforms at the protein level.

Differences in toughness and aging potential of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between Hanwoo cow, bull and steer

  • Zhen Song;Inho Hw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865-877
    • /
    • 2023
  • Thirty Hanwoo cattle including bulls, cows, and steers (n = 10 each) were slaughtered and investigated for carcass traits (weight, meat color, fat color, yield index, maturity, marbling score, back-fat thickness, and firmness) and meat quality. The meat quality such as: pH, color, cooking loss, fatty aci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warner-bratzler shear force, tensile tests, and texture profiles were analyzed on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s of the carcasses at different aging times (3 d and 21 d). The results showed that steers and cows had higher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nd a lower firmness (p < 0.001) than bulls. Bulls exhibited a lower meat quality indicating by higher cooking los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tensile test values (p < 0.01). Regarding the sensory property, the bull meat also had higher hardness, and lower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 scores than the cow or steer meat (p < 0.01). Additionally, the bull meat had a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a low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p < 0.01). With increased aging time, the meat tenderness was improved in all the gender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ender and aging time affected the carcass traits, fatty acid and sensory quality of beef. Postmortem aging could improve the meat tenderness of all genders especially bulls.

한우 성숙도와 추출횟수가 사골용출액의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Maturity Scores and Number of Extractions on the Sensory Traits of Water Extract from Hanwoo Shank Bones)

  • 김진형;조수현;성필남;하경희;윤영탁;임동균;박범영;이종문;김동훈;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5-50
    • /
    • 2008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중인 한우 사골의 과학적인 거래기준을 제시하고자 성숙도 2(수소), 성숙도 2(거세), 성숙도 3-9(암소)의 한우 반도체 각 4두에서 사골(상완골, 전완골, 대퇴골, 하퇴골)을 구입하여 총 4회 추출한 사골 용출액의 관능특성(백색도, 향, 맛, 전체기호도)을 분석하였다.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 용출액의 백색도 점수가 성숙도 3부터 9에 해당하는 한우 암소 사골용출액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향에서도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용출액이 성숙도 3부터 9까지(성숙도 5 제외)의 한우 암소 사골 용출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용출액이 성숙도 3부터 9에 해당하는 한우 암소의 사골용출액 보다 맛과 전체기호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추출횟수에 따른 백색도, 향, 맛 그리고 전체기호도 점수 변화는 전체 성숙도에서 2차 추출한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관능특성에서 성숙도 2(수소와 거세우) 사골용출액과 성숙도 3-9(암소) 사골용출액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 성숙도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가사골거래기준으로 적합한지는 보완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성숙도와 추출횟수가 사골용출액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urity Scores and Number of Extraction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 from Hanwoo Shank Bones)

  • 김진형;조수현;성필남;하경희;정진형;임동균;박범영;이종문;김동훈;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3-468
    • /
    • 2007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중인 한우 사골의 과학적인 거래기준을 제시하고자 성숙도 2(수소), 성숙도 2(거세), 성숙도 3-9(암소)의 한우 반도체 각 4두에서 사골(상완골, 전완골, 대퇴골, 하퇴골)을 구입하여 총 4회 추출한 사골 용출액의 탁도와 색도(명도), 콜라겐과 단백질 함량, 칼로리 및 콘드로이친 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 용출액의 탁도와 명도가 성숙도 3부터 9에 해당하는 한우 암소 사골용출액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추출횟수에 따른 탁도와 명도의 변화는 전체 성숙도에서 2차 추출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 용출액의 콜라겐과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성숙도 2에 해당하는 한우 수소와 거세우 사골 용출액의 칼로리와 콘드로이친 황산 함량이 성숙도 3부터 9에 해당하는 한우 암소 사골용출액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추출횟수에 따른 콘드로이친 황산 함량 변화는 전체 성숙도에서 추출횟수가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체 실험항목에서 성숙도 2(수소와 거세우) 사골용출액과 성숙도 3-9(암소) 사골용출액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 성숙도에서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가 사골거래기준으로 적합한지는 보완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seasonal effect o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birth weight

  • Cho, Kwanghyun;Song, Yirim;Yeo, Joon-Mo;Park, Jin-Ki;Kim, Dong-Wook;Roh, Seung-Hee;Seong, Pilnam;Lee, Won-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759-765
    • /
    • 2021
  • Recently, summer temperatures have frequently been abnormal in Korea owing to global warming. In summer, a decrease in feed intake rate and biological activity were observed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leading to lower production rates in the industry. However, the precise scale of damage was not reported as with other animals of economic valu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rth season on birth weight in Hanwoo.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local breeding farms from 2016 to 2019. A total of 41,081 Hanwoo calv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sex, year, month, and season (March-May, spring; June-August, summer; September-November, fall; and December-February, winter) of birth. The birth weight of Hanwoo calves differed according to birth month. The average birth weight of male calves was 30.47 kg and that of female calves was 28.16 kg. Hanwoo birth weight was the highest in March-born calves and the lowest in July-born calves. The birth weights of calves born in February, March, April, November, and December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calves born in July. In addition, the birth weight of Hanwoo calves from the summ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alves born in other seasons. Furthermore, Hanwoo steer slaughter ag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hereas carcass weigh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irth weight. In the beef cattle industry, birth weight is a very important economic characteristic that is related to growth rate. These data will contribute toward planning the reproduction of Hanwoo and analysis of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economic value owing to high temperatures.

제주도산 한우와 제주흑한우 집단의 도체형질에 대한 Lysophospholipase I (LYPLA1) 유전자형의 효과 (Genotypes of Lysophospholipase I (LYPLA1) Gene Associate with Carcass Traits of the Jeju Crossbred Cattle (Hanwoo × Jeju Black cattle) and Hanwoo Populations)

  • 한상현;성필남;조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60-766
    • /
    • 2017
  • 본 연구는 Lysophospholipase I (LYPLA1) 유전자의 SNP 마커인 rs385360448 g.23655332G>C의 유전자형이 제주도 한우와 제주흑한우(한우${\times}$제주흑우, JCC) 집단의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한우 거세우 집단에서 LYPLA1 rs385360448 G/-를 보유한 도체는 C/C 동형접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근내지방도(MARB)와 조직감지수(TI)를 나타내었다(p<0.05). 반면, LYPLA1 유전자형은 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육색, 지방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JCC 거세우에서는 LYPLA1 G/- 도체에서 C/C 동형접합에 비해 등심단면적(EM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이번 연구의 결과들은 LYPLA1 유전자형이 소의 등심에서 인지질 대사를 통해 근내지방도와 조직감의 수준과 등심단면적의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LYPLA1 유전자형이 한우와 제주흑우-유래의 산업화축군에서 도체형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