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icraf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현대 산업 직물디자인에 응용된 수공예적 요소의 의미 (Meaning of Handicraft Elements as Applied to Modern Textile Design)

  • 박남성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9-312
    • /
    • 2003
  • 현대의 산업은 고도의 첨단 과학기술과 함께 창의적 감각이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 직물 산업에서도 이 두 요소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맺으면서 전례 없는 고품질, 고기능, 고감도의 고부가가치 직물을 등장시키고 있다. 특히 창의적 감각은 직물의 부가가치 창출에 필요한 것으로, 현대인이 추구하는 다양화, 개성화, 차별화 된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직물디자인의 부가가치 창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공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기법이 제시한 응용 가능성 및 미적 창출방법을 고찰하여 창조적 현대직물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공예적 요소는 현대 직물디자인에 응용되어, 1) 신소재에 수공예의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여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미래적이고 전위적인 외관의 직물을 창조함으로서 산업직물의 예술화 경향에 기여하였고, 2) 수공예기법의 정교함을 기술적으로 완벽하게 산업직물에 구사하여 희소가치를 창출함으로서 직물의 고급화 경향을 선도하였으며, 3) 다양한 민속적 수공예 기법을 현대 직물디자인에 응용하여 문화의 혼합현상을 통해 이국적이며 다문화적 성격의 에스닉 경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수공예적 요소는 현대 산업 직물디자인에 응용되어 감성적, 시각적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서 직물의 가치창출에 기여하였으며, 소재가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여 새로운 직물 경향과 유행을 선도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쾌속조형기술을 이용한 전통상감 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Inlaying Base Using Rapid Prototyping Technique)

  • 장운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3
    • /
    • 2014
  • 오늘날 소비자의 요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신제품 개발 사이클이 짧아짐에 따라 쾌속조형기술이 점차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CAD/CAM기술의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귀금속분야에 사용되는 쾌속조형기술을 전통상감기법을 사용한 공예상품의 상감베이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적용하였다. 쾌속조형기술은 상감베이스를 제작하는 데 있어 기존의 전통수공예 기법으로 제작된 상감베이스보다 정밀하고 균일하며 다양한 입사 홈을 제작 할 수가 있어 보다 정교한 언더컷 형상과 균일한 상감디자인을 형상화 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쾌속조형기술을 통하여 상감베이스 입사홈 가공에 있어 보다 단시간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균일한 문양과 다양한 곡선 상에 입사홈을 가진 상감베이스를 제작할 수가 있었고 이는 품질, 비용, 납기 측면에서 보다 개선된 상감베이스를 제작 할 수가 있었다.

1910~30년대 여성 미술교육의 젠더화와 전시문화 연구 (A Study on Exhibition Culture and Gendering of Women's Art Education in the 1910s and 30s)

  • 고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07-414
    • /
    • 2021
  • 본 연구는 1910~30년대 여성과 미술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여성이 젠더화된 미술교육을 통해 어떻게 봉건적 여성관을 허물고 여성에 대한 인식변화와 사회진출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은 근대 교육을 통해 존엄성을 회복하고 자유와 남녀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식민지 정책으로 여성은 부덕함양을 위한 수예(手藝) 교육을 받으며 다시 전통적 여성성의 공간으로 회귀하였다. 하지만 일본 유학을 다녀온 소수의 신여성들이 여성의 자립을 위해 수예보급에 앞장선 방법과 수예가 공식적으로 미술공예적 성격을 부여받아 전시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었던 상황을 그 당시의 기록과 인터뷰, 신문기사를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예교육과 여성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여성을 사회적 존재로 성장시키는데 미술교육과 전시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충청북도 지역특산물의 시기별 변화와 지역적 분포 특성 (The Periodical Change and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peciality Products in Chungcheongbuk-do)

  • 최보미;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9-97
    • /
    • 2015
  • 지역특산물은 고 지리지의 주요 항목으로 구성되어 올 정도로 오래전부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충청북도 12개 시 군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지역특산물과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의 지리지에 수록된 토산물을 대상으로, 충청북도 지역특산물의 시기별 변화와 지역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의 지역특산물은 크게 농작물, 임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 4개 유형의 특산물과 가공식품, 공예품, 화장품 등 3개 유형의 특산품으로 구분되었다. 선정된 지역특산물 중에서 농작물이 모든 지역에서 가장 다양하게 분포하고 가공식품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선 전기와 후기의 지리지에 수록된 토산물의 유형은 농작물, 수산물, 임산물, 축산물, 공예품, 광산물의 6개 유형이고, 대추, 인삼, 꿀의 3개 품목이 널리 재배되었다. 셋째, 일제강점기의 지리지에 수록된 각 지역의 토산물은 수산물을 제외한 5개 유형이다. 조선시대에 비해 수록된 품목의 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했지만, 공예품의 품목수는 단양과 괴산군을 중심으로 매우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충청북도 지역특산물 중에서 역사지리적 전통성을 지닌 지역특산물은 18개 품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갯벌의 어장생산성 및 맨손신고어업의 합리적 관리방안 연구 : 서산-당진지역의 맨손신고어업 관리실태 분석을 기초로 (Reform Proposals Productivity fishing ground of Intertidalmudflat and for the Management Policy of Reported Fisheries in Korea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Handicraft Reported Fisheries around Seosan and Dangjin Counties.)

  • 문정갑
    • 한국수산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산경영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2
    • /
    • 2006
  • PDF

지속 가능한 느린 디자인 특성과 현대 패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ustainable Slow Design and Contemporary Fashion)

  • 채혜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31-542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slow design, The outcome derived from the pro-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fashion design, and the trends of modern fashion desig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low design for sustainability shows a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tresses the ethical aspects of fashion design that take into account the wellbe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It also focuses on the continuos present in which the consistent pace of life endures, rather than pursuing speedy changes of fashion by titillating desire. Seco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slow design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examples of fashion industry and other fashion-related areas. They are sustainability, recyclibility, handicraft, naturalness, and simplicity. Third, these characteristics of slow design have much to do with modern fashion genres. For instance, classical style fashions such as Chanel suit and Burberry coat have the same qualities of sustainability, while at the same time the Vintage fashion, which reinterprets the fashions from bygone eras in modern style, has the tendency of recyclibility, and the Hippie style, a resurrection of hand-touch spirit that emerged as a secondhand style expressionism resisting uniform mass production, has not only the quality of handicraft but also recyclibility.

1960년대 저항 패션이 민속풍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1960s Anti-Fashion on the Ethnic Fashion)

  • 간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153-1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nic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Anti-Fashion in 1960s. Anti-Fashion as Hippie style had an effect on high fashion in the 60s-70s and which was restored in the early 90s are ethnic and folk-lore style. The influence that the Anti-Fashion has had on the Ethnic Fash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Ethnic Fashion in 60s-70s: First Europian romantic style that is velvet doublet breecheese race cuffs ruffle flounce race jabbot embrioderd blouse frilled blouse Victorian mode and Pre-Raphaello style. Second handicraft ornaments style & peasant style what are embroidery weaving variaty ornaments tie-dye patch work smocking beads & bell paisely print peasant blouse dundle skirt long skirt to clinging layered look floral print dress and shepherd-ness styl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Oriental mao-suit harem pants & Indian pants caftan monk robe Afgan vest burnoos dhoti pants Hindu robe Red Indian fringe head band feather ornaments Red indian embroidery & weaving body painting gaucho poncho and serapi. At the Ethnic Fashion in 90s.: First Europian classical romantic style that is Victorian style Pre-Raphaello style ruffle & race decorations and velvet materials. Second peasant look& handicraft orna-ments what are floral print long skirt to cling-ing uneven stitches top stitchings patch work embroidery crochet and tie-dy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Red Indian style South East mode is sarong skirt & Nheru jacket Tibet & Mongolian style South America style and gypso style.

  • PDF

The Effects of Handicraft Activities on Hand Promptness and Grasp in the Elderly

  • Lee, Jung-Sook;Noh, Kyung-Ok;Kim, Bo-Kyoung;Choi, Wan-Suk;Lee, Sang-Min;Moon, Ok-Kon;Park, Joo-Hyun;Kim, Sung-Wo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08-31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andicraft activities on hand promptness and grasp in the elderly. Subjects were comprised of 14 senior citizens between the ages of 70-85, with 7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7 in the control group.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practiced various handicrafts twice a day,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special activity. The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results, while a dynamometer and pinch gauge were used to measure hand promptness and grasp. The 7 senior citizen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able to increase their hand promptness and grasping skills. Conclusively, handicrafts can help improve hand promptness and grasp in the elderly. Furthermor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uch skills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aily lives of senior citizens. Such skill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overall neuro-func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울 스모크(Woolsmok)를 응용한 의상 소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Materials Applying Woolsmok)

  • 오연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4
    • /
    • 2003
  •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media in the 21th century has given rise to the acceleration of fashion change and its diversification due to individual lifestyle, the person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onsumers. This has got away from the function-centeredness of clothing and awakened people to the important task of hi-tech new materials development and design development. We immediately need to develop the measure to cope quickly and properly with changes in the dwindled fabric market. Consumers; needs are personified and diversified and the cycle of fashion materials become curtail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manufacture the material for capable of satisfying consumers; psychology and needs with the handicraft based on the multi-item and small-quantity production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ng products and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by applying the Woolsmok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se materials will not simply stay at the level of handicraft but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 materials of creativity and aesthetics by inducing it to be applicable to the industrial world and activate them as differentiated high-grade clothing materials for consumers at home and abro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