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 prosthesi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Attachment system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a systematic review

  • Kim, Ha-Young;Lee, Jeong-Yol;Shin, Sang-Wan;Bryant, S. Ros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4호
    • /
    • pp.197-203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address treatment outcome according to attachment system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in terms of implant survival rate,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and patient satisfa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PubMed and hand searching of relevant journals consider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Clinical trial studies o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until August, 2010 were selected if more than one type of overdenture attachment was reported. Twenty four studies from 1098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and the data on implant survival rate,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patient satisfaction were analyzed relative to attachment systems. RESULTS. Four studies presented implant survival rates (95.8 - 97.5% for bar, 96.2 - 100% for ball, 91.7% for magnet) according to attachment system. Ten other studies presented an implant survival rate ranging from 93.3% to 100% without respect to the attachment groups. Common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were replacement of an assay for magnet attachments, and activation of a matrix or clip for ball or bar attachments.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most commonly occurred in the magnet groups. Conflicting findings were found on the rate of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comparing ball and bar attachments. Most stud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tisfaction depending upon attachment systems. CONCLUSION. The implant survival rate of mandibular overdentures seemed to be high regardless attachment systems. The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s may be influenced by attachment systems. However patient satisfaction may be independent of the attachment system.

Influence of the implant abutment types and the dynamic loading on initial screw loosening

  • Kim, Eun-Sook;Shin, Soo-Y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1호
    • /
    • pp.21-2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butment types and dynamic loading on the stability of implant prostheses with three types of implant abutments prepared using different fabrication methods by measuring removal torque both before and after dynamic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abutments were produced using different types of fabrication methods; stock abutment,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A customized jig was fabricated to apply the load at $30^{\circ}$ to the long axis. The implant fixtures were fixed to the jig, and connected to the abutments with a 30 Ncm tightening torque. A sine curved dynamic load was applied for $10^5$ cycles between 25 and 250 N at 14 Hz.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and after loading were evaluated. The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A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the abutment systems.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in each group (${\alpha}$=0.05). RESULTS. Removal torque value before loading and after loading was the highest in stock abutment, which was then followed by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 abutment ty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rt term screw loosening. On the other hand, after $10^5$ cycles dynamic loading, CAD/CAM custom abutment affected the initial screw loosening, but stock abutment and gold cast abutment did not.

Variation in radial head fracture treatment recommendations in terrible triad injuries is not influenced by viewing two-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Eric M. Perloff;Tom J. Crijns;Casey M. O'Connor;David Ring;Patrick G. Marinello;Science of Variation Group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2호
    • /
    • pp.156-161
    • /
    • 2023
  • Background: We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viewing two-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2D CT) images in addition to radiographs with radial head treatment recommendations after accounting for patient and surgeon factors in a survey-based experiment.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four surgeons reviewed 15 patient scenarios with terrible triad fracture dislocations of the elbow. Surgeons were randomized to view either radiographs only or radiographs and 2D CT images. The scenarios randomized patient age, hand dominance, and occupation. For each scenario, surgeons were asked if they would recommend fixation or arthroplasty of the radial hea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variables associated with radial head treatment recommendations. Results: Reviewing 2D CT images in addition to radiographs had no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A higher likelihood of recommending prosthetic arthroplasty was associated with older patient age, patient occupation not requiring manual labor, surgeon practice location in the United States, practicing for five years or less, and the subspecialties "trauma" and "shoulder and elbo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terrible triad injuries, the imaging appearance of radial head fractures has no measurable influence on treatment recommendations. Personal surgeon factors and pati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y have a larger role in surgical decision making. Level of evidence: Level III, therapeutic case-control study.

이종심혈관 조직에 대한 글루타알데하이드 및 용매를 첨가한 고정방법에 따른 장력, 탄력도 및 열성 안정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Uniaxial Tensile Strength, Elasticity and Thermal Stability between Glutaraldehyde and Glutaraldehyde with Solvent Fixation in Xenograft Cardiovascular Tissue)

  • 조성규;김용진;김수환;박지은;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165-174
    • /
    • 2009
  • 배경: 심장 수술의 발전과 함께 자기 조직이 아닌 다른 인공 보철편의 필요가 늘어나 그에 따른 다양한 대체제가 연구 개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더 나은 인공 조직보철편의 개발을 위해 이종이식 판막(돼지)과 심낭(돼지, 소)을 고정액에 따른 조직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와 장력의 관계, 탄력도 변화, 열성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종이식 판막과 심낭을 처리하지 않은 그룹(fresh), glutaraldehyde (GA)로 고정한 그룹, glutaraldehyde (GA)에 ethanol 등과 같은 용매(solvent)를 첨가하여 고정한 그룹 세 그룹으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1) 각각의 군을 물리적 활성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2) 각 군별로 이종이식편의 일방향성 장력과 탄력도를 검사 비교하였다. 3) 소 심낭과 돼지 심낭을 각군 간에 열성 안정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1) 물리적 활성도 검사에서 촉진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봉합과, 신장도면에서 저농도 GA에 비해 GA+용매 처리군이 좀더 단단하게 느껴졌다. 2) 일반적으로 돼지의 대동맥, 폐동맥 판막의 원주방향 일방향성 장력과 탄력도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GA 혹은 GA+용매 처리 시 나아졌고, GA 혹은 GA+용매로 처리한 것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소와 돼지의 심낭의 경우에도 GA 혹은 GA+용매로 처리한 것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각 실험과 군간에 GA 농도별로 비교 시 모든 군에서 그렇지는 않았지만, 고농도로 GA로 처리한 군(돼지의 폐동맥 판막, 돼지 심낭)에서 탄력도가 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소와 돼지 심낭 절편의 열 안정성 검사에서 GA 처리군과 GA+용매로 처리군간에 급격 수축 시점이 $80^{\circ}C$로 서로 차이가 없었다(소 심낭: p=0.057, 돼지 심낭: p=0.227). 결론: 이종 이식 보철편의 GA 고정 시 용매의 첨가는 압력-장력, 압력-탄력도, 열성 안정성 등 물리적 손실은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계속해서 더 나은 이식 보철 편 개발을 위한 여러 기능성 용매의 사용이나 세정 액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감염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이후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Prognostic Factor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Infectious Knee Arthritis)

  • 강상우;최의성;김동수;정호승;홍석현;고반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0-36
    • /
    • 2019
  • 목적: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받은 감염성 슬관절염 환자들에서 성별, 나이, 기저질환, 증상 발생 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 발병 전 침습적 시술의 시행 여부, 관절 천자액의 세균 배양, Gachter 분류를 통한 세균 감염의 정도가 치료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감염성 슬관절염으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2±2.1개월(12-20개월)이었다. 남자가 27명(52.9%), 여자가 24명(47.1%)이며, 평균 나이는 55.1±17.6세(13-84세)였다. 수술 전 시행한 관절 천자검사상 백혈구 수가 50,000개 이상, 다형핵 백혈구 수의 비율이 95% 이상인 환자를 감염성 슬관절염으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적 수술과 수술 후 지속적인 관절 세척을 시행하였다. 결과: C-반응 단백의 초기 평균 수치는 9.55±6.76 mg/dl (1.51-31.06 mg/dl)에서 최종 평균 수치는 0.74±1.26 mg/dl (0.08-6.77 mg/dl)로 감소하였으며, 평균 C-반응 단백의 정상화 기간은 27.6±18.9일(8-93일)이었다. 관절경적 수술과 항생제 사용 후 발열, 동통, 부종 등의 임상증상이 호전되고 C-반응 단백의 수치가 0.5 mg/dl 이하로 감소하여 감염성 슬관절염의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는 51예 중 44예(86.3%)이며, 최종적으로 두 번 이상의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5예, prosthesis of antibiotic-loaded acrylic cement 후 인공관절 치환술로 전환한 환자가 2예이다. 결론: 지금까지 문헌들에서 알려진 것처럼 증상 발생 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과 Gächter 분류에 따른 병기는 감염성 슬관절염의 치료 성공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이외의 인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단 관절 천자액에서 세균이 배양된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C-반응 단백의 정상화 기간이 짧아 치료 기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흉부식도암 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군과 유리공장이식술군간의 조기 합병증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Esophagogastrostomy and Jejunal Free Transfer After Resection of Thoracic Esophageal Cancer)

  • 신호승;이재진;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43-847
    • /
    • 2001
  • 배경: 식도질환의 수술 후 식도재건술은 아직도 식도수술에 관여하는 외과의사에게 해결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1996년 1월부터 1999년 12월가지 흉부식도암환자 27명에서 흉부식도절제술 후 15예의 식도-위 문합술과 12예의 유리총장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문합부위의 협착, 역류성식도염, 수술시간, 호흡기 합병증 등을 양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식적 우회술 또는 식도인공삽입술, 인두식도와 식도 위 결합부위의 암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우측 개흉술로 식도를 절제하였고,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여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다. 유리공장이식술의 경우 근위부의 식도는 6예에서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였으며, 6예의 근위부와 12예의 원위부는 수기통합하였다. 모든 식도 재건술은 후종격동을 경유하였다. 결과: 3예의 수술사망을 포함하여 3예의 문합부 누출, 2예의 이식공장괴사 등 중한 합병증과 11예의 역류성 식도염, 5예의 문합부 협착이 발생되었다. 식도-위 문합술의 평균 수술시간은 300$\pm$160분, 유리공장이식술은 550$\pm$280분이었다. 결론: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위 문합군에서 더 많았고, 수술시간은 유리공장이식군에서 더 길었다(p<0.05).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장시간의 수술에 따르는 술 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면, 식도재건수술후의 역류식도염을 감소시키는 수술로 유리공장이식술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