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over improvem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 of Oak Wood Vinegar Extract o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 Choi, Young-In;Kwon, Jin-Soo;Song, Yoon-Seok;Wang, Sung-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1호
    • /
    • pp.41-47
    • /
    • 200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ak wood vinegar extract influence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in healthy volunteers. 2% wood vinegar extract was effective to inhibit increas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fter alcohol intake an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0.1) compared to placebo. By result of questionnaire of volunteers, wood vinegar extract showed effects improving hangover syndrome. In comparative study about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of wood vinegar extract and other extract that hangover improvement effect was reported, average maximum blood alcohol concentration was lowered in those taking wood vinegar extract than those taking other extract. At drinking completion 210minutes (T210),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ose taking wood vinegar extract was the lowest by 0.063% compared with other extract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those taking wood vinegar extract and in those taking other extract. However, wood vinegar extract's experimental group was the highest by 0.462 in decrement rat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when did P<0.1 by significance level, indicated difference that mean statistically compared to placebo group uniquely. At those taking wood vinegar extract, the improvement rate and the aggravation rate of hangover syndrome was each 87%, 2%. Thus it was concluded that wood vinegar extract showed excellent alcohol oxidation and was effective in hangover improvement.

숙잠 함유 복합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우미선;차지현;김용환;강희택;김현덕;조경원;박성선;이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2-77
    • /
    • 2021
  • 숙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숙취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조절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인 시험식품(CKDHC)의 섭취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대조식품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특히, 30분부터 각 시간별(mg/L),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최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Cmax)의 감소를 통해 30분부터 빠른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원료로 사용된 숙잠은 Ji 등(2016a)에 따르면 18종의 아미노산 및 무기질을 모두 함유하며, 고단백 식용곤충으로 간에 좋은 주요 아미노산인 Alanine, Arginine 등을 많이 함유하여 간의 효소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수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숙잠을 함유하는 시험식품이 숙취해소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음주 전 섭취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분해하여 30분부터 숙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Mobile IPv6의 빠른 핸드오버 기법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Fast Handovers in Mobile IPv6)

  • 조경산;엄희용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2
  • IETF proposed Fast Handover mechanism tn reduce the latency during which the mobile node is effectively dusconnected from the Internet. In this paper, we propose three buffering strategies and a bicasting strategy to resolve packet loss and packet disordering problems in Fast Hangover mechanism. Through Java-based simulation we show thats, packet loss and disordering problems have been resolved by our proposal. As the result the buffering and bicasting strategies can reduce the handover delay caused by packet loss and packet disordering, in addition.

  • PDF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식초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Vinegar Extract in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김수정;손황배;박아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5-445
    • /
    • 2023
  • 메밀은 루틴과 콜린을 많이 함유한 기능성 작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의 알코올대사와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혈중 알코올 분해능, 혈액과 간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효소 측정, 간 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농도를 분석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종실에서 일반메밀 종실보다 55배 높았다. 콜린 함량은 쓴메밀 식초 추출물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능은 대조군에 비해 쓴메밀군에서 36.0%의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유의한 알코올 분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일반메밀군은 120분, 쓴메밀군은 90분에 최고치 도달 후 감소하여 숙취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액과 간 조직의 ADH와 ALDH 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메밀처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취해소 효과가 모두 인정되었으며, 일반메밀군보다 쓴메밀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간 조직의 SOD와 Catalase 활성도 일반메밀보다 쓴메밀군에서 각각23%, 37% 고도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은 모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 '황금미소'는 일반메밀보다 숙취해소 소재로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헛개과병추출물과 인삼열매추출물의 혼합 음료 섭취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xed supplementation on Hoveni dulcis Thunb extracts and Ginseng-Berry extracts on hangover curves)

  • 박노환;이정옥;조인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359-367
    • /
    • 2019
  • 본 연구는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 보호, 피로회복, 체력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헛개과병추출물과 인삼열매 복합추출물의 섭취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20세 이상 자발적으로 참여한 6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과 반복측정설계방법을 이용하여 블록무작위배정을 통해 집단 별 인원을 구성하였다. 집단 구성은 헛개과 병추출물+인삼열매 복합추출물(ARI 1000) 투여군,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을 각각 16명을 구성하였다. 호흡기알콜농도 변화결과 ARI 1000 투여군이 음주 1시간에서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주 2시간, 3시간에는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알코올 농도결과 음주 2시간, 3시간 후에 ARI 1000 투여군이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음주 전 ARI 1000 섭취는 호흡기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숙취효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소재복합물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활성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 감소 (Natural herbal extract complex induces the degrad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reduces the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 황지홍;김미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81-392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소재 12종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라디칼 소거능, 알코올탈수소효소(ADH),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하고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배합한 복합물의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수한 개별 소재를 선정하고 배합비를 달리하여 효능 평가를 통해, 배합비가 효능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8종의 추출물 중 보이차, 소나무, 갈근 순으로 ADH 활성이 높았고, 갈근은 배합량과 효능 간의 양의 상관관계, 보이차, 소나무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소재로 배합한 F1~F7 을 대상으로 ADH, ALDH 활성평가를 통해 F.7에서 상승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여 최적 배합비로 도출하였다. F.7를 섭취한 시험군에서 알코올 섭취 30분 후부터 호기 알코올 농도가 섭취 직후 호기중 알코올 농도 대비 58%로 유의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120분 후 27%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었다.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증상 설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음주 후 발생하는 피곤함과 갈증에서 유의적인 개선효과 (p<0.05)가 있었다.

헛개 열매와 배 추출물을 첨가한 향신간장 소스의 관능평가 (Sensory Evaluation of Seasoned Soy Sauce with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and Pear Extracts)

  • 오경희;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3-32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soy sauce containing an extract of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Hutgae), also known as liver function improvement and hangover removal. Aqueous extracts of Hutgae fruit and Hutgae fruit-soy sauce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sensory evaluation. The intensity of the sweet smell and taste was predominated in the Hutgae fruit extract (p<0.05). Various seasoning items, such as apples, pears, dried figs, Korean bramble (Bokbunja), citron (Yuza) and sun-dried hot pepper (Taeyangcho),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itable type of seasoned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 extract. In the sensory analysis,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acceptance score 5) was obtained from the pear extract added to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 The overall preference of Yuza (score 4.9) and Taeyangcho (score 4.5) extracts also very well-matched the seasoning items for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 extrac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extract mixtures of multi-seasoning items added to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 extract. As more pear extract was added, a higher overall preference was obtained. On the other hand, as the more Yuza extract was added, the higher flavor intensity without the change of the overall preference was obtained. The overall preference of soy sauce with the pear- Yuza-Taeyangcho extract mixture was not different between with or without the Hutgae fruit extract. However, the overall preference (score 5.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ear extract added to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 extract compared with the pear extract added to soy sauce without the Hutgae fruit extract (score 4.8).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 sauce with the Hutgae fruit-pear extract mixture may be useful as a functional seasoning for various salad dressings.

대구.경북 지역의 청국장 제품에 대한 기호도 및 이용실태 조사 (Study on Preference and Using Behavior of Chungkukjang Produc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 안상희;박금순;박어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0-397
    • /
    • 2010
  • Survey data from 654 adults (225 males, 429 females) were analyzed based on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in results were based on the preference for chungkukjang_(CKJ) product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survey, traditional CKJ products received the highest score_(3.64)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among all tested products. The responses to eight questions about CKJ products were also measur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question_ as to whether or not "CKJ has anticancer function" received the highest score_(4.24) while the "CKJ is good for hangover" scored the lowest.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CKJ products, "good for health" (55.3%) and "unpleasant smell" (72.9%) were the most popular answers, Regarding the intention to eat CKJ food products, CKJ tofu was most often selected. Among the 11 items, CKJ tofu, CKJ steak, CKJ hamburger, CKJ ice cream; and CKJ vegetable salad were highly preferred food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that expected "increasing" prospects for CKJ consumption was 55.2%, most likely because 76.9% of the respondents selected "healthy food". Regarding the reasons for decreasing prospects, 68.9% of the respondents chose "peculiar smell". In the same manner, 53.4% of adults replied that future quality improvement should "improve the smell".

만성 알코올 처리 쥐에 대한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a soybean sprouts mixture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fruit concentrate on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 허지안;민혜지;박울림;김정호;원영선;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86-498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유도 쥐에 대한 1.5%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이 첨가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군(SHM) 내 ampelopsin 및 L-asparagine의 함량은 10.52, 35.19 ppm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성 알코올 급여에 의해 체중 변화량이 감소하고, 간 중량은 증가한 반면 SHM 처리시 유의적으로 체중 변화량이 증가하였으며, 간 중량이 감소하였다. 혈중 alcohol 및 acetaldehyde의 농도는 SHM군에서 2.89, 0.53 g/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은 SHM군에서 33.11, 102.06 U/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만성 알코올 유도는 ALT, AST 및 GGT와 같은 간 기능 지표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켰지만, SHM 처리시 각각 41.00, 130.83 및 0.47 U/L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및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SHM군에서 1.45와 33.00 mmol/L로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고, 만성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혈중 total cholesterol 및 LDL cholesterol 함량은 SHM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만성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혈중 HDL cholesterol 함량은 SHM 처리시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만성 알코올 유도군의 간 조직은 형태학적 관찰에서 황갈색을 띠었고, 병리학적 관찰에서는 지질방울의 크기 및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SHM 처리시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색은 적갈색으로 나타났고,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지질방울 크기 및 수는 감소하였다. SHM군의 간 조직 및 혈중 지질 과산화 함량은 677.68, 76.26 nmol/g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간 조직 및 혈중 GSH 함량은 SHM군에서 가장 높은 값인 19.93 및 20.08 μmol/k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나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의 단일 섭취보다 혼합하였을 때 ampelopsin 및 asparagine과 같은 유효성분들의 시너지에 의해 SHM군에서 증진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