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ting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비정규노동 수기와 노동의 기록화 (A Study on the Contingent Worker's Handwritings and Documentation of Labor)

  • 곽건홍
    • 기록학연구
    • /
    • 제64호
    • /
    • pp.5-25
    • /
    • 2020
  • 아카이브는 노동기록의 부재에 대해 침묵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 삶의 흔적을 기록화해야 한다. 곧 비정규 노동자의 행위와 고통을 기록으로 재현하는 일, 이를 바탕으로 자본주의의 억압적 구조를 밝히는 작업은 당대 아카이브의 책무이다. 노동수기 등 비정규 노동자의 삶을 표상하는 기록이 현재사를 상징하는 기록의 핵심이 되어야 하며, 아카이브는 이를 기록화해야 한다. 아카이브는 중립성의 환상을 폐기해야 한다.

온라인 서명 검증을 위한 필기의 구조적 표현 (A Structural Representation of Handwritings for Automatic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 김성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47-154
    • /
    • 2005
  • In conventional approaches such as a functinal approach or a parametric approach to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which could not deal with the local shape of signature, much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s inherent in the local part of signature shape have been overlooked. In this paper, we try a structural approach in which a signature is represented as a structural form of handwriting primitives and the local parts along a signature handwriting can be selectively compared according to their discrimination power in the process of signature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error rate is diminished in the case that the weights of subpattern units is applied into comparing process, which is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power of local part. And also, the global variation and complexity of each signature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local shape is found useful in determining the decision threshold more precisely.

  • PDF

한글 자소의 필기 특징 분석 (Handwriting Feature Analysis of Korean Alphabets)

  • 권오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9-139
    • /
    • 2001
  • 한글 필기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필기샘플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필기 수집은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은 글자와 자소 단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분석은 주로 글자의 획수, 필기 방향, 자소 사이의 위치 관계, 글자의 폭과 높이의 비를 주된 형태 특징 요소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자료는 국어과 필기 지도를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뿐 아니라 한글 자형 및 정보화 연구에도 긴요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필기 문자의 확률 분포 유사성에 기반한 필기자 종속적 온라인 필기 한글 낱자 생성 (Writer Dependent Online Hangul Syllable Generation based on Similarity between Probabilistic Distributions of Handwritings)

  • 최현일;김자환;김진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871-873
    • /
    • 2005
  • 필기는 특정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매우 효과적인 매체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개인의 필기를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필기 인식 분야에서는 높은 성능의 필기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양의 필기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어진 데이터내의 문자 조합을 바탕으로 한글 필기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데이터에서 관측되지 않은 필기까지도 생성하는 것을 주요 문제로 다룬다. 실험 결과 생성된 필기는 실제 필기와 시각적으로 매우 유사함을 보인다.

  • PDF

동관왕묘의 어제(御製) 현판(懸板)의 유형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Contents of Hanging Boards Inscribed with King's Writings in Donggwanwangmyo[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52-77
    • /
    • 2016
  • 관우를 모신 동관왕묘에는 51점의 현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들은 조선의 국왕이나 명 청대 사신 및 장군들이 쓴 것이다. 그동안 현판에 대한 연구는 궁궐에 소장된 것들이 주로 연구되었고, 동관왕묘의 것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국왕의 글씨로 만든 현판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현판의 제작자와 제작시기 및 제작배경을, 형식상으로는 현판의 유형과 재료 및 시기별 양식 변천을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동관왕묘에 국왕 글씨로 만든 현판은 총 7점이 현존하고 있다. 숙종이 쓴 1점, 영조가 쓴 4점, 고종이 쓴 2점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건물의 이름을 쓴 편액(扁額)과 동관왕묘에 방문한 느낌을 시로 쓴 시액(詩額)으로 나뉘었다. 특히 후자는 국왕이 봄과 가을에 능행(陵幸)하면서 동관왕묘에 들렀을 때 썼으며, 관우의 의리와 충성을 통해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의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국왕의 현판은 명 청대 사신이나 장군의 것들과 비교할 때 재료나 형식면에서 차별화되었다. 바탕은 청색[회회청(回回靑) ]이나 주색[주칠(朱漆)] 및 옻색[흑칠(黑漆)]으로서, 먹색[묵(墨)]이나 흰색[분질(粉質)]으로 된 현판보다 고급 재료로 칠하였다. 글씨는 양각으로 새긴 위에 금(金)으로 칠하였다. 현판의 형식은 4면이 모판처럼 $45^{\circ}$로 비스듬하며 단청기법으로 꽃문양이나 칠보문양을 그렸고, 그 좌우와 아래로 길게 빼 당초문양을 장식하였다. 이것은 '사변형(斜邊形)'이라고 부르는 형식이며, 나머지 3종류의 형식보다 품격이 높아 최고 수준의 것이었다. 이처럼 국왕의 글씨를 새긴 현판의 존재를 통해 조선후기에 동관왕묘는 국왕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군인들의 충성심을 강조한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명대 사신이나 청대 장군의 글씨로 제작된 현판과 형식 비교나 시기별 양식적 변천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

한글 글립의 조형적 분석에 기반한 중간 폰트 생성 (Intermediate Font Generation based on Shape Analysis of Hangul Glyph)

  • 구상옥;정순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4호
    • /
    • pp.311-3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외곽선 폰트의 한글 글립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두 폰트에 대한 중간 폰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글 글립은 글자, 자소, 획과 같이 계층적으로 표현되고 분석된다. 글립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같은 글자를 나타내는 서로 다른 두 글립에 대해서 모핑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개의 중간글립들을 얻는다. 자연스러운 글립 외곽선 모핑을 위해 스트링의 가중 평균(weighted-mean)에 의한 커브모핑 방법을 사용하며, 위상이 다른 글립 간 변환을 위한 네 가지 연산을 제공한다. 제안된 한글 글립 모핑 방법은 기존의 폰트 또는 손글씨로 부터 새로운 폰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emiautomatic 3D Virtual Fish Modeling based on 2D Texture

  • Nakajima, Masayuki;Hagiwara, Hisaya;Kong, Wai-Ming;Takahashi, Hirok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18-21
    • /
    • 1996
  • In the field of Virtual Reality,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there are many studies on generating virtual creatures on computer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automatically generate 3D fish models from 2D images which are printed in illustrated books, pictures or handwritings. At first, 2D fish images are captured by means of image scanner. Next, the fish image is separated from background and segmented to several parts such as body, anal fin, dorsal fin, ectoral fin and ventral fin using the proposed method“Active Balloon model”. After that, users choose front view model and top view model among six samples, respectively. 3D model i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separated body, fins and the above two view models. The number of patches is decreased without any influence on the accuracy of the generated 3D model to reduce the time cost when texture mapping is applied. Finally, we can get any kinds of 3D fish models.

  • PDF

Semantic crack-image identification framework for steel structures using atrous convolution-based Deeplabv3+ Network

  • Ta, Quoc-Bao;Dang, Ngoc-Loi;Kim, Yoon-Chul;Kam, Hyeon-Dong;Kim, Jeong-Ta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0권1호
    • /
    • pp.17-34
    • /
    • 2022
  • For steel structures, fatigue cracks are critical damage induced by long-term cycle loading and distortion effects. Vision-based crack detection can be a solution to ensure structural integrity and performance by continuous monitoring and non-destructive assessment. A critical issue is to distinguish cracks from other features in captured images which possibly consist of complex backgrounds such as handwritings and marks, which were made to record crack patterns and lengths during periodic visual inspections. This study presents a parametric study on image-based crack identification for orthotropic steel bridge decks using captured images with complicated backgrounds. Firstly, a framework for vision-based crack segmentation using the atrous convolution-based Deeplapv3+ network (ACDN) is designed. Secondly, features on crack images are labeled to build three databanks by consideration of objects in the backgrounds. Thirdly, evaluation metrics computed from the trained ACDN models are utili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bstacles on crack detection results. Finally, various training parameters, including image sizes, hyper-parameters, and the number of training images, are optimized for the ACDN model of crack detectio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fatigue cracks could be identified by the trained ACDN models, and the accuracy of the crack-detection result was improved by optimizing the training parameters. It enables the applicability of the vision-based technique for early detecting tiny fatigue cracks in steel structures.

쓰기검사에서 글씨체가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cellent or Bad Handwriting on the Writing Assessment)

  • 유경;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42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ndwriting on the writing assess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handwriting is excellent or bad. Methods: A total of 2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ssessed 6 original writings and 6 transcriptions of the same original writings using the HWP 2007 program. Six writings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tudents of 4th to 6th grades, 3 of 6 students presented with excellent handwriting and 3 of 6 with bad handwriting. The assessments were done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propositional knowledge assessment (You & Jeong, 2008). Results: In the excellent handwritings, the rules of orthography and the contents of introduction of the original writings were scored higher than those in the transcrip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ranscription and original writing showed minus scores in original writing assessments and plus scores in transcription assessments. In the propositional knowledge score and its subscales scores - content knowledge, text knowledge, language knowledge and text context knowledge -, were differences in transcription assessment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riginal writing assessments. Several assessment indices - clarity of the ending, contents of introduction, appropriate contents, rules of orthography, structured composition and various vocabular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s in transcription assessments than those in original writing assessments. Conclusions: The excellent handwriting could be assessed high and the bad handwriting could be assessed 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the effects of handwriting factors on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and that the transcription could be used for an accurate writing assessment.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Assumptions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and Saahm Park Soon's Garden Remains)

  • 노재현;박주성;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50
    • /
    • 2016
  • 창옥병의 지명 오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지도, 옛시문, 옛그림 등의 문헌자료조사와 암각 및 조망특성에 대한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창옥병의 위치를 비정하고, 이곳의 향유주체인 사암 박순과 그가 경영한 배견와 및 별업 이양정의 공간 구조와 정원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옥병은 옥병서원과 일체감을 갖는 공간역으로 옛그림과 고지도 그리고 암각문의 존재로 볼 때 옥병서원 바로 앞의 석벽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과 현재 창옥병으로 알려진 오가리석벽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약 460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광의의 창옥병 경관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시문에 등장하는 "창옥병급산금(蒼玉屛及散襟)"이란 표현에서도 산금대라 암각된 병풍바위가 바로 협의의 창옥병임이 유추된다. 또한 오가리석벽에서는 단 1점의 암각도 확인되지 않는 반면 옥병서원 전면부 암벽 도처에는 사암 박순이 명명하고 주문하여 새긴 11개소의 암각 중 8개의 경물명과 제영시가 필첩(筆帖)처럼 밀집되어 있음은 옥병서원 앞의 강벽(江壁)이 의심할 여지없는 창옥병인 것으로 비정된다. '수월정신송균절조(水月精神松筠節調)'암각은 창옥병의 향유주체였던 사암의 고매한 인격과 덕행을 함축하는 창옥병의 상징언어이자 이곳의 장소 요체(要諦)로, 기존 알려진 것과는 달리 우암 송시열의 필적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한편 사암의 정원유적 창옥병은 왼쪽으로부터 산금대-수경대-청학대-백학대의 4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산금대 후면에는 본제인 배견와를, 백학대 좌측의 기암석벽 위에는 별업 이양정을 조성하여 멀리 오가리석벽의 장관(壯觀)을 관망하는 조망구도를 갖도록 계획되었다. 사대(四臺)) 좌측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한 이양정은 사암의 별업이자 독서처이자 장구지소(杖屨之所)이며 그 앞 너럭바위에 존재하는 와준(窪樽)은 사암의 술풍류를 반영한 정원시설로 비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