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ting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Fuzzy-Membership Based Writer Identification from Handwritten Devnagari Script

  • Kumar, Rajiv;Ravulakollu, Kiran Kumar;Bhat, Rajes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893-913
    • /
    • 2017
  • The handwriting based person identification systems use their designer's perceived structural properties of handwriting as featur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system that uses those structural properties as features that graphologists and expert handwriting analyzers use for determining the writer's personality traits and for making other assessments. The advantage of these features is that their definition is based on sound historical knowledge (i.e., the knowledge discovered by graphologists, psychiatrists, forensic experts, and experts of other domain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andwritten stroke characteristics and the phenomena that imbeds individuality in stroke). Hence, each stroke characteristic reflects a personality trait. We have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se features on a subset of handwritten Devnagari and Latin script datasets from the Center for Pattern Analysis and Recognition (CPAR-2012), which were written by 100 people where each person wrote three samples of the Devnagari and Latin text that we have designed for our experiments. The experiment yielded 100% correct identification on the training set. However, we observed an 88% and 89% correct identification rate when we experimented with 200 training samples and 100 test samples on handwritten Devnagari and Latin text. By introducing the majority voting based rejection criteria, the identification accuracy increased to 97% on both script sets.

SHWI를 이용한 한글서명 계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hangul signature by SHWI)

  • 김정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205-2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필적계측도를 이용한 한글서명 계측을 통하여 알콜이 필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필적이 알콜 등 약물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알콜 섭취가 필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 상태에서 작성된 필적과 평소 필적이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30 명의 서명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비교의 기준이 된 특징들은 크기, 글자 간격, 획의 탈락 유무, 필순, 이어쓰기이다. 30 명 중 90.0%인 27 명의 필적에서 는 평소 필적과 음주 상태에서의 필적들이 한 가지 특징 이상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10.0%에 해당하는 3명은 평소 필적과 음주 상태에서의 필적에서 차이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DTW와 PCA에 기반한 효과적인 필적 검증 (Effective Handwriting Verification through DTW and PCA)

  • 장석우;허문행;김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5-32
    • /
    • 2009
  •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패턴분석을 적용하여 두필적의 유사성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필적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필적 문서에서 문자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된 문자 영역에 대한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비선형적인 형태로 추출되는 특징으로부터 동적 타임 워핑(DTW)과 다변량 통계 분석법(PC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특징과의 유사성을 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필적 검증 방법은 효과적인 특징 추출 방법 및 기존의 짧은 패턴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던 방법들을 다양한 길이를 가진 특징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필적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인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함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보여준다. 제안된 필적 검증 방법은 기존에 감정 전문가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되던 필적 검증 작업을 자동화하고, 기존 필적 검증 작업의 객관성을 배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riter Identification using Wii Remote Controller

  • Watanabe, Takashi;Shin, Jung-Pil;Chong, Ui-Pil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for handwriting recognition in three dimensions (3D) to authenticate user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used a stylus pen for two-dimensional input on a tablet, this study uses the Wii Remote controller because it can capture 3D human motion and could therefore be more effective means of recogniti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Wii Remote controller included x and y coordinates, acceleration (x, y, z), angular velocity (pitch, yaw, roll), twelve input buttons, and time. The proposed system calculates distances using six features extracted after preprocessing the data. In an experiment where 15 subjects wrote "AIZU" 10 times, we obtained a 94.8% identification rate using a combination of writing velocity, the peak value of pitch, and the peak value of yaw. This suggests that this system holds promise for handwriting-based authentication in the future.

한글서명의 알콜 섭취에 의한 외형 변화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hape changes of hangul signatur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 노승찬;박성우;김정호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607-614
    • /
    • 2010
  • 필적을 감정할 경우 음주상태에서 작성된 필적들을 비교해야 하는 어려움에 자주 직면하게 된다. 알콜 섭취에 따른 소뇌 기능 장애로 인하여 가속과 감속, 떨리는 움직임 등의 동작 능력 통제에 장애가 발생하므로 개인 필적에서 상당한 차이가 관찰된다. 음주상태에서 작성된 필적이 기재된 협박메모를 확보하더라도 작성자가 검거된 후 자신이 작성한 것이 아니라고 부인하는 경우 필적감정에 의한 범인 특정이 어렵게 된다. 외국의 많은 연구에서 알콜의 필적에 대한 영향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통계적 처리 없이 약간 또는 증가와 같이 경험적인 표현에 그치고 있어 통계적인 평가 및 비교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에 의한 필적의 변화에 대하여 서명의 길이, 높이와 서명에 포함된 한글 자음 ㄱ, ㄴ을 추출하여 각각의 내각, 외각, 길이비율의 계측값을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필기 입력데이터에 대한 언어식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nguage Identification System for Handwriting Input Data)

  • 임채균;김규호;이기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3-68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로의 도약을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마우스, 키보드뿐만 아니라 필기, 음성, 시각, 터치와 같이 다분야로 세분화되어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크기로 인하여 추가가능한 장치의 제약이 심하기 때문에, 작은 화면에서도 효율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로 필기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필기 인식에 대한 이전 연구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하거나 벡터로 입력받은 필기데이터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이 대부분이며, 필기 인식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연구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실제 필기 입력하는 경우에는 현재 문자가 영문 대/소문자, 한글, 숫자 등의 어느 분류에 속하는지 선택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상 분석을 통하여, 영문이나 한글의 여부를 판단하고 언어식별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벡터 단위의 집합으로 필기 데이터를 취급하여 각 벡터 간의 상호관계와 방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언어식별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의 정량적 영상처리 분석 (Quantitative image processing analysis for handwriting legibility evaluation)

  • 김은빈;이초희;김은영;이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58-165
    • /
    • 2019
  • 선수능력의 발달 미흡과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쓰기 장애는 의미전달의 혼동을 줄 수 있고 가독성이 떨어지며 학습, 사회정서 문제 유발 가능성이 높다. 이에 문제 파악과 적시 개입을 위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지만 임상에서는 수기에 의한 채점 방식을 채택하며 주관적인 평가에 따른 오류 가능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성인의 오프라인 필기체 문자를 영상처리를 통해 글자의 크기비율, 위치를 데이터화 하고 정량화 하며 수기 채점방식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쓰기 수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12일부터 16일까지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성인 20명을 채택하여 10단어, 2 문장 자극을 평소 쓰기 습관을 유지한 후 연필을 사용해 따라 쓰며 쓰기 검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글씨 측정 알고리즘 결과 단어의 높이가 폭에 비해 1.2배 정도 크고 왼쪽 아래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 9mm의 간격을 두고 띄어 썼다. Paired T test를 통한 수기와 본 시스템의 분석결과, 단어 검사와 문장 2의 검사는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여 추후 검사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성인의 오프라인 필기체 문자를 영상처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쓰기 수행을 평가하였으며 수행 규준을 위한 예비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다양한 연령대의 쓰기 진단의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으며 아동의 경우 쓰기 장애 개입에 깊이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ulti-Level Integrator with Programming Based Boosting for Person Authentication Using Different Biometrics

  • Kundu, Sumana;Sarker, Goutam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5호
    • /
    • pp.1114-1135
    • /
    • 2018
  • A multipl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new boosting technique has been approached utilizing different biometric traits, that is, color face, iris and eye along with fingerprints of right and left hands, handwriting, palm-print, gait (silhouettes) and wrist-vein for person authentication. The images of different biometric traits were taken from different standard databases such as FEI, UTIRIS, CASIA, IAM and CIE. This system is comprised of three different super-classifiers to individually perform person identification. The individual classifiers corresponding to each super-classifier in their turn identify different biometric features and their conclusions are integrated together in their respective super-classifiers. The decisions from individual super-classifiers are integrated together through a mega-super-classifier to perform the final conclusion using programming based boosting. The mega-super-classifier system using different super-classifiers in a compact form is more reliable than single classifier or even single super-classifier system. The system has been evaluated with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score metrics through holdout method and confusion matrix for each of the single classifiers, super-classifiers and finally the mega-super-classifier. The different performance evaluations are appreciable. Also the learning and the recognition time is fairly reasonable. Thereby making the system is efficient and effective.

Language Identification in Handwritten Word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Tung, Trieu Son;Lee, Gue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38-42
    • /
    • 2017
  • Documents of the last few decades typically include more than one kind of language, so linguistic classification of each word is essential, especially in terms of English and Korean in handwritten documents. Traditional methods mostly use conventional features of structural or stroke features, but sometimes they fail to identify many characteristics of words because of complexity introduced by handwriting. Therefore, traditional methods lead to a considerably more-complicated task and naturally lead to possibly poor results. In this stud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used for classification of English and Korean handwritten words in text documents.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works effectively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효과적인 필기체 인식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for Identification of Handwriting)

  • 김승주;이재영;한종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153
    • /
    • 2016
  • 최근 스마트폰, PC, 태블릿 같은 전자기기들이 발전하면서 기계를 통해 소통하는 시대가 왔다. 기계와 소통하기 위해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런 전자기기들이 문자, 영상인식을 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머신러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머신러닝은 컴퓨터의 학습을 위해 알고리즘과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를 말한다. 머신러닝의 기법과 관련된 알고리즘의 종류는 수없이 많다. 그 중에서도 Neural Network는 사람의 뇌 신경구조를 토대로 착안하여 네트워크를 만들고 이를 학습에 이용한 머신러닝 기법이다. 이런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Neural Network 구조를 바탕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학습을 하는 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법의 사용이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eural Network와 Convolution Neural Network의 알고리즘을 이용한 필기체 인식 실험을 하고 그 내용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