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m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1초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 이지영;김계표;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35-84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ewing ability, 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111 patients having peridontal disease in 10 dental clinic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August 2010.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 factors, chew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 9.2) set at p<0.05. Results : Chewing ability was $44.85{\pm}8.8$,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41.7{\pm}8.8$. Low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closely related to those factors as education, missing of more than 5 posterior teeth, certain subjective periodontal symptoms including swollen gums, sore gums, drifting gums, bad breath and toothache. The effective factors to the quality of life was chewing ability, bad breath and toothache. Conclusions : Chew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chew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Proper treatment and effective method of management should also be properly considered to prevent the subjective periodontal symptoms and to minimize tooth loss.

멥쌀 전분과 검물질 혼합물 겔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on-waxy rice starch/gum mixture gels)

  • 신말식;권지영;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942-949
    • /
    • 2005
  • 쌀전분겔의 매트릭스와 구조를 안정화하고 텍스쳐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멥쌀전분에 다양한 검물질을 혼합하여 겔을 제조하여 형태적, 텍스쳐 특성, 냉동-해동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검물질을 첨가하면 종류에 따라 다르나 쌀전분겔을 조밀하고 균일하여 안정된 매트릭스 갖게 할 수 있었으며 겔란검과 알긴이 효과적이었다. 쌀전분/검질 혼합 겔의 텍스쳐 특성도 검질에 따라 달랐으며 겔란검은 단단하고 알긴은 부드러운 겔을 형성하였다. X-선 회절도에 의하면 쌀전분겔은 V형의 결정형을 나타내며 검을 첨가하였을 때 $2\theta$ = $20^{o}$의 피크가 낮아졌다. 냉동-해동 안정성도 검물질을 혼합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겔란검과 알긴을 첨가한 쌀전분겔이 바람직 하였다.

활성글루텐, 검, 유화제 및 효소제의 복합첨가에 따른 쌀빵의 품질특성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 김경은;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20-325
    • /
    • 2009
  •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가 쌀가루의 신속점도측정기(RVA) 호화양상과 farinograph 반죽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검의 첨가에 의해 쌀가루의 RVA 최고점도는 증가한 반면 setback은 약간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는 farinograph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고 반죽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반죽을 강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였다. 쌀가루에 활성글루텐을 14% 첨가하고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처리하여 쌀빵을 제조한 후 쌀빵의 부피와 저장 중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쌀가루에 첨가하는 활성글루텐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쌀빵의 부피가 감소하였지만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 함으로써 쌀빵의 부피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었다. 활성글루텐만을 첨가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나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의 증가 폭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절한 검, 유화제, 효소제의 복합처리는 쌀빵의 부피와 경도 변화 등 쌀빵의 품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일부 성인에서 치주질환 자각증상과 삶의 질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Self-Perceived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 to Quality of Life in Adults)

  • 이미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2012
  • 본 연구는 치주질환의 자각증상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성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2010년 1월 7일부터 3월 14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이상에서 65세 미만의 성인 중 치과의료기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가 인식한 치주질환 자각증상 중 '양치질시 잇몸에서 피가 난다'가 294명(65.8%)으로 가장 많았으며, '흔들리는 치아가 있다'가 84명(18.8%)으로 가장 적었다. 2. 사회 인구학적 특성, 구강건강행동에 따라 치주질환의 자각증상을 분석한 결과 남자는 여자보다 치은출혈, 구취 및 치아통증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간공간과 치아동요 및 치아통증을, 교육수준이 낮아질수록 치간공간과 치아동요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월 평균 가정 총수입이 400만원 미만인 집단은 그 이상인 집단보다 치은부종과 치간공간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1). 정기적으로 구강검진을 시행하지 않는 집단은 시행하는 집단보다 치은출혈을 더 많이 인식하였고, 정기적으로 치석제거를 시행하지 않는 집단에서 치은출혈과 구취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3. 치주질환 자각증상에 따라 OHIP-14 하위요인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치주질환의 자각증상을 인식한 집단은 인식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능적 제한, 신체적 동통, 정신적 불편과 다양한 영역의 능력저하 및 사회적 불리에 대한 경험이 더 많았다(p<0.001). 4. OHIP-14와 사회 인구학적 특성, 구강건강행동, 치주질환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남자와 치은출혈, 치은부종 및 구취를 인식한 집단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주질환 자각증상의 감소는 기능제한과 통증경험, 신체적 능력저하 등의 다양한 부정적 경험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의원 내원환자의 치주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periodontal care of dental clinic patients)

  • 고은정;이가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4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iodontal care of dental clinic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3 patients who visited four different dental clinics in the region of Geoj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In regard to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52.1 percent of the patients investigated received treatment at a dental clinic when their gums were swollen or bleeding, and the way they responded to their swollen or bleeding gum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occupation(p<.01) and academic credential(p<.001). 31.0 percent got their teeth scaled to take care of their gums, and how to take care of the gums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ge, occupation, academic background(p<.001) and monthly income(p<.01). As to yearly preventive treatment frequency for periodontal diseases, 22.5 percent received treatment to prevent any possible periodontal diseases once a year, and age, educational background(p<.01) and occupation(p<.05)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By occupation, the company employees received more preventive treatment. As many as 66.7 percent intended to receive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if there would be any chance, and gender and age(p<.00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 2. As for oral health care habits, 52.1 percent brushed their teeth in a mixed way,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and the women did that up and down more than the men. Those who were in their 30s did toothbrushing in the mixed way the most, and gender(p<.05), age(p<.05) and academic credential(p<.001)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Concerning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43.7 percent did that three times a day, and the women who did that three times outnumbered the men who did.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varied significantly with gender(p<.01). By occupation and education, the professionals and better educate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that regard(p<.01). As to the use of an interdental brush, 57.3 percent had ever used it, and those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had a larger monthly income(p<01) and who were professionals(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at aspect. As to scaling experience, as many as 68.5 percent had ever had their teeth scaled, and those who were in their 30s had done that the most. Ag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p<.01), and the professionals, larger income earners and better educate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at regard(p<.001). The findings of the study justifi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eriodontal care, and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regular dental checkup and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were required.

  • PDF

우유단백질과 검류가 밀가루 반죽의 특성과 냉동반죽으로 제조한 식빵 저장중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teins and Gums on the Dough Characteristics and Staling of Bread Made from Frozen Dough during Storage)

  • 윤영;김영호;김영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46
    • /
    • 2006
  • 우유단백질과 검류의 혼합 첨가가 빵의 노화를 억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첨가한 밀가루의 amylogram, farinogram 그리고 extensogram을 측정하였다. 또한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반죽을 8주 동안 냉동 저장한 후 이 냉동반죽으로 식빵을 제조하고, 만든 당일과 $5^{\circ}C$에서 4일간 저장한 식빵의 수분함량 변화와 경도 변화를 측정하여 노화정도를 비교하였다. Amylogram 특성 중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 개시온도가 증가하였고 CA와 WA 첨가한 밀가루의 최고 점도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Farinogram 특성을 통해 우유단백질과 검류가 밀가루의 수분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것과 CA와 WA를 첨가할 경우 반죽 형성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tensogram 특성에서 밀가루의 신장도는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함으로써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빵의 수분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4일 저장기간 동안 모든 빵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냉동저장 6주후부터는 대조구 빵의 수분함량이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빵보다 감소정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빵의 경도 변화의 경우 또한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 빵이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한 빵, 특히 CA와 WA를 첨가한 빵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우유단백질과 검류를 첨가할 경우 반죽의 제빵 적성을 향상시켜주며 CA와 WA의 첨가는 빵의 노화를 지연시켜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Xanthan Gum Production from Hydrolyzed Rice Bran as a Carbon Source by Xanthomonas spp.

  • Demirci, Ahmet Sukru;Arici, Muhammet;Gumus, Tunca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6-36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rice bran, the main waste product of paddy processing, in xanthan gum production by Xanthomonas campestris fermentation. Deffated rice bran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using cellulase, gluco-amylase, alpha-amylase and xylanase at various pHs and temperatures within 0-12 h. The highest sugar content reached at $35^{\circ}C$, pH 5.5 in 6 h with 41.66%. The enzymatic hydrolysate was used as the carbon source for xanthan gum production by X. campestris NRRL B-1459 and X. campestris pv. campestris. The highest productivities obtained were 21.87 and 17.10 g/L, respectively. Viscosity measurement for the obtained xanthan gums and commercial gum was carried out in gum solutions at various pHs and temperatures. The highest viscosity was reached with 1% gum solutions at $20^{\circ}C$ and pH 5.5 for all gums with viscosity values of 470, 131 and 138 mPa sec, respectively. This work has provided relevant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rice bran, an abundant agroindustrial residue, to produce xanthan gum.

일부 당뇨병 환자에서 당화혈색소 수치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and Hemoglobin A1c Level among Diabetic Patients)

  • 최준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9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moglobin A1c level and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diabetic patients (60 male patients and 90 female patients) who went to the internal and family medicine departments of clinic.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and NYCOCARD$\square$ READERII to quantify hemoglobin A1c. Results: The proportion of well controlled diabetes subjects was 31.3%. When hemoglobin A1c levels became higher, subjects perceived that there were more decay teeth, bleeding, swollen gums, mobility teeth, and oral disease symptoms. In comparison with the well glycemic control group, poor glycemic control group perceived that the overall oral health status was worse, and had more bleeding teeth, swollen gums and mobility teeth.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hemoglobin A1c level is related to the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Therefore, dental professionals should emphasize more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the hemoglobin A1c of normal range and monitoring it periodically, and the practice of thorough oral hygiene care in order to promote diabetic patients' oral health.

pH와 천연 다당류 고무질이 분리대두단백질의 거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and Natural Polysaccharide Gums on the Foam Stability of Soy Protein Isolate)

  • 양승택;김미숙;박춘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2-491
    • /
    • 1992
  • 천연 다당류 고무질을 식품에 확대 이용하고자, sodium alginate, gum karaya 및 gum arabic을 가지고 pH 및 농도별로 SPI에 작용시켜 거품특성을 실험하였다. 표면장력은 3종의 고무질을 농도별로 첨가시 전체적으로 SPI의 등전점(pH 4.5) 부근인 pH 4.0 및 5.0에서 각각 $39.9{\sim}44.1$$41.7{\sim}44.8\;dyne/cm$이었고, pH 7.0 및 8.0에서는 각각 $43.9{\sim}46.4$$44.6{\sim}46.9\;dyne/cm$로써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다소 높았으며 pH 4.0 및 5.0에서가 pH 7.0 및 8.0에서 보다 다소 낮았다. 비점도는 pH 7.0 및 8.0에서 전체를 통하여 각각 $3.6{\sim}51.8$$4.0{\sim}51.2$이었으며, 특히 sodium alginate를 농도별로 첨가 시 pH 7.0 및 8.0에서 각각 $11.5{\sim}51.8$$10.1{\sim}51.2$로써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거품형성능(overrun)은 15분 whipping시, 고무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pH 4.0 및 5.0에서 각각 $965.7{\sim}1689.0$$1182{\sim}1413%$이었고, pH 7.0 및 8.0에서 각각 $804.7{\sim}1018.0$$795.0{\sim}962.3%$로써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pH 4.0 및 5.0에서가 pH 7.0 및 8.0에서보다 높았다. 거품안정성(drainage)은 고무질 종류 및 농도에 따라 pH 4.0(대조구, 66.8분) 및 5.0(대조구, 53.4분)에서 각각 $22.7{\sim}41.41$41.5{\sim}83.8$분이었고, pH 7.0(대조구, 20.4분) 및 8.0(대조구, 19.7분)에서 각각 $18.2{\sim}104.7$$21.0{\sim}84.6$분이었으며, 특히 sodium alginate 첨가시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0.2% 첨가시 pH 5.0, 7.0 및 8.0에서 각각 대조구의 57, 413 및 315% 증진되었다. 거품의 열안정성은 15분 whipping시, pH 4.0(대조구, 30.2%) 및 5.0(대조구, 23.7%)에서 각각 $0{\sim}38.0$$0{\sim}57.0%$이었고 pH 7.0(대조구, 39.6%) 및 8.0(대조구, 43.6%)에서 각각 $0{\sim}59.4$$36.6{\sim}58.4%$이었으며 sodium alginate 첨가시가 가장 양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거품안정성이 높은 것은 열안정성도 높은 경향이며, 표면장력이 낮으면 거품형성능이 높아지고, 비점도가 높으면 거품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