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gen-halogen exchang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5-Chloroindole계 화합물의 Large Scale 합성 (Highly Convenient and Large Scale Synthesis of 5-chloroindole and its 3-substituted Analogues)

  • Keetha, Laxminarayana;Palle, Sadanandam;Ramanatham, Vinodkumar;Khagga, Mukkanti;Chinnapillai, Rajendiran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40-242
    • /
    • 2011
  • CuCl과 N-methyl-2-pyrrolidone을 이용하여 5-bromoindole을 halogen - halogen 교환반응을 통하여 5-chloroindole계 화합물을 합성하는 one-pot대량합성방법을 개발하였다.

Halogen Exchange Reactions of Cinnamyl Halides

  • Lee, Bon-Su;Lee, Ikch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87-90
    • /
    • 1969
  • Trans-cinnamyl chloride와 bromide의 방사성 Cl$^{-}$, Br$^{-}$ 및 I$^{-}$와의 교환 반응을 아세톤 용액에서 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상대적인 할로겐 이온들의 친핵성과 이탈능을 HSAB 원리를 이용하여 논의하였다.

  • PDF

Kinetic Studies on Halogen Exchanges of 2-Naphthylmethyl Chloride

  • Lee, Ikchoon;Yie, Jae-Eui;Kim, Wang-Ki;Lee, Kae-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77-80
    • /
    • 1976
  • 염화 2-나프틸메틸의 할로겐 교환반응을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 용매내에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PMO 이론과 HSAB 원리로 잘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Kinetic Studies on Halogen Exchange of Phenacyl Halides

  • Park, Jin-H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20-25
    • /
    • 1973
  • Phenacyl halides의 할로겐 교환반응을 무수 아세톤 중에서 방사성 할라이드 이온을 사용하여 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반응은 SN2반응이며 할라이드 이온의 상대적 친핵성의 순서는 Phenacyl chloride에 있어서는 Cl->I->Br-이고 Phenacyl bromide에 있어서는 I>Cl->Br-였다. 이것을 할라이드 이온의 용매화 효과와 그리고 HSAB 원리로 설명하였다.

  • PDF

Kinetic Studies on Halogen Exchange Reactions of Phenethyl Chloride in Acetone

  • Kim, Shi-Choon;Cheun, Young-Gu;Sakong Y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25-29
    • /
    • 1975
  • 1-Phenethyl Chloride와 2-Phenethyl Chloride의 할로겐 교환반응 속도를 아세톤 용매속에서 방사성 할라이드 이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활성화 엔탈피와 활성화 엔트로피를 결정하였다. 이 반응은 S$_{N}$2 반응이며 할라이드 이온의 상대적 친핵성의 순서는 Cl->Br->I-이고 반응 속도는 Benzyl Chloride와 비교해 볼때 대체적으로 느리다. 이 결과를 할라이드 이온의 용매화 효과와 HSAB원리로 설명하였다.

  • PDF

Stereospecific C$_6$-Hydroxyethylation of the Penicillin Nucleus

  • Kim, Wan-Joo;Lee, Gwan-Sun;Shim, Sang-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5권5호
    • /
    • pp.191-193
    • /
    • 1984
  • 6, 6-Diiodopenicillanic acid was prepared from 6-aminopenicillanic acid using iodine-sodium iodide systems in good yield (60%). Enolates derived from 6-chloro-6-iodo-, 6,6-diiodo-penicillanate have been generated in situ by a metal-halogen exchange process at -$78^{\circ}C$ using methylmangnesium iodide and reacted with acetaldehyde to yield aldols. As the size of remaining halogen atom increases, the proportion of ${\beta}$-face attack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6,6-diiodopenicillanate, only ${\beta}$-face attack was observed yielding a single isomer (6S, 8R).

벤질 할라이드의 할로겐 교환반응 (제Ⅲ보) 아세톤 중에서의 염화 및 브롬화 벤질과 브롬화 및 요오드화 이온간의 교환반응 (Halogen Exchange Reactions of Benzyl Halides Part Ⅲ-Kinetics of Reactions of Bromide and Iodide Ions with Benzyl Chloride and Bromide in Absolute Acetone)

  • 황보명환;이본수;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9-114
    • /
    • 1969
  • 할로겐화 벤질의 할로겐 교환반응을 무수 아세톤에서 연구하였으며 반응속도상수 계산에는 새로 유도한 적분식을 사용하였다. 아세톤 용매 속에서의 할로겐 이온들의 친핵반응성은 90% 에탄올 용매속에서의 것과 정반대 순서이며 이것은 HSAB 원리와 할로겐 이온의 solvation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아세톤 용매 속에서의 반응속도의 증가는 ${\Delta}H^\neq$의 감소보다는 ${\Delta}S^\neq$의 증가에 기인되며 또 전이상태의 solvation 현상도 그 원이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PDF

Palladium 촉매를 이용한 Oligo(3-methylthiothiophene)의 합성과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Oligo(3-Methylthiothiophene) Using Palladium Catalyst)

  • 박상호;정문영;배진영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469-4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OTFT의 유기물 반도체 층으로 쓰일 수 있는 oligo(3-methylthiothiophene)를 전이금속 촉매인 palladium 촉매를 이용한 커플링 중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Thiophene 올리고머의 단량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metal halogen exchange reaction에 의하여 3-methylthiothiophene를 합성하였고, thiophene 구조의 2, 5번의 위치에 brome기를 도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2,5-dibromo-3-methylthiothiophene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단량체와 올리고머는 $^1H-NMR$, ATR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TGA로 열적 안정성을 관찰하였고 진공 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증착시켜 OTFT 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